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PISA(2009)에 나타난 도덕교육 현황과 의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12
28P 미리보기
PISA(2009)에 나타난 도덕교육 현황과 의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 34호
    · 저자명 : 박장호

    목차

    I. 들어가면서: 국제비교의 타당한 이유
    II. 비교의 준거 설정 문제
    III. PISA의 성적과 도덕교육의 관계
    IV. 외국의 초, 중등학교 필수 교과목의 현황
    V.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초록

    PISA 2009의 참여 국가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도덕교육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reading)와 역경극복능력(resilience) 성적에서 중상위 40개 국가의
    67.5%가 <도덕교육> 혹은 <윤리학>을 필수교과로 가르치고 있다. 또 이 40개 국가 가운데
    가장 강력한 형태의 도덕교육인 <종교교육>만을 실시하는 국가까지 포함하면, 도덕교육을 의
    무적으로 실시하는 국가는 80%에 이르며, <종교교육>교과가 <윤리학>교과로 대체되는 경향
    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윤리학>이나 <종교교육>을 배제하고 <공민성>을 필수로 규정하는
    국가는 15%에 불과하다. 그러나 <공민>교과의 경우에도, 도덕과 성격을 담고 있는 교과가 늘
    어나고 있는 반면, 사회과 과목의 일부로서의 사회과학적 교과를 가르치는 국가는 제한적이
    다. <철학>교과의 경우, 초, 중학교에서 다루는 국가는 전무하고, 일부 극소수 국가에서 고등
    학교 상급학년에서 가르치는 정도이다. 둘째, <도덕교육>이나 <윤리학>이 특정 학년에 집중
    이수되는 국가는 보이지 않으며,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나선형 교육과정을 통
    해서 단계별로 교육되는 것이 일반적 현상이다. 셋째, <도덕교육> 혹은 <윤리학> 교과의 국
    가교육과정에서의 필수화 현상은 최근 들어 크게 확산되고 있다. 넷째, <도덕교육>의 유형에
    있어서 동양권의 <도덕․윤리>유형와 북유럽의 <종교/윤리학>유형을 실시하는 국가의 성적
    이 북미와 프랑스의 <사회/공민>유형의 국가들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그간 우리가 실시해온 <도덕>이나 <윤리>교육에 대해 스스로 정당성과 긍
    지를 갖게 해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도덕>과 <윤리>교과를 홀대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와 세계에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tudies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among the nations or cities
    participated in PISA 2009 through analyzing those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in 67.5% of 40 nations or cities which ranks 1-40 grade in terms of
    reading or resilience, subject matter <moral education> or <ethics> is stipulated as a
    requisite or independent subject matter. Having included the five nations which
    imposes <religious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which is considered as strongest
    type of moral education against secular moral education, there would be about 80%.
    Meanwhile, the nations which excludes either <moral education> or <religious
    education>, but imposes only <civics> or <citizenship> as a requisite subject matter,
    remain only 15%. Second, There is no nation which has so called 'the short term
    intensiv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n which students should learn it only
    during one or two semester or one school year grade, instead of studying it every
    semesters or grades in elementary or middle school. In general, almost nations have
    the spiral curriculum that students gradually should learn it step by step through 1~6
    or 1~10 grades. Third, it is recent trends in europe countries that <moral education> or
    <ethics> subject matter becomes a requisite subject matter or a subject matter in
    national curriculum. Last, oriental type of <morality/ethics> education as well as
    Northern European type of <religion or ethics> education seem to have more positive
    relationships to high scores in PISA than American types of <civics> education.
    These phenomena seem to give academic legitimacy to korean moral education
    system which traditionally has continued to keep <morality/ethics> as a requisite and
    independent subject matter, but leave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ich would go
    against this direction a task to re-exam and reflect itself seri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덕윤리과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