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교 교육과정연계를 위한 국립고궁박물관 전시유물의 해석방법 개발 연구 : - 측우대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0.12
22P 미리보기
초등학교 교육과정연계를 위한 국립고궁박물관 전시유물의 해석방법 개발 연구 : - 측우대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교육연구 / 5호
    · 저자명 : 박효정

    목차

    I. 서론
    II. 초등학교 연계 박물관 교육의 배경
    1.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박물관 교육 연계성
    2.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박물관 교육
    3. 전시유물과 실물기반학습
    III. 국립고궁박물관 교과연계 교육개발
    IV. 국립고궁박물관 전시유물의 통합적 해석방법
    1. 국립고궁박물관 전시유물
    2. 전시유물 해석방법과 적용
    3. 전시유믈 해석방법 설문
    V. 결론

    초록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습자가 주도하는 개별화 교육과 창의성 교육, 인성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전시유물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해석을 통해서 정보수
    집과 의미의 재구성, 해석 나아가 비판적사고와 창의력사고까지 배양할 수 있다.
    즉, 유물기반 학습은 학교교육의 대안적 방안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연계 박물관교육의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박물관 전시유
    물의 해석적 방법을 개발하고 교사들에게 전시유물 해석방법이 필요성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후퍼그린힐(Hooper-Greenhill),의 통합적 유물의 해석방법과 존 포크와 린 디어
    킹(John H. Falk & Lynn D. Dierking)의 전시물의 가치해석방법을 우리나라의 유
    물에 맞게 정리하여 국립고궁박물관 전시유물인 측우대를 적용하였다. 총 8가지
    관점으로 용도, 재료와 제작, 형태, 정치·경제·사회·문화 주제이야기, 현장연
    계성, 다른 유물과의 비교, 교과연계로 해석해보았다. 해석을 통해서 다양한 관점
    에서 분석이 가능했으며, 하나의 유물로도 많은 범위를 다룰 수 있었다.
    이를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시유물의 해석방법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
    순위를 설문으로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이 전시유물의 해석방법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 모두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또한 해석방법들 모두 중요
    하지만, 교사들의 선호도는 용도, 의미와 상징이 높았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교과연계 전시유물 해석하는 방법은 박물관교육담당자와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관찰과 설문 조사 등을 통해서 통합적 해석적 방법으
    로 보완한다면 박물관과 학교연계를 발전시키는 방안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demands an open education of which focus is on
    learner-oriented personalized education, creativity education and humanity education. An
    artifact-based learning can be an alternative strategy of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pretation method of artifact at museum
    as an activation strategy of school-connected museum educatio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teacher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an interpretation
    method of artifact.
    By reorganizing Hooper-Greenhill's comprehensive method of interpretation and John H.
    Falk & Lynn D. Dierking's value interpretation method of artifact according to the domestic
    situation of artifacts, the rain gauge stand, an artifact at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was interpreted. The standpoints of interpretation were classified into 8: Uses, materials,
    makings, forms, political/ economical/social/cultural stories of themes, on-site connectivity,
    comparison with other artifacts and connection with curriculum. Via interpretation,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rain gauge stand from various standpoints and deal with many
    categories even with one artifact.
    Via a questionnaire survey of primary school teachers, the necessity of interpretation
    method of artifact and its order of significance were examined. Study findings show that all
    the teachers of study subjects positively answered for the necessity of interpretation method
    of artifact. In addition, although they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all the eight interpretation
    methods, they preferred uses, meanings and symbols. If the curriculum-connected interpretation method of artifact in this study takes the opinions
    of students and persons in charge of education at museum into account and is supplemented
    with a comprehensive method of interpretation via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it
    will be a good educational strategy that connecting museums and school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