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의사결정유형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8.06
19P 미리보기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의사결정유형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2권 / 2호
    · 저자명 : 이현주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과학기술은 자연현상을 이해하고 그 규칙성을 찾아내는 순수 과학적 성격(truth-seeking)에서
    점차 경제․사회․정치 등 사회의 여러 영역과 접목되면서 여러 가지 윤리적․도덕적 문제를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s, 이하 SSI)라고
    한다. 현재 과학교육은 SSI를 도입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과학-기술-사회의 주요 논쟁들에 참여하
    고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즉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을 길러주어야 함을 강조해오
    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학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효과적인 SSI 도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로 중등현장에서 과학을 가르칠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SSI에 대한 인식과 의사결정의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예비교사들은 총 8주에 걸쳐 8개의 과학과 관련된 윤리․사회적 문제(SSI)에 대해 30-40
    분 정도 토의시간을 가진 후 각 주제에 대해 저널을 작성하였고, 본 연구자는 각 주제별 응답의
    경향성을 파악하여 4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참여자들은 SSI 주제가 지닌 성격에 따라 다른 의사
    결정 유형을 보였다. 맞춤아기나 대리모와 같이 현실성이 적다고 판단되는 주제들에 대해서는 감
    정기반의 사고를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안락사와 유전자조작식품과 같이 사회의 주체로서 당면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장단점을 고려하여 논리적으로 근거를 제시하는 사고유형을 보였다.
    원자력 발전과 배아복제와 같이 부작용은 있으나 현실적 이득을 고려해야 하는 주제에 대해서는
    찬반의 의사결정 보다는 보완책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의사를 결정하였으며, 과학기술로 인한 삶의
    변화 및 인터넷 사용과 같이 우리 삶에 깊숙이 파고들어있는 과학기술의 만연함에 관한 주제에 대
    해서는 대립된 감정 사이에 갈등을 경험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예비 교사들이 주제를 자
    신이 당면한 현실적 문제로 받아들일수록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여 의사를 결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참여자들에게 SSI에 대한 계속적인 의사결정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과학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관점을 확대․확립하고,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As science has become integrated with economic, commercial, military, political or other social
    activities, it often brings up various moral, ethical, social problems related to its development.
    These are generally named socioscientific issues(SSI). Current science education aims to educate
    students as future citizens who are scientifically literate, and the inclusion of SSI into science
    curricula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an essential element to achieve this aim. However,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has reported that only a small percentage of science teachers
    address SSI in the science classroom. And most science teachers still feel that their most
    important task by far is to teach the principles of science, and any substantive pedagogical
    changes represent a burden. The author attempted to figure out the reasons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science teacher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SSI and nature
    of science. As an initial step, the author asked 21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write weekly
    journals regarding 8 kinds of SSI after participating in class discussions, and identified some
    decision-making patterns from their respon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different decision-making patterns depending on the issues, such as emotive
    informal reasoning, rationalistic informal reasoning, evidence-based compromising, and
    emotion-based compromising. Their decision-making patterns also represented their view of
    science, and the teachers tended to have somewhat ambiguous, but positive expectation or fear
    toward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that the teachers could expand their view of science and enhance their
    decision-making skills by continuously experiencing SSI decision-making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