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시각적 자기표현 및 언어적 자기표현과 사물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1.01
17P 미리보기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시각적 자기표현 및 언어적 자기표현과 사물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18권 / 3호
    · 저자명 : 정선영, 김용철, 김혜순

    목차

    1.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시각적 자기표현 및 언어적 자기표현과 그림카드를 이용한 사물기억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18명으로 2010년 2월4일부터 2010년 7월 15일까지 두 그룹으로 나눠 각각 주 1회 60분씩 총 20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풍경구성법 척도와 미술 능력 평가표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시각적 자기표현 척도로 사용하였다. 언어표현은 기능적 언어행동 검사표를 수정하여 3점 척도로 표시하였고 기억력 검사(Enhanced Cued Recall Test)도구를 기초로 직접 제작한 22장의 그림카드를 이용해 회기별 사물기억 점수를 기록하였으며 통계처리로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풍경구성과 미술 능력평가 14개 하위척도로 구성된 치매노인의 시각적 자기표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현저히 늘어났으며 요소의 변형을 제외한 통합성, 공간사용, 채색의 정도, 색의 수, 채색의 적절성, 채색의 안정성, 소묘선, 주제표현, 색채, 형태, 화면의 구성, 창의성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또한 자유롭게 미술 표현을 하면서 언어로 나타내고자 하는 의도가 높아졌으며 그림카드를 맞힌 개수도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에서 언어표현과 그림카드 기억은 시각적 자기표현의 공간사용지표와 주제표현요소에서 높은 상관성을 드러냈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시각적 자기표현 및 언어적 자기표현과 그림카드를 이용한 사물 기억력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ntended to find if there are positive changes in visual self-expression, Verbal expression and memory of object when the Aged with Dementia was treated with a group Art Therapy programs. The research subjects were eighteen old peoples with dementia at Day-care center. The aged had taken 20 group Art Therapy sessions for sixty minutes once a week from February 4. 2010 to July 15. 2010. As a measure to verify the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 researchers modified the Landscape Montage Technique Index and the Artistic Level Measurement Index and used them as a visual self-expression index. Verbal expression was displayed by a 3 point index, which is a devised version of the Functional Verbal Activity Test Index, and recall test scores of each session were recorded by using 22 picture cards, based on the Enhanced Cued Recall Test, designed by the main researcher Sun-young Jung. SPSS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 visual self-expression scores, which is composed of scenery composition and 14 sub indexes of the Artistic Ability Test, of the aged with dementia were remarkably improved compared to the test scores taken at the introduction of the Art Therapy program.
    Also the research result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s in the areas of Integration, Use of Space, Level of Coloring, Number of Colors, Appropriateness of Coloring, Stability of Coloring, Line Drawing (rough sketch), Expression of Subject, Coloring, Shape, Composition, and Creativeness, excluding Modification of Element. (p<0.05). Their willingness of using the Verbal expression increased while freely enjoying artistic expression. The picture card recall test score also increased steadily.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Verbal expression and the picture card recall have high correlation with the use of space and the expression of subject of the visual self-expression. In conclusio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been evaluated to contribute to improvements of the visual self-expression, the verbal expression and the memory of object of the aged with dementia.
    Key Words : Group Art Therapy, The aged with dementia (a dotard), Visual self-expression, Verbal self-expression, Object Memory (recall)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