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영재아의 뇌인지 특성을 고려한 미술지도 방안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1
11P 미리보기
미술영재아의 뇌인지 특성을 고려한 미술지도 방안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미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미술교육 / 9권
    · 저자명 : 서영옥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초록

    일반적으로 뇌인지 특성에는 문자나 생활상의 사고방식을 배우는 것을 기초로 한다. 따라서 문자나 생활상의 사고방식은 일반 아동들의 미술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유ㆍ아동기의 그림그리기 활동에는 이미 뇌에 존재하는 또 다른 회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들은 그림을 배우지 않아도 잘 그리고 못 그리는 차이만 있을 뿐 누구나 그림으로 표현 할 수 있다. 또한 그림의 형태가 대체로 시각형, 절충형, 개념형이라는 각각의 일정한 양식으로 표현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표현양식의 차이는 서로 다른 뇌의 회로를 통하여 시각정보가 처리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시각형 유형은 아동의 그림으로 뇌의 두정엽에서 지각되어 처리된다. 또한 개념형은 좌ㆍ뇌의 측두엽에서 정보를 처리한다. 따라서 절충형은 두정엽과 측두엽에서 정보를 처리한다. 이 세 가지 그림의 양식은 뇌의 정보처리 과정에 의해 시각화하여 보이는 현상이다. 미술을 좋아하는 유ㆍ아동들은 크게 두 유형으로 구분하여 공간적 능력이 뛰어나거나, 순차적인 지능이 뛰어난 미술 영재아이들이다. 전자는 우ㆍ뇌형 두뇌를 주로 쓰는 창의적인 시공간적 영재이며, 후자는 지능이 높고 좌ㆍ뇌를 주로 사용하는 유ㆍ아동들이다. 이 두 유형의 성향을 지닌 유ㆍ아동들은 훗날 전문미술 분야에서도 대체로 활동하는 길이 서로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다양한 회화분야로 나아가는 전문분야에는 화가의 길이 있다. 또 다른 미술방면에는 실내디자이너, 광고 디자이너, 인테리어 디자이너, 섬유미술가, 미술사가, 도예가, 미술교사, 조각가, 비평가 등의 직업의 길을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두 유형의 영재아는 교육을 받는 과정에서 개성의 차이를 고려한 적합한 교육활동과 함께 이루어 져야지 그렇지 못할 경우 교육적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아동들은 우뇌, 또는 좌뇌의 강한 쪽으의 두뇌를 자주 사용하므로 써 상대적으로 다른 한쪽 뇌의 열세에 놓이기게 된다. 따라서 두 유형 모두 서로의 약한 뇌기능을 보완해줄 수 있는 미술교육의 지도가 필요하다. 그러기위해서 우선 우뇌성향의 공간적 뇌를 주로 많이 사용하는 아동과 반면에 좌뇌적이며 순차적인 사고에 강한 아동들의 성향을 고려하여 두 타입의 인지 유형이 다른 미술영재아들에게 최적의 미술지도 방안이 무엇인지 고찰해보았다.

    영어초록

    In general, the characteristics of brain recognition is based on the learning letters and way of thinking in life. Therefore, letters and way of thinking in life affect the art activity of normal children. It is known that painting activity of early childhood and childhood uses another circuit already existed in brain. Everybody can express oneself with painting without learning how to paint though some can paint well while the others cannot.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the shapes of painting are expressed in certain patterns of visual type, compromised type and conceptual type. The difference in these expression forms happens because the visual information is processed through different circuits of brain. That is, in the visual type of children's painting, the information is perceived and processed by parietal lobe of brain. In the conceptual type, the information is processed in the temporal lobes of left brain and right brain. Therefore, the compromised type processes the information in the parietal lob and temporal lobes. The three types of painting are the phenomena of visualization through information processing of brain. Infants and children fond of art are divided into two types of gifted children in the art: one is excellent in spatial ability and the other is excellent in gradual intelligence. The former is creative spatio-temporal gifted children mainly using right-brain while the latter is highly intelligent and mainly using left-brain. These two types of children tend to act in different fields of professional art in the future. In the professional field of various paintings, there is a way of painter. In other direction of art, there are vacational ways of interior designer, advertisement designer, textile artist, art historian, potter, art teacher, sculptor, and critic. These two types of gifted children should have proper educational activity considering their different personalities; if not, the educational effect will be lowered. Children tend to use either side of left brain or right brain more making another side of brain relatively inferior. Therefore, both types need instructional art education to supplement weak side of brain function. Consequently, we studied optimal art instructions for gifted children in art with different types of recognitions by considering one type of children who mainly use spatial right brain and the other type of children who mainly use left brain and strong in consecutive thinking.
    Key words : brain, recognition, childrenar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미술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