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회화의 복제와 인덱스 특성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1
14P 미리보기
현대 회화의 복제와 인덱스 특성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미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미술교육 / 9권
    · 저자명 : 홍창호

    목차

    "I. Indexical Traits of Photography and Interpretation of Reproduced Images
    Ⅱ. The Creation of Artworks and Analysis of Concepts
    Ⅲ.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Index’ and De-subjectification of Images
    Conclusion
    Reference

    초록

    오늘날 현대 미술의 문맥에서 사진은 복제 매체적 특징인 복제와 지표적 특성을 통해 모더니즘의 원본성과 독창성을 부정하며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중심적 매체로 등장하게 되었다. 사진 인덱스 이론은 이러한 사진의 현대성을 이론적 근거로 밝힘으로써 사진에 대한 단순한 이론을 넘어 현대미술작품의 개념적 원리를 설명하는 근거로써 후기 구조주의적 담론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작가들의 적극적인 사진 활용은 현대미술에서의 사진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시사하고 있다. 현대미술에서의 사진의 활용은 인덱스의 개념적 특징에 주목하였던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을 시작으로 1950년대 중반부터 등장한 팝아트를 거치며 본격화되었다. 특히 사진의 기법 및 개념에 주목하였던 팝아트의 출현은 현대문화 속의 일상이 되어버린 대중매체의 복제 이미지 환경을 예술의 형식으로 반영하였다. 이와 같은 일상의 대중매체 이미지는 사진이미지의 복제성을 부각시키며 예술의 형식에서 비개성적 특징들을 통해 일상성의 의미를 주목하게 하였다.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의 사진 인덱스 이론은 지표 개념을 중심으로 사진의 해석을 이루어냄으로써 이제까지의 이분법적인 주체중심적 시각개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이루었다. 즉 인덱스 이론은 이제까지의 구조주의적 관점을 사진의 지표 특성을 통해 생성론적 관점으로 바라보도록 함으로써 이미지의 존재론적 정의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이러한 사진의 복제와 지표 특성은 이미지의 ‘원본성’이나 ‘독창성’의 결여를 뜻한다는 점에서 비평가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작가의 죽음’이라는 의미를 부각시킨다. 이는 객관적 시지각 방식에서 비롯된 사진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은 사진의 물리적 특징에서 비롯된 인덱스 즉, 지표적 특성의 회화적 가능성이었다. 사진의 지표는 시간을 고정하고자 한 행위로 나타난 시간을 지시하는 일종의 징후적 자국 혹은 흔적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연구자의 복제 이미지 작품은 사진의 복제라는 지표적 특성을 활용한 시간의 연속과 불연속의 문제와 연관된 일상의 의미 찾기이다. 사진의 본질적 특징인 과거 시간의 기록에서 잘려진 시간성은 일상의 해석에서 존재론적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일상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연구자의 의도는 사진에서 드러나는 시간의 특징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자는 시간의 의미와 일상의 재해석이라는 주제의 표현에서 사진의 복제가 지닌 표현 형식에 주목하였다. 연구자가 사진 복제의 반복과 중첩의 과정을 통해 이미지의 끝없는 파편화와 해체의 형식 속에서 시간을 담지한 일상의 해석을 의도한 것이다. 즉 서술적 내용에서보다 표현의 형식인 복제 방법론 속에서 주제에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자의 복제이미지작품은 사진적 특징들을, 회화적 맥락에서 방법론적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시간의 특성 속에서 드러나는 일상의 의미를 개념화시키는 것이다. 이상의 기술에서처럼 이 연구는 사진적 특징과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자 작품의 방법론적 근거의 구체적인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작품에서 사진의 복제성과 지표성이 지닌 표현적 특징과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는 사진의 인덱스 개념과 시간의 의미, 상징이미지가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고 주제에 접근해 가는지에 대한 해석을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활용된 사진의 복제와 상징문양의 중첩이 지시하는 바는 시간의 연속성 속에서 물리적 일시점을 갖는 단면이라는 불연속성과 화면 공간의 초현실적 불안정성을 동시에 드러내는 효과적인 재현 방식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Photography today is one of the key mediums spearheading theories and methodologies in contemporary art, since it was aggressively embraced by Pop artists that emerged with the images produced by the mass media in the mid-20th century. The pictorial use of the medium of photography has been one of the features of post-modernist art since the 1980s, over turning conventional concepts of reproduction in art. It is meaningful that photography leading to changes in notions of art is a medium with the properties of duplicability and indexicality. The photo index theory, initiated from this background, is an ontological image theory grasping the basis of postmodern artistic tendencies from photography’s indexicality and refuting conventional notions of art. The ability to duplicate in photography deconstructs the conventional notion of reproduction and opens the possibility of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as this feature was seen as the ground of actual being in the indexical trait of photography. Photography usually conveys a reinterpretation of time, and unlike painting this medium chronicles a past being appearing in present form through ‘light’ and collapsed time. As a result, the photo index theory generates a new concept of time, deconstructing modernist originality and uniqueness through the feature of photography as a medium and offering the basis of Roland Barthes’ ‘metonymic’ communication. The photo index theory deconstructs physical temporality in photographic images and emphasizes the indexical trait of photography as a new possibility of reproduction through an interpretation of photographic images as indexical traces, not iconic images. I apply to this paper the perspectives of Roland
    Barthes who starting in the 1960s attempted interpretations of diverse photographic images, noting that the indexical properties of photography are associated with the originality or images and concept of the subject. My primary concern includes the ontological temporality Roland Barthes discovered through his ‘theory of author and text’ and de-subjective ‘expansion of space-time’.
    Key words : the Reproduction, Index Properies, Contemporary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미술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