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칼 융의 분석심리학에 근거한 미술 작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에 대한 연구 : 현존작가 김들내의 작품을 중심으로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1
25P 미리보기
칼 융의 분석심리학에 근거한 미술 작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에 대한 연구 : 현존작가 김들내의 작품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17권 / 3호
    · 저자명 : 황선영

    목차

    Ⅰ. 서 론
    Ⅱ. 개성화에 대한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IV. 시기별 작품 분석
    V. 결 론
    참 고 문 헌

    초록

    본 연구는 현존작가인 김들내의 작품을 중심으로 개성화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어 가고 있는지에 대하여 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김들내는 주로 ‘인형’의 형상을 자신의 대체물로 사용하여 자신의 감정과 무의식을 드러내었는데, 이 인형은 시기에 따라 천진난만한 모습으로 앉아있기도 하고, 누워서 눈물을 흘리기도 하며, 침대와 함께 여행을 떠나기도 한다. 개성화 과정에서 자아에 대한 인식을 위해서는 억압된 그림자의 내용을 수용하는 과정을 겪게 되는데, 김들내는 이를 인형이라는 상징을 통해서 투사하고 은유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직면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키고 세상과 자신을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김들내가 중반기까지 주로 사용한 판화기법은 이러한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는데 필요하였던 바, 이는 집착을 없애기 위한 작품제작의 고된 과정을 위해서 선택되어졌다고 이해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들내가 자신에게 떠오른 심상을 하나의 심리적인 사실로서 취급하여 이에 대하여 감정적으로 경험하고 의식화하며 다시 다른 심상과 연결해 가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김들내에게 억압되어 있는 내용을 예술작품으로 승화하며 자기(Self)를 찾아가는 과정을 담았다. 또한 이를 통하여 그림자를 의식화하고 감정을 표현하며 이를 통찰하게 하는 미술 고유의 역할과 미술을 통한 치유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individuation process proceeds focused on the works of contemporary artist, Kim Deulnai based on the theory of Karl Jung's psychology. Kim Deulnai expressed her own emotion and unconsciousness mainly using the shape of 'doll' that is her substitute. As time passes, the doll sits innocently or lies weeping or travels together with a bed. In the individuation process, people experience the procedure of taking the contents of repressed shadow to recognize the self. Kim Deulnai discloses this procedure through the symbol of doll and metaphorically expressed. These relax the shock caused by facing the contents of shadow and let her link to the world. Also the skill of wood print which Kim Deulnai mainly used until the middle period of her career was required to heal her own wound. It is understood that the skill was selected for the hard process of producing works that allow freedom from attachment. Accordingly,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ocess that Kim Deulnai dealt with the imagery appeared to her as a psychological fact and emotionally experienced the fact and made the unconscious conscious and then, connected the experience with other imagery. Based on this analysis, this research shows the process of seeking herself sublimating the repressed contents within her as artistic work. Also through this analysis, this research tri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art education which makes shadow conscious, expresses emotion and gives insight, and investigate the healing through the art too.
    Key Words : Individuation,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Shadow, 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