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치(金緻) 인물형상화 방식에 나타난 <차사본풀이> 서술시각 : [해동이적·보] 소재 <김치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12
34P 미리보기
김치(金緻) 인물형상화 방식에 나타난 &lt;차사본풀이&gt; 서술시각 : [해동이적·보] 소재 &lt;김치설화&gt;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1호
    · 저자명 : 강진옥

    목차

    1.머리말
    2.와 의 서사단락 비교
    3.인물 관계양상을 통해본 김치 인물형상
    4.김치 인물형상화 방식과 서술시각
    5.마무리
    참고문헌

    초록

    제주도 무속신화 <차사본풀이>와 󰡔해동이적·보󰡕 소재 <김치설화>에는 공통적으로 김
    치(金緻)라는 역사적 실재인물이 등장하고 있다. <김치설화>는 <차사본풀이>의 근원설화이
    지만, 김치라는 인물의 형상방식은 두 장르 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양자를 대상으로 김치 인물형상화 방식을 비교하는 작업은 <차사본풀이>의 서술시각과 제
    주도 무속집단의 세계인식의 일단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양자는 핵심 서사단락을 공유하고 있으나, 해당 대목을 서술하는 방식에서는 일정한 차
    이를 보여주고 있다. <김치설화>가 신이한 능력과 선정을 베푸는 명관으로서의 면모를 부
    각하는 반면, <차사본풀이>는 김치의 어리석음과 무능함을 부각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이
    를 위해 <김치설화>의 서술자는 논평을 통해 인물의 비범성을 직접적으로 진술한다. 이와
    달리, <차사본풀이>는 다수의 인물을 등장시켜 인물들의 관계양상을 통해 확장된 서사세계
    와 심화된 문제의식을 부각하는데, 주변인물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김치와 관계를 맺으면서
    인물의 열등성 부각에 일조하고 있다.
    <차사본풀이>의 인물형상은 김치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도 일정한 거리를 보여주고, 근원설화인 <김치설화>와는 현격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일차적으로 <김치
    설화>의 채록자가 흥덕지역 ‘선비’였고, <차사본풀이> 전승집단이 제주도 무속집단이라는
    사실에서 비롯되지만, 구전되는 <흥덕현감설화>에도 현감의 신이성이 부각되고 있음을 고
    려하면, <차사본풀이>의 인물형상화 방향이 김치라는 역사적 개인에 대한 평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이는 제주도 무속집단에게 김치‘원님’이 역사적 개인이 아니라 중앙권
    력을 대변하는 존재로서 이해되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차사본풀이> 김치원님의 인물형
    상은 통치의 기반을 유가적 가치관에 두고 있는 중앙관리에 대한 제주도 무속집단의 시선
    을 대변하는 것으로, 제주도 무속집단과 유가적 통치관을 지닌 중앙관리 사이에서 빚어졌
    던 지속적인 갈등의 역사적인 반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A person called Kimchi, who is a historical figure appear both in Chasabonpulyi,
    a shaman tale of Jeju and The Tale of Kimchi in "Haedong-yijeok·bo". The
    Tale of Kimchi is original tale of Chasabonpulyi, but the personification of
    Kimchi differs considerably between the two genres.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way the figure is personified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the author of Chasabonpulyi and the shamans
    of Jeju.
    The narrative methods of both tales share common epic paragraphs but the
    way they are described show some differences. The Tale of Kimchi emphasizes
    the extraordinary ability of Kimchi and his achievements as a great government
    official, while Chasabonpulyi focuses on Kimchi's foolishness and incompetence.
    The narrator of The Tale of Kimchi tells how extraordinary the person is though
    direct comments. On the other hand, In Chasabonpulyi the storyteller highlights
    the expanded worlds of the people and problematic mind of Kimchi by showing various relationships of many people who in turn build individual relationship
    with Kimchi. This way the storyteller brings out the inferiority of the hero.
    The character type of Chasabonpulyi is quite different form the historical
    evaluation on Kimchi and is very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of The Tale of
    Kimchi This difference might be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the recorder of
    The Tale of Kimchi was a scholar who lived in the area of Heungduk and
    the oral transmitters of the story Chasabonpulyi were a group of Jeju shamans.
    However, the personification of Kimchi in The Tale of Kimchi cannot be
    considered as a historical evaluation of the individual since the extraordinariness
    of the local governor is highlighted in orally transmitted The Tale of
    Heungdukhyengam. To the group of Jeju shamans, the governor Kimchi
    represented the central power, not considered as a historical individual. Thus,
    character type, the governor Kimch in Chasabonpulyi represents how shamans
    of Jeju saw the government official sent from the center whose ruling philosophy
    is based on confucius teaching. It can be understood as a counterevidence
    of continuous conflict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nd Jeju's shaman
    group throughout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