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생의 꼴라쥬 표현에 대한 학년별 형식특성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9.01
18P 미리보기
초등학생의 꼴라쥬 표현에 대한 학년별 형식특성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16권 / 2호
    · 저자명 : 이근매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생 총 587명을 대상으로 꼴라쥬 기법을 실시하여 공간구성, 사진 사용방식, 조화성의 3영역에서 12개의 형식분석의 각 항목을 체크하고 학년별 표현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꼴라쥬의 공간 구성에 있어서 학년간의 큰 차이 없이 여백이 있게 뒷면 사용 없이 7개 이상의 사진조각을 선호하여 작품을 구성하였다. 다른 학년에 비해 1학년의 경우 많은 조각을 붙이는 것을 선호하고 도화지 이탈의 비율이 높았다. 특히 1, 2학년보다 3, 4, 5, 6학년이 사진조각을 겹쳐서 붙이는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진조각 사용방식에 있어서는 학년별 차이 없이 대부분의 초등학생은 부정형이나 복합 형태로 사진 조각을 자르는 것을 선호하고 사진조합은 3학년부터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아동은 친숙한 문자나 그림을 선호하며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의미있는 문자사용의 비율이 높았다. 대부분의 초등학생이 칼라사진을 선호하고, 많은 수의 학생이 3~6색의 색채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색채사용에 대한 일반 아동의 경향성이 드러났다. 셋째, 조화성에 있어서는 초등학생의 절반이상이 고루 분포된 공간배치를 사용하고, 2/3이상 아동의 작품이 균형 잡혀있고 종이를 가로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학년별에 따른 꼴라쥬의 형식적인 표현특성을 체계화함으로써 꼴라쥬를 통한 아동의 심리진단 평가에 있어 오류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시사할 수 있다.
    "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s vary by students' grades. The present standards of characteristic expressions include worksheet composition, method of using basic materials like photos, and harmony in drawing. The subjects are 587 normal elementary students who range from the first graders to the sixth. After the students carried out collage technique test, I checked 12 items created for this formal analysis,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s in accordance with their grad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when it comes to the composition of the collage, all the subjects showed little variation in some items. They usually preferred to use more than 7 pieces of pictures. Also they liked to use most space in their drawing paper, but did not use the other side of it. One third of the subjects pasted photo pieces to overlap with each other or to extrude from the paper. In particular,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rs showed relatively higher rate of using the overlapping technique than the others.
    Secondly, in all grades, most students preferred to cut pictures into indefinite or complex pieces. Comparatively the subjects from the third graders up to senior students showed remarkable increase in using the photo-compounding technique. Also, the subjects showed their preference in making familiar letters and shapes. The older the students are, the more frequently they use meaningful letters.
    Thirdly, almost all the elementary students preferred color photos over black-and-white ones. The fact that many students used more than 3~6 colors would indicate their tendency toward color application. More than a half of all the subjects showed well-distributed space composition in their drawings. And the works of more than two-thirds students were balanced. Two-thirds of them use the drawing paper horizontally.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helpful in systemizing formally characteristics of collage expression and in avoiding the errors that may occur in a children's psychological diagnosis through collage.

    Key Words : Collage, Collage art Therapy, Formal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