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문화 적응과정에서 보이는 동경거주 한국인 부모의 교육관에 관한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9.01
25P 미리보기
이문화 적응과정에서 보이는 동경거주 한국인 부모의 교육관에 관한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이해교육연구 / 4권 / 2호
    · 저자명 : 이호현

    목차

    Ⅰ. 서론
    Ⅱ.‘ 바람직한육아상’과‘현실의육아’의상호규정을통한 교육관의 양상
    Ⅲ. 이문화 적응과정을 통한 부모의 문화변용과 교육관의 재정립
    Ⅳ.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본고는 한국에서 일본으로 문화간 이동을 통해 이異문화 속에서 육아를 하는 부모에 관한 조사연구이다. 즉, 이문화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상 분석을 통해 부모가 어떠한 경험과 사고를 통해서 교육관을 형성해 나가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동경에 살고 있는 한국인 부모를 대상으로 한 탐색형 집단면접에서 한국인 부모들은 자신들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육아상, 즉 교육관과 일본사회에서의 현실적인 육아 사이에서 교육방법에 대한 불안과 갈등을 겪으며 교육관을 재정립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때‘바람직한 육아상’의 요인을 부모의 생활공간과 시계열적 경험면에서 분석한 결과 일본에서의 현 상황을 이해하는 틀로 한국사회의 지식중심의 조기교육에 대해 민감히 인식하고, 이문화 속에서의 현재 육아모습을‘바람직한 육아상에서 이탈한 부정적인 상황’으로 해석하는 일면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본에서 육아를 하기 전의 경험 중에 외국인으로 구별 지어지는‘소외감’은 자신을 주변인으로 정의내려 일본문화와의 직접적인 대결로부터 탈피하려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부모의 문화변용은 자녀에게 가르치고 싶어하는 언어의 순위와 한국적인 정체성 육성 등 교육관의 재정립으로 연결되고 있었다.
    한국인 부모는 이문화 환경에서 육아과정 중에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에 대한 마찰회피와 소외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한국인 공동체로의 주거이동과 부모의 일본어 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동기를 부여하고 다문화교육을 지향하는 원을 선호하고 있다.
    또한 문화 간 이동 후에도 현재의 육아에 모국의 교육상황을 반영해가며 상호규정을 통해 이문화 환경에서의 육아를 둘러싼 부모의 문화변용과 함께 육아에 대한 교육관을 재정립 해나가는 모습이 검토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축적을 통해 다문화 공간에서의 육아에 대한 이해와 외국인 부모의 학습 및 문화변용에 관한 연구의 기초를 만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리라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belief of Korean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in Tokyo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rough the interviews, it was ascertained that Korean parents was most concerned about methodological difference in education between“Korean ideal style of bringing-up”, and actual bringing-up process in Tokyo.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lso acknowledged two important areas that constitute the educational belief of Korean parents in Tokyo, namely their own experiences concerning education before bringing-up their children and current living environment.
    In the area of pre-bringing-up experiences, parents in Tokyo also sensitively recognized an early and knowledge-centered education which seems to be overheated among parents in Korea as the ideal one. This was referred to in relation to their own growing experience
    in Korea and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ir family members and friends in Korea and from Internet.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ir understandings of the ga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ut them to believe that the Japanese circumstance is a negative deviation from
    the ideal“Korean ideal style of bringing-up”. However, it was also noted that the people who had lived in another country showed the view that the circumstance in Japan as a mere variation not a negative deviation.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before bringing-up children in Tokyo, or notion of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as discussed in the context of“the sense of isolation”. The bringing-up experiences in Tokyo were narrated in the context of avoiding practical troubles and softening the sense of isolation. The strategies they narrated to cope with these potential problems include moving to Shinjuku ward, that has high concentration of foreign residences, and learning the Japanese language. Also they showed deep trust in the Nursery school which promotes redeeming self-respect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ir educational beliefs were seemingly reconstructed through the present bringing-up process which resulting in creating a newer versions of ideal bringing-up for parents to fit their current life in Tokyo. In this sense, this focus group interview itself worked as a meaningful reconstructing experience since these parents were able to share and objectify their experiences with other parents in the process. In the follow-up interviews, the parents confessed that they could reinterpret their experience, encourage themselves and exchange the information after looking at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It was obvious that this study had a certain effect on the change of educational belief that put them to engage even more in the children’s education through exchanging their views with other parents.
    This study also pointed out the fact that they wanted to think the “education in a different culture”positively, where Korean parents may have troubles and be nervous about the resetting process. These findings lead us to the necessity of a further study; that is to determine
    if or how this“different culture”gives these parents’personal growth and becomes an important learning process.
    Key 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accultu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