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온라인 지원 시스템 기반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활용하는 통합형 대학 수업 모형의 개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9.03
33P 미리보기
온라인 지원 시스템 기반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활용하는 통합형 대학 수업 모형의 개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25권 / 1호
    · 저자명 : 임철일, 윤순경, 박경선, 홍미영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I.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지원 시스템 기반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PS model)을 활용하는 ‘통합형’ 대학 수업 모형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하여 대학의 일반 강좌에 통합되어 운영되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형성연구 방법론에 따라서 제안된 모형의 강점, 약점,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먼저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하여 여섯 가지의 일반 설계 원리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하려는 모형의 틀에 해당하는 세 가지 이론적 구성 요소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업 모형의 상세 설계 지침을 도출하였다. 제안된 수업 모형에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A대학 학부 강의 수강생 33명을 대상으로 수업이 실행되었으며, 최종 면담 참여자는 10명이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소개하는 이러닝 컨텐츠와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하는 온라인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온라인 지원 시스템은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위한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다섯 가지 사고 도구(brainstorming, attribute list, hits, PMI, evaluation matrix)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참가자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본 수업 모형의 장점으로 ‘블렌디드 학습 환경의 제공,’ ‘팀 프로젝트의 실행,’ ‘CPS 지원 시스템의 활용’이 확인되었으며, 약점을 고려한 개선점으로는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사고 도구의 선택 기회 제공’, ‘창의적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충분한 안내’, ‘적절한 문제해결 일정’, ‘창의적 문제해결 활동의 결과물에 대한 평가의 실시’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개선점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형성연구를 통하여 수업 모형을 최적화하면서, 모형의 효과성을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instructional model for Creative ProblemSolving with an online support system in a collegiate course, and to improve the principles andguidelines of the model by the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A model was developed by following three steps: finding out general principles from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s; extracting theoretical components for the model; and finally, developing specific guidelines from those theoretical components. Six general design principles and three theoretical components could be identified and a model was developed with a bunch of specific guidelines. A college-level course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investigat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model and suggesting improvements of the model by the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site was an undergraduate course in A university and the participants were 33 students and the final interviewees were 10. The instructional model included e-Learning contents for explaining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thinking tool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an online support system which guided the CPS process and provided such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tools as brainstorming, attribute list, hits, PMI, and evaluation matrix. The participants' responses in the course satisfaction survey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trengths, weaknesses, and improvements of the model. The strengths included ‘providing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implementing a team project’, and ‘utilizing the CPS support system’. The weaknesses and improvements included ‘making participants select appropriate thinking tools for CPS’, ‘explaining the CPS process in detail’, ‘providing a flexible and proper schedule for problem solving’, and ‘evaluating the final product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ity. Key words : creativity, Creative Problem Solving, online support system, integrated instructional model for a collegiate 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