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미술치료 관점에서 본 프리다 칼로(Frida Kahlo)의 작품세계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1
33P 미리보기
미술치료 관점에서 본 프리다 칼로(Frida Kahlo)의 작품세계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14권 / 2호
    · 저자명 : 강미화

    목차

    Ⅰ. 서론
    Ⅱ. 예술작품을 통한 미술치료적 접근
    Ⅲ. 프리다 칼로의 생애와 작품세계
    Ⅳ. 프리다 칼로 작품에 나타난 미술의 자기치유성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1954)는 일생 동안 자신이 겪은 외상의 경험을 작품에 투사함으로
    써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극복하고 예술가로서의 자기실현을 한 화가이다. 화가가 그린 작품의 대
    부분을 차지하는 자화상에는 인간의 존재론적 딜레마인 죽음과 고통에 대한 이미지가 상징적이면서도 동시에 사실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의 심리치료적 의미를 일찍이 인식한 Freud와 Jung의 논의에 의거하여 프리다
    칼로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 미술치료의 관점에서 작품에 나타난 상징의 의미와 색채심리, 그리고
    그림의 치유적 속성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이는 화가가 정신적 상처와 육체적 고통, 그로 인한 죽
    음의 공포와 충동을 어떤 기제를 통해서 극복하고 예술적 승화를 이루었는지, 그 심리적 회복과 재
    생의 과정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작품의 원형이자 예술적 원천이 된 생애사적인 사건과
    트라우마(trauma)의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한 후, 작품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상징과 색에 대한 해
    석을 통해 화가의 심리를 분석하고, 무의식에 억압된 정신적 상처를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외현화
    또는 의식화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프리다 칼로가 시달렸던 정신적 외상, 즉 트라우마는 강렬하고 끔찍한 경험에 의해 자아의 방어 및 보호 기능이 갑자기 붕괴되거나 장애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화가는 언어로는 표현할 수 없는
    내면의 고통을 그림으로 형상화하여 의식의 세계에서 통제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위협하는 트라우마
    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또한 그림을 통해 외적 세계를 향한 의사소통의 창구를 열어놓음으로써 병과
    장애로 인한 고립과 단절을 피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화가에게 있어서 자화상을 그리는 행위는
    자기탐구를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감정의 정화와 승화를 통해
    외상의 경험을 완화하여 심리적 균형을 회복하게 해주었고, 분열된 자아를 통합하여 내면의 변화와
    전환을 일으킴으로써 소통과 치유의 기회를 가져다 주었다.

    영어초록

    Frida Kahlo(1907-1954) is a painter who went through self-realization as an artist by overcoming his mental and physical pain by projecting his traumatic experiences on her artistic
    expression. The self-portraits that constitute most of her works realistically and symbolically
    shape the images regarding the mankind’s dilemma subjects on death and p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analyzes the self-portraits of Frida Kahlo by depending on the
    discussions made by Freud and Jung who have recognized the psychotherapeutical effects of
    paintings. This paper further studies the process of self-healing, the meaning of the symbols,
    and color psychology portrayed in her paintings. This is to look into Frida Kahlo’s work and
    life, how she overcame the physical and psychical suffering, the fear from death, and to figure
    out the process of his psychological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he mental distress or the trauma that Frida Kahlo suffered from refers to a phenomenon
    where the person loses the defense and protection mechanisms due to a severe and terrible
    experience. The artist portrayed her traumatic experiences and unspeakable pain on her
    self-portraits, which has allowed her to escape from the threatening trauma. Furthermore, she
    was able to open up the path for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through her paintings, which
    had allowed her to prevent alienation and separation caused by diseases and disorder.
    As a conclusion, the self-portraits as a form of creative art had served as the cause for her
    to acquire a new identity through self-analysis, the traumatic stress was pacified through the
    chatharsis and sublimation to lead to the recovery of a psychological balance, and bringing about an inner change and transformation by combining the disrupted identity has brought the
    opportunity for healing and communication.
    Key Words : Art Therapy, Self-Portrait, Trauma,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