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학습 방법으로서의 동료평가 :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12
28P 미리보기
학습 방법으로서의 동료평가 :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21권 / 4호
    · 저자명 : 김민정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 의
    참 고 문 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평가(peer assessment)에서 평가자의 역할과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평가자의 역할은 동료 학습자의 과제를 주어진 준거로 평가하여 피드백을 주는 것이었고, 피평가자의 역할은 동료 학습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고 그 피드백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쓰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82명의 예비교사들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인지, 학업 성취, 동기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피평가자 역할을 수행한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학습자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에 평가자 역할을 수행한 학습자들과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평가자 역할의 입장에서 동료평가의 효과성을 보고하는 많은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다. 또, 동료평가에서 두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집단과 한 역할만을 하는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본 실험에 따르면 두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특정 한 역할을 하는 것보다 더 효과가 있다는 결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이는 동료평가에서 학습자들이 수행하는 각각의 역할은 그 나름의 장점이 있고 효과가 있지만, 단순히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동료평가가 학습 방법으로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잘 설계되고 고안된 학습 활동을 가진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동료평가에 내재되어 있어야 동료평가가 하나의 학습 방법으로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Although considerable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ward the value of peer assessment wherelearning is enhanced through maximizing th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hare their work with others in the assessment process, very little work has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types of learner roles in peer assessment on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ssessor and assessee's roles on learners' metacacognition, performance, and motivation in a technology‐related design task. Four intact groups (82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conditions(assessor‐only role condition, assessee‐only role condition, both‐roles condition, and control condition. At first, the participants submitted a draft concept map. Student assessors received a peer’s concept map and assessed it. Student assesses received the student assessors’ feedback. Then, theassessees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peer feedback by filling out back‐feedback (feedback on feedback) form. Immediately following the peer assessment activities, all students were asked to revise their draft concept map based on the experience of peer assessment and to resubmit a final concept map. After submitting this final concept map assignment, students completed a metacognition survey and motivation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ssessee’s role was helpful for students to enhance metacognition on their own learning and to promote their performance, while the assessor’s rol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iveness.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back‐feedback activity, which seemed to help the assessees internalize and reflect upon the peer feedback.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ose who want to employ peer assessment through providing example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well‐developed peer assessment activities, particularlythe back‐feedback activity. Due to the lack of fully randomized design and the short treatment time, the results and interpretation are tentative. Further studies to verify the results are recommended.Key words : Peer Assessment, Assessor, Assessee, Metacognition, Moti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