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기반 하이퍼텍스트 읽기부진 구인 탐색 및 정신모형구축에 대한 영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4.12
33P 미리보기
웹기반 하이퍼텍스트 읽기부진 구인 탐색 및 정신모형구축에 대한 영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20권 / 4호
    · 저자명 : 김회수, 염시창, 신현숙, Thurlow.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 1 연구방법
    Ⅳ. 실험 1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실험 2 연구방법
    Ⅵ. 실험 2 결과 분석 및 논의
    Ⅶ. 종합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하이퍼텍스트 읽기부진(hypertext reading underachievement; UA)이라는 구인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1차 실험에 114명의 초등학생과 2차 실험에 95명의 대학생이 이 연구의 피험자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실험에서 초등학생들은 하이퍼텍스트 학습상황과 계열적 텍스트 학습상황에 무선적으로 배치하였다. 하이퍼텍스트 상황은 목록형, 구조도형 및 구조도 설명형으로 나뉘었다. 2차 실험에서는 대학생 피험자 모두 세 가지 하이퍼텍스트 조건(목록형, 구조도형 및구조도 설명형)에 무선적으로 배치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 읽기수준 집단(부진집단, 유지집단, 증진집단)간에 작동기억검사 점수와 고등사고력 점수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후기억검사 점수와 상황모형 구축 점수에서 대학생 읽기수준 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읽기수준 집단간 작동기억검사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고등사고력 검사에서는 유지집단이 부진집단보다 고등사고력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초등학생 읽기수준 집단간에 텍스트 기반 이해 점수와 상황모형 구축검사 점수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초등학생 읽기수준 집단간에 중압집행장치 작동기억과 언어적 작동기억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시공간적 작동기억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초등학생 읽기수준 집단간에 고등사고력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초등학생과 대학생 모두에서읽기부진이 하이퍼텍스트에 관한 상황모형 구축을 의미 있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struct of the hypertext reading underachievement.One-hundred fourt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95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stud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conditions: the hypertextcondition(n=59), the linear text condition(n=55). The college students were all assigned to thehypertext condition. Reading underachievers(UA) were defined as those who earned scores abovethe median on the test of prior knowledge but earned scores below the median on the test ofpost comprehension. Those who earned scores above the median on the test of prior knowledgeand the test of post comprehension were classified into maintenance readers(MR). In contrast,those who earned scores below the median on the test of prior knowledge but earned scoresabove the median on the test of post comprehension were labelled the improved readers(IR). Themultivariate analyses of variance(MANOVA) were conducted with the reading groups as theindependent variable and various cognitive measures(e.g., working memory, critical thinking as thedependent variables. Also, the multivariate analyses of covariance(MANCOVA) were conductedwith the reading groups as the IV, various cognitive measures(e.g., recall, concept maps) as theDVs, and the scores of prior knowledge as the covariate.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results of the MANOVA showed that among college students, the three groups ofhypertext reading (UA, MR, IR) did not differ in the scores of working memory and criticalthinking.Second, the results of the MANCOVA showed that among college students, the group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scores of recall and concept maps. In recall, the IR was higher that theMR and the UA. On the test of concept maps, the IR scored the highest and the MR scoredhigher than the UA, which scored the lowest.Third,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hree groups of hypertext reading (UA, MR, IR)did not differ in the level of working memory; however, they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level ofcritical thinking. Post-hoc tests revealed that MR scored higher than the UA.Fourth, the results of MANCOVA showed tha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eehypertext reading groups significantly differed both on the text-based comprehension and thesituation model comprehension. That is, the IR scored the highest on both types ofcomprehension, the MR scored the next, and the UA scored the lowest.Fifth,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hree groups of linear text reading (IR, MR, UA)did not differ in two components of working memory such as central executive(CE) andphonological loop(PL), but differed in the other component such as visuospatial sketchpad(VSSP).In VSSP, the IR and the UA scored higher than the MR.Sixth,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hree groups of linear text reading (IR, MR,UA) did not differ in critical thinking.The result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construct of reading underachievement does exist eventhough reading underachievers did not differ in working memory and critical thinking frommaintenance readers and improved rea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