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립생활 체험홈에서 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경험과 변화에 대한 연구1)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9.01
32P 미리보기
자립생활 체험홈에서 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경험과 변화에 대한 연구1)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11호
    · 저자명 : 김경미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과 및 함의
    참고문헌

    초록

    자립생활은 장애인의 자립과 선택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장애인 스스로 어디에서 살지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탈시설화와 맥을 같이 한다.
    장애가족이나 생활시설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난 자기 주체적인 삶을 살려고 하는 장애인에게 자립생활 체험홈은 비장애인들의 일상적인 경험들을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곳을 제공해준다. 체험홈은 자립생활을 원하는 중증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의 자립생활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일정 기간 지역사회 내의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중증장애인에게 자립생활 기술훈련을 제공한다. 이 연구는 장애인의 자립과 관련하여 자립생활 체험홈에서 장애인이 경험한 것은 무엇이며, 그로
    인해 장애인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연구한다. 이를 통해 체험홈이 제공하는 자립지원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총 8개의 체험홈이 연구장소로 선정되었으며, 체험홈 이전 거주자와 현 거주자, 체험홈 담당운영자와의 면담, 그들에 대한 관찰이 이루어졌다.
    현재 체험홈에는 평균 2명이 거주하고 있는데, 일반인의 그것과 동일한 거주 환경과 장애인이 자립생활을 경험하기에 충분한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고 있었다. 자립생활을 준비하는 장애인에게 체험홈은 생활시설 또는 지역사회 내 의존에서 자립으로 이행하는 데 필요한 다리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체험홈에서의 경험은 장애인들이 자신이 삶의 주체임 을 인식하고, 자신의 자율적인 삶에 대해 책임감을 갖도록 변화시켰다.
    또한 타인들과 관계맺기를 시험하고 타인과 어울려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는 기회를 장애인들에게 제공했다. 체험홈에서의 일상생활은 타인의 지원에 힘입어 장애인의 자립이 재창조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장애인이 고기를 잡는 방법을 배우며 세상에 나갈 준비를 하는 경험이었다. 장애인 자립지원의 본질을 구성하는 것은 체험홈의 물리적/제도적 지지환경을 토대로 자립의 실험적이고 실제적인 체험, 보이지 않는 그러나 적극적인 지지자로서의 직원들, 장애인 주체성의 실험과 강화였다. 이 논문은 마지막으로 자립생활 체험홈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예산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It is very importa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learn skill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 they move from residential care to more independent living situations in the community. Transitional housing programs provide people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independent living and learn
    independent living skills.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to explore transitional housing programs. The investigation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service users. The research sites included eight transitional houses. Data sources consisted of observations, interviews with service users and staff, as well as document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programs.
    There was an average of two persons living in each of the transitional houses. The environment of these programs was very similar to that of individual dwellings in the community. People with disabilities found that the programs offered them enough space, and that they were able to stay at the programs long enough to develop a true sense of the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 The programs helped to bridge the transition from dependence
    to independence. While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living in the transitional houses, they strengthened their confidence about their capacity for independent living, had more responsibility and autonomy, and made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ir experiences living in the transitional houses helped them to decide to choose independent living situations in the future.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residential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s the need for the residential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s the need for changes in attitudes about independenc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keyword: transitional housing programs, supporting independent liv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