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애사 연구를 통해서 본 중도시각장애인의 자기상 재구성 과정과 그 기제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9.01
28P 미리보기
생애사 연구를 통해서 본 중도시각장애인의 자기상  재구성 과정과 그 기제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사회복지연구 / 6권 / 2호
    · 저자명 : 이경자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초록

    시각 능력을 상실한 중도시각장애인에 대한 관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특히 자기의 고유성을 거의 확립한 성년이후에 실명을 한 사람들은 그동안 익숙했던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소통하고 자기를 재구성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중도시각장애인들이 실명 후 세상과 만나는 방식과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들의 삶이 세상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재구성되는 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기존의 양화된 방식과는 다른 질적 접근방법인 생애사(life history)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원 자료는 Lieblich와 Tuval-Mashiach 그리고 Zilber(1998)가 제안한 분석틀에 따라 통합적 내용분석과 범주적 내용분석을 한 결과 중도실명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들은 실명전과는 방법으로 세상과 소통하고 주위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중도실명의 의미를 매우 적극적으로 재구성한 연후에 창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외국의 선행연구들은 중도실명을 보통사람으로서의 죽음(Carroll, 1961)으로 간주하고 그 후의 삶을 사회적 영역에서 제한(Lowenfeld, 1973)으로 규정하여 단순한 적응양식에만 초점을 맞추었지만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과거의 자기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나를 재구성할 수 있는 환골탈태의 계기로 의미를 부여했다. 결국 연구 참여자들은 시각의 빛을 상실한 대신 자신의 존재를 비추는 빛을 얻었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자기성을 재구성한 이후의 삶 역시 과거와는 다르게 나타난다. 눈으로 만나는 세계가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개별적인 세계였다면 눈을 감고 만나는 세계는 공동의 생활세계로서 관계지향적인 공유의 의미로 재구축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중도시각장애인들의 삶을 이해하고 전문적인 접근방법을 모색하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importance of having interest for the newly blinded could never be over exaggerated. Especially in cases where sight was lost after entering adult hood and after one’s characteristics had been significantly established, people would have to find alternate ways to communicate and re-construct their identities.
    In tackling this problem, I, the researcher, seek to observe how newly blinded people approach the society after losing sight and how their lives are transformed through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Differentiating from the existing method which focuses on the positive aspect, life history method was chosen for this approach. This research was able to find out by analyzing in both integrated way and categorical way, proposed by Lieblich, Tuval-Mashiach and Zilber(1998), that newly blinded interact with the world and their surroundings in a different way than they did before they turned blind. It could be said that this result was reached after the process of participants actively re-establishing the definition of newly blinded. Preceding researches from abroad view becoming newly blinded as equal as death for ordinary people(Carroll, 1961) and focuses primarily on how they adapt by defining their lives as limited when it comes to social aspects of life(Lowenfeld, 1973). However, this research perceives the change as a chance to breakaway from one’s former self and as a chance to modify oneself in a new way. Thus, it could be said that although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have lost light physically, they have found inner light that lightens one’s inner self. As one reconstructs oneself, one’s life also changes. If the world viewed through the eye is a world that is monopolized, alienated and focuses on individuals, the world viewed through the inner eye is reconstructed as the world of cooperative lifestyles, focused on interdependence amongst people.
    Such research results could be considered as a beneficial finding to understand the lives of newly blinded people in South Korea and to seek further professional approaches.

    Key words: Qualitative Research, Life History Research, Newly Blinded Person’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사회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