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다문화 형성과 이주민의 음악문화 : 다국적 이주민의 문화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8.01
31P 미리보기
한국의 다문화 형성과 이주민의 음악문화 : 다국적 이주민의 문화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27호
    · 저자명 : 윤혜진

    목차

    1. 시작하는 글
    2. 다문화와 소수자의 문화
    3. 한국 내 이주민의 현황과 문화 형성
    4. 이주민과 음악문화
    5. 다국적 이주민의 문화: 한국 내 소수자의 문화
    6. 마무리하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고는 한국 내 다국적 이주민의 현황과 음악문화를 통해 다문화 형성에 대한 총체적인 시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한국 내 이주민의 대부분은 제 3세계의 아시아권에 속해 있으며 이들에게 음악문화는 민족적, 지역적, 개인적 정체성과 직결된 것으로 전통적인 관습 및 사회적 윤리, 그리고 신념이 응축된 문화 자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 이주민의 음악문화는, 음악과 문화에 대한 문제에 제한된 것이 아니라, 한국 내 다국적 이주민의 현황과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배경을 포괄적으로 다루기 위한 관점이다. 즉 이주민의 문화 형성을 음악문화를 통해서 보는 것은 이주민이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각인·유지하여 그들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지를 파악할 수 있는 주요한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라는 용어는 한국 내 다국적 이주민의 문화를 포용하는 개념으로 비춰지지만 실제로 논의되는 바와 제도적 모색은 전체 이주민이 아닌 국제결혼가정에 대한 바로 주로 제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정부의 방안 또한 가족연대주의에 결혼이주여성의 한국화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한국 내 다국적 이주민은 제3세계의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난민, 그리고 이주민 2세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주민의 대부분은 이주노동자이며 그들의 자녀는 소외되고 있고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권은 여전히 개선 및 보완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한국에서 다국적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이주노동자 공동체를 중심으로 형성된 음악문화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한국 내 이주민이 자국의 음악문화를 통해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은 민족적 정체성 각인·유지로부터 기인된다. 이것이 바로 한국 내 다문화 형성의 실제 내용이며 여기에는 사회적 소수자이자 약자로 살아가고 있는 이주민의 실태와 현황이 연계되어 있다. 현재 문화적·사회적 소수자이며 약자인 이주민의 문화가 한국 내 다문화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이주민이 최소한의 안정성을 담보로 문화적 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권·제도적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poses on the whole view toward multiculture being formed in Korea by virtue of approaching to music culture of migrants. My previous study(2003) have discussed over music culture of migrant worker, the main factor causing social issue of multiculture in Korea. At present Korean culture as well as society are required to strive a more active scheme for multicuture society because of migrants being rapidly increased like 7% of the whole population of Korea. Accordingly it is intended in this follow-up study that the present state and music culture of migrants in Korea provide Korean society and culture of these days with a deeper prospect.
    The term, migrant, means multinational people migrated from outside of Korea, but mainly indicates those from the third countries by bounds of consciousness of Korean society. Multinational migrants in Korea have largely consisted of migrant workers, female migrants by international marriage, their kids, and refugees. Most of migrants is of migrant worker. It should be pointed here that migrants are on the state of social minority in Korea. Human rights of migrants and systematical provisions are urgently required to be improved, and policies and scheme of Korean government are not further than Koreanized female migrants by international marriage.
    Multinational cultures are to be formed by migrant worker's community whose solidarity is music culture. Music culture of most migrant's countries is directly related to national, racial, regional, and personal identities. Moreover, considering their cultural background and tradition, music culture is no other than migrant's identity condensed by traditional custom, ethics, aspects of fact(in religion or culture). Consequently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over music culture of migrants cannot be limited only to music or culture, rather leans its axis upon the present social condition and way to make their culture in Korea. That is to say, examining over making culture of migrants through music culture contains the significant view in order to grasp and understand how they are aware of and keep the own identity, whose progress could be linked to that of forming multiculture in Korea.
    Migrants stay as social minority as well as the weak in Korean society, and the essential reason to organize their own community through music culture has been caused by having cognizance of its own identity. Migrant's stability in social condition and human right for participating and keeping migrant's culture community must be ensured so as for migrant's culture to be set in Korea's multicuture. Cognition and recognition identity of migrants by Korea society as well as migrants themselves would be pinpointed at a starting spot so that Korean society can make further steps toward multiculture society of Korea with an upright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