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푸틴집권기 러시아 총ㆍ대선의 비교 연구와 정치적 함의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8.01
26P 미리보기
푸틴집권기 러시아 총ㆍ대선의 비교 연구와 정치적 함의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18권 / 3호
    · 저자명 : 서동주, 강규형

    목차

    Ⅰ. 서 론
    Ⅱ. 푸틴집권기 선거주기의 정치적 함의
    Ⅲ. 국가두마선거 : ‘푸틴정부의 중간평가 對 푸틴(당)에 대한 신임투표’
    Ⅳ. 대통령선거: ‘푸틴의 재집권 對 메드베데프체제 출범’

    초록

    이 글은 푸틴집권기 러시아 국가두마 선거와 대통령 선거를 “러시아의 총ㆍ대선 주기”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고, 이에 담긴 정치적 함의를 도출해 보려는 것이다. 러시아는 예정되었던 총ㆍ대선을 일정대로 치러냄으로써, 법적 제도적 실천성을 갖추고 절차적 민주주의를 제도화시켜 나간 단계에까지 이르렀다고 평가된다. 물론 완결성을 더한다는 측면에서 <2011/2012년> 선거주기의 예정된 실시 여부도 중요하다. 반면 선거과정속에 노정된 관권개입, 매스미디어의 역할, 후보자간 불공정 경쟁 상황 등은 러시아 민주주의 공고화 측면에서 아직도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2003년과 2007년의 국가두마선거는 각각 “푸틴정부의 중간평가”, “푸틴(당)에 대한 신임투표”의 성격을 띠었다. 이들 선거를 통해 ‘통합러시아’가 권력당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개헌 수준을 넘는 압도적인 의석수를 차지함으로써 일점반 정당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또한 정당구도 면에 있어서도 개혁세력이 몰락하고 중도, 공산, 극우민족의 3개 정파 구도가 지속되게 된다. 한편 2004년과 2008년 대통령선거는 각각 “푸틴의 재집권”, “메드베데프체제 출범”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들 선거 모두 각각 푸틴과 메드베데프의 일방적 독주 속에 압도적 승리로 결론이 났다. 후자의 경우 권력구조 면에서 “후계자 대통령-실세 총리”의 양두체제(diarchy)가 등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2007/2008년> 총ㆍ대선의 경우 “푸틴의, 푸틴에 의한, 푸틴을 위한” 선거로, 1인에 집중된 의인화된 권력과 그 의지가 현실 속에 그대로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러시아가 민주화 공고화, 또는 '주권 민주주의'가 발현되는 방향으로 나아갈지, 아니면 후견민주주의, 비자유 민주주의, 관리 민주주의 등의 특징이 고착되는 방향을 띠게 될 지는 “메드베데프-푸틴”의 양두체제 향배와 연계되어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political implications of Russian elections by comparing the State Duma elections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s under the Putin administration on the basis of "general and presidential election cycle in Russia." The elections were held on scheduled time to prove Russia to be at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procedural democracy. On the other hand, abuse of government authority, role of mass-media, and unfair competitions of candidates during the elections showed limitations to the consolidation of Russian democracy.
    The State Duma elections in 2003 and 2007 took on the character of mid-term evaluation and vote of confidence respectively. Through the elections "United Russia" became a party in power with overwhelming seats and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predominant party system. In terms of party composition, reformist parties fell down and three faction system of moderate, communist, and ultra-right continued.
    Meanwhile, the Presidential elections of 2004 and 2008 meant the "reelection of Putin" and the "inauguration of Medvedev" respectively. Each election ended up with landslide victory. From the 2008 election emerged the "diarchy of successor President-powerful Prime Minister." Especially <2007/2008> elections were the ones "of Putin, by Putin, and for Putin" showing personified power and will of Putin. Whether Russia is on the way towards the consolidation of true democracy or towards the manifestation of a tutelary, illiberal, or managed democracy depends on the direction of Medvedev-Putin diarch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