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래동화로 포장된 옛날이야기에 대한 일고찰 : <도깨비방망이>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1
32P 미리보기
전래동화로 포장된 옛날이야기에 대한 일고찰 : &lt;도깨비방망이&gt;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25호
    · 저자명 : 김종대

    목차

    1. 서- 전래동화는 과연 전래동화인가에 대한 물음
    2. , 도깨비를 세상에 알리다
    3, 동화로 출판된 는 전승인가, 창작인가
    4. 전래동화는 과연 전래동화라고 할 수 있는가
    5. 결어- 전래동화는 상품의 포장을 위한 표현이다
    참고문헌

    초록

    도깨비가 주인공인 <도깨비방망이>는 일제침략기에 󰡔조선동화집󰡕에 수록된 이후 우리의 대표적 동화로 정착했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어떤 이유에서 그런 내용을 담고 있는지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이것은 일제침략기에 일본인에 의해서 행해진 이야기의 취사선택, 혹은 이야기의 개작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본다면 다시금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한 이야기의 구조적인 변개를 검토하면서 현재 발간된 동화책의 내용을 보면 이들이 어떤 내용을 모범형으로 삼고 있는지를 잘 파악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들 동화책의 내용은 일제 때 발간된 내용을 그대로 답습하는 경향을 잘 보여준다. 이런 사실은 전래동화라는 명칭과 함께 일제의 잔재를 가장 극명하게 드러내는 대목이라고 하겠다. 과연 이들 이야기가 동화책의 표지에 적혀있는 것처럼 우리나라에서 전승되고 있는 이야기를 토대로 삼은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 심각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동화책에 대한 검토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구비문학을 전공하는 학자와 동화작가 간의 교류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중요한 것은 자신들이 쓰고자 하는 이야기의 원전에 대한 세심한 검토가 수행되지 않은 결과인 때문이다. 이제는 일제시대 이래로 사용된 용어-예컨대 ‘전래동화’라는 표현-나 이야기의 내용 등에 보다 진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런 관점에서 본 글은 향후의 본격적인 논의를 위한 단초적인 성격을 지닌다.

    영어초록

    Doggaebi Bangmangee(Goblin’s magic wand) has settled as representative Korean story for children since it included in Choseon Tale Collect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check on its narration structure through investigation into transmitted folk tales so that the actual context of conjugated form will be clarified. In present paper, only Doggaebi Bangmangee is examined, yet this work can be applied to every Korean story books overall which published naming as transmission tales.
    In conclusion, as far as I concerned, ‘old story’ is more Korean style term rather than ‘transmission tales’. In terms of, ‘transmission tale’ has several questions arise. For example, whether term has been actually used or not, children’s tale has been transmitted by only children and so on. All these questions are remaining uncertain. It was during Japanese invasion when the tales were produced which is suitable for the name of children’s story. In other words, scholars who studied abroad, such as Bang Jung-Hwan, issued children’s magazine and wrote fictive children’s story at that time. And also transmitted tales were made into easy version book so children could read easily.
    This circumstance has not chang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Doggaebi Bangmangee, it is easy to fine same condition in children’s story book which is clothed with transmission tale or old story. Especially existing folk tales were taken for the new creation and it caused narrative structure confusion. This could be a result of not discussing beforehand about where the transmission tale should belong clearly.
    It is much more complicated to regard a story about the past as transmission tale or old story. Because there is big difference between oral transmission folk tale and story puts into writing. Nowadays most of children’s book published without deep consideration on this aspect. From this point, we need to work, starting from terms regulation. From that point, careful concern on children’s book is required.
    Actually, Japanese style expressions and illustrations which flowed into Korea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need to be investigated as well. This is opportunity to provide fundamental basis for Korean children. At the same time, it will be an opportunity that our children can understand more about national identity as Korea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