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상장학 : 그 다양한 모형과 학습사회 형성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0.01
19P 미리보기
임상장학 : 그 다양한 모형과 학습사회 형성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교육논총 / 17호
    · 저자명 : 윤기옥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임상장학의 기원과 발달
    Ⅲ. 임상장학의 다양한 모형들
    Ⅳ. 임상장학 : 학습사회 및 장학의 당면과제와 관련하여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1950년대에 미국에서 시작된 임상장학은 현대장학의 꽃이라고 불리는 가운데 현직교육
    과 직전교육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다양한 모형이 형성되고 있다.
    학교가 변하고, 교육이 변하려면 하나 하나의 교실이 변하고, 한명 한명의 교사가 변하
    여야 한다(Fullan et al., 1989). 교육개혁의 기초는 교실개혁이고 교실개혁의 기초는 교사이
    기 때문이다. 임상장학은 전개된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며,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에서의 교
    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장학담당자와 교사간의 동료관계(colleagueship relationship)를 중
    시하는 가운데 발전적 변화지향적인 건강한 학교풍토의 형성에 기여하며, 이것은 교실개혁,
    학교개혁, 교육개혁의 기초가 된다.

    영어초록

    Clinical supervision which first appeared in MAT program of Harvard university in
    the middle of 1950s has become the heart of modern supervision. It has been widely
    used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as the society and curriculum
    changes various model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Original clinical models which emerged between 1960s and early 1970s emphasize
    collegiality and mutual discovery of meaning. Humanistic and artistic models which
    emerged between 1970s and early 1980s emphasize positive and productive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holistic understanding of classroom events. Technical and didactic models
    which emerged between early to mid 1980s emphasiz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techniques, and organizational expectations. Developmental and reflective models which
    emerged between mid 1980s and early 1990s emphasize teacher cognitive development,
    introspection and discovery of context-specific principles of practice.
    The most successful organizations are the "learning organizations" that are capable
    of adapting quickly in a diverse and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lthough the
    maximally adaptive organization is still an ideal, many schools are moving toward less
    bureaucratic, decentralized structures and are using problem-focused teams to improve
    the performance, which is similar to peer supervision.
    One issue supervision faces involves crea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existing
    rich craft knowledge of teaching can be shared and made part of an ongoing
    professional discussion. As for this the original models seem to be especially
    well-suited.
    Second issue facing supervision with respect to building learning communities
    involves creating conditions by which new knowledge about teaching can be introduced
    and incorporated into classrooms and schools. Many of clinical models seem to be
    well-suited for it.
    A third issue facing supervision is the need to invent and act upon new knowledge
    about teaching and learning, and models by Glickman, Costa and Garmston, as well as
    reflective models seem to be well-suited for it.
    Clinical supervision is an umbrella term which involves various models, and it can
    help teachers become continuous learners and schools become learning societies. It is
    not a specific type of supervision which is needed by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with problem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