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기이식업무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도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1
17P 미리보기
장기이식업무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도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 수록지 정보 : 임상사회사업연구 / 4권 / 1호
    · 저자명 : 이병은

    목차

    I. 문제제기
    II. 장기이식 현황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초록

    1988년 뇌사자의 장기기증에 의한 간이식 성공 이후, 뇌사의 법적 인정 필요성, 생명윤리 논란, 장기매매행위 등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하 “장기법”이라 한다)을 1999년 2월 8일 제정하여 이듬해인 2000년 2월 9일부터 시행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장기법에서는 국립장기이식센터(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 KONOS)를 두어 장기기증에 대한 총괄적 관리를 운영토록 하여 뇌사자의 기증장기를 공정하게 분배하는 성과는 있었으나 장기기증은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장기법에서 사회복지사를 참여토록 규정하고 있으나 장기이식의료기관에서 사회복지사가 어떤 직무를 수행하는지에 대하여 의료사회복지사계에서 많은 연구를 하고 있으나 현재의 객관적인 사회복지사의 직무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장기이식의료기관으로 지정받은 의료기관중 고형장기를 이식할 수 있다고 한 의료기관중에서 52개 기관을 선정하여 2006년 3월 12일부터 3월 22일까지 설문지를 우송하여 회송받았다. 적절치 않은 설문지는 제외하고 이중 16개의 설문지만 통계처리에 사용되었으며, SPSS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이호선(2003)이 개발한 직무수행도를 토대로 하여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수행도로서 일부내용은 사회복지사에게 적합하지 않아 의사의 자문을 받아 수정하거나 제외하였다. 수행점수는 5점 리커트척도를 사용하였으며, 1점은 “매우 자주 한다”에서 5점은 ”매우 적게 한다“로 되어 있다. 점수가 낮을수록 업무에 참여율이 높게 나타난다.

    영어초록

    After the lung transplantation was operated successfully by the organ donation from brain-dead people in 1988, 「The Law of Organ Transplantation」(“Organ Law”) was established on Feb. 8, 1999 and became effective from Feb. 9 of the next year in order to settle the problems relative to the organ transplantation such as the necessity of legal acknowledgement on brain-death, controversy on bioethics, the behavior of organ dealings, etc.
    To make up for those matters,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 was set to have them operate the general management on organ donation, and it leads fair sharing of organs donated by brain-dead people accordingly, organ donation, however, couldn’t be revitalized.
    Organ law prescribes that social workers are to participate in the organ transplantation’s procedure, and medical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s studying what kind of jobs social welfare workers perform in the medical institutions of organ transplantation. There are, however, not many objective studies on the social welfare workers’ duties at present.
    For the study at such current situation, 52 medical institutions which are able to transplant solid organs among the ones designated as medical organizations for organ transplantation were selected. They are surveyed by post from March 12 to 22, 2006. Improper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nd only 16 ones were used to the statistics process. The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by the use of ‘SPSS 12.0’.
    The survey tool is ‘Job performance chart’ designed by Lee Hoseon (2003) and it is partly adjusted. It’s because the subject was nurses and some parts are not suitable to social welfare workers. For the survey, thus, we revised partly or even excluded some context with the help of doctors’ advice. ‘Likert Scales’ (5 points) was used as performance score; it ranges from one point of ‘very often’ to five points of ‘rarely’. The lower the score is, the higher they participate in their du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that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participant social welfare workers are higher than master degree. The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duty in the organ transplantation operation is centered on the evaluation of pureness of organ donation. It is expected that we all should pay attention to enlarge the participation of social workers in organ transplantation hereafter.

    Key Words: social workers specialized in organ transplan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임상사회사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