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서탈춤의 악사와 재인촌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1
38P 미리보기
해서탈춤의 악사와 재인촌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24호
    · 저자명 : 전경욱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가면극 악사의 전반적 성격
    1. 서울 경기도의 산대놀이와 별산대놀이의 악사
    2. 경남의 야류와 오광대의 악사
    3. 기타 가면극의 악사
    Ⅲ. 해서탈춤 악사의 유래와 특징
    Ⅳ. 악사가 해서탈춤의 연희에 끼친 영향
    Ⅴ. 결론

    초록

    한국 가면극의 악사는 지역에 따라 무부(巫夫), 재인촌의 재인, 악사청의 악사, 농민, 연희자를 겸하고 있는 악사 등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서울의 본산대놀이는 총융청의 공인, 양주별산대놀이는 양주 관아의 악사, 송파산대놀이는 무부를 초청하여 삼현육각의 음악 반주를 맡겼다. 동래야류, 수영야류, 고성오광대의 반주 악기는 꽹과리, 징, 북, 장고 등이어서 농악기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악사는 농민이었다. 그러나 현재 통영오광대의 반주 악기는 꽹과리, 징, 북, 장고 등이어서 농악기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나, 연희자와 악사가 모두 원래 통제영의 취고수청에 속해 있던 악공들로서 무계 출신들이었으며, 반주 악기도 타악기 외에 관현악기도 연주했다. 통영의 경우는 가면극 연희자가 악사를 겸하고 있었는데, 악사가 원래부터 전문적인 연주자였던 것이다.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악사는 농악대의 풍물재비들로서 농민이었다. 북청사자놀이의 악기는 퉁소, 북, 징이 위주인데, 악사는 마을 주민인 농민이었다.
    해서탈춤은 연희자가 악기를 직접 연주하기보다는 전문적 악사인 재인을 초청하여 삼현육각의 음악 반주를 맡겼다. 그래서 서울․경기의 산대놀이와 해서탈춤의 악사는 전문적 연주자로서 연희자와 분리되어 있고, 앉아서 반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이 연주하는 삼현육각은 피리․대금․해금 같은 선율악기가 있어서 농악기로만 연주하는 것보다 음악성이 풍부하다.
    산대놀이와 해서탈춤처럼 전문적 악사들이 앉아서 연주하는 음악 반주는 가면극의 춤사위, 노래 등에도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현전하는 가면극 가운데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와 봉산탈춤, 강령탈춤의 춤사위가 뛰어나고 다양하게 세분되어 있으며, 삽입가요가 많으면서 그 가락이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
    황해도와 평안도에는 재인촌이 있었다. 그동안 이 재인촌의 유래에 대해 ‘양수척의 후예’라는 설과 ‘기생의 아들 집단’이라는 설이 제기되었다. 본고에서는 박은용이 조사한 평남 지방 재인촌에 대한 기록, 󰡔조선의 취락󰡕에 소개된 황해도의 구백정부락에 대한 기록, 그리고 재인촌 사람들의 여러 활동에 대한 논의를 통해 재인촌의 재인들이 양수척의 후예임을 입증했다. 특히 황해도와 평안도의 재인촌 사람들은 삼현육각의 악기 연주, 줄타기, 땅재주, 작대기 재주, 서도소리 등 재인으로서의 활동, 고리버들 제품 및 체와 바디 등의 수공업 제품 생산, 기생의 배출 등 고려시대 양수척이 하던 일을 계속하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래서 양수척으로부터 연희자인 재인, 악기 연주자인 악공, 기생, 고리백정 등이 나온 것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그리고 조선시대에 재인과 백정을 함께 모여 살도록 규정한 󰡔경국대전󰡕 형전 ‘재백정단취(才白丁團聚)’ 조에 의해, 전국에 백정촌이 성립되었고, 황해도와 평안도에는 백정촌뿐만 아니라 재인촌도 존재하게 된 것임을 밝혔다.
    봉산탈춤과 강령탈춤에서는 재인촌의 재인들이 탈춤의 반주를 담당했고, 은율탈춤에서는 탈춤의 반주는 물론 연희자로도 활동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봉산탈춤의 보유자였던 최경명은 원래 은율의 재인촌 출신으로서 악기를 잘 연주했을 뿐만 아니라, 취발이 역과 말뚝이 역 등 연희도 했는데, 매우 뛰어난 연희자였다고 한다. 재인들은 원래 악기만 잘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줄타기, 땅재주, 작대기 재주, 서도소리, 성주고사 등에도 능했으므로, 해서탈춤의 노래와 춤 및 연기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난다.

    영어초록

    Music of the Korean mask dance drama was played by different people according to regions: female shamans' husbands; entertainers from Jaeinchon(entertainers' village); musicians from the National Musical Institution(Aksacheong); farmers; and performers and concurrently musicians.
    Detailed descriptions are as follows:
    The music in Bonsandaenori from Seoul area was played by invited musicians of the central military camp Chongyungcheong; Byeolsandaenori from Yanju region was by musicians from the regional government; Sandaenori from Songpa region was by Shamans' husbands who played assorted instruments in the drama;
    Meanwhile, Yaryu genres from Dongrae and Suyeong areas, and Ogwangdae from Goseong region were by general farmers since the main instruments were comprised of farmers' instruments: small gongs, gongs, drums, and hour-glass shaped drums.
    Although Ogwangdaenori from Tongyeong region currently has instruments in the category of the farmer's one, originally the music was played by a group of professional musicians in the military band Chwigosucheong and also accompanied by orchestral music along with percussion instruments. In Tongyeong area, mask dancers are concurrently musicians, namely musicians are naturally professional players. Musicians in the Byeolsinguttalnori from Hahoi region are percussion ensemble players and concurrently farmers. The major instruments of Bukcheong Lion Dance are bamboo flutes, drums, gongs and the musicians are farmers of the region.
    In Mask Dance from Haeseo invited professional musicians played assorted instruments rather than performers did. So musicians in Sandaenori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Haeseo Mask Dance are professional players, separated from performers, and play music in the seated position. Since the assorted instruments include melody instruments such as pipe, large transverse bamboo flute, and a Korean fiddle, they make much more abundant sound than the one farmers' percussion instruments make.
    Musical accompaniment played by professional musicians in Sandaenori and Mask drama from Haeseo region, ha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dance movements and songs of those Mask Dramas. Accordingly Byeolsandaenori from Yangju, Sandaenori from Songpa, and Mask dramas from Bongsan and Gangnyeong have been told that they have the most various dance movements and excellent drama songs and episodes among the extant mask drama genres.
    In Hwanghae and Pyeongan provinces, there were Jaeinchon villages where have two different origins of its origin: one is that the residents, Jaein, are descendants of Yangsucheok and the other is they are 'groups of sons of traditional femail entertainers, Gisaeng.' This paper proves that Jaein groups were descendants of Yangsucheok by examining various sources such as Park Eunyong's report on Jaeinchon village in the south Pyeongan region, record on the Old Baekjeong village in Hwanghae province from the book of 󰡔Villages of Joseon󰡕, and other various discourses on activities of Jaeinchon people. In particular, it is noticeable that Jaeinchon residents in Hwanghae and Pyeongan provinces kept playing entertaining activities (including playing various instruments, performing various feats), producing handicrafts, and training female entertainers as Yangsucheok people did in the Goryeo dynasty. All in all, it can be concluded that Jaein people as performers, Akgong people as musicians, female entertainers, and the lowest class Baejeong were all originated from Yangsucheok.
    The Joseon's Code of Criminal Law Part (Jaebaekjeongdanchwi(才白丁團聚)) of Gyeonggukdaejeon which made Jaein people and Baekjeong people (the lowest class mainly consisting of butchers) reside together, can prove why a number of Baekjeong villages were built up all over the country and how Baejeong villages and Jaein villages coexisted in Hwanghae and Pyeongan provinces.
    It can be seen that while groups of Jaein from Jaeincheong play music in Bongsan and Gangnyeong Mask drama genres, musicians play two role as musicians and performers as well. Mr CHOI Gyeongmyeong from Jaeinchon village, was told a very noted performer who played various musical instruments as well as acted the roles of Cwibari and Malttugi very well. All things considered, Jaein entertainer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ongs, dances and mask drama performances of the Mask Drama from Haeseo region since they were proficient in playing different skills such as tight tope walking, tumbling, acrobatic pole-trick, folk songs from Hwanghae and Pyeongan provinces(so called Seodo region), playing Seongju shamanic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