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러닝 학습환경에서의 학습용 웹 화면의 구성 요소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6.01
21P 미리보기
이러닝 학습환경에서의 학습용 웹 화면의 구성 요소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교육연구 / 8권 / 1호
    · 저자명 : 나일주, 김세리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초록

    사이버 교육으로 대표되는 웹기반 학습이 보편화됨에 따라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화면설계의 방법들이 다각적으로 모색되고 있다. 그간의 연구들은 교수자의 입장에서 화면설계의 각 요소들의 학습효과를 살피는, 교수자 중심의 설계요소 효과 탐색에 초점을 맞추어 왔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법은 학습자가 실제로 학습화면을 대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화면전체를 인식하고 어떠한 기준에 의해서 서로 다른 화면들을 지각, 분류, 해석하는지 설명하지 못하며, 따라서 교수설계의 궁극적인 수혜자인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는 화면설계에 이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연구는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가 다양한 학습용 웹 화면들을 어떻게 지각 · 해석하며 분류하는지, 그 분류와 차이 인식의 기준을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진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다차원 척도법이 채택되었으며 학습자가 규정하는 의미공간의 각 차원이 학습자의 화면구분의 준거인 것으로 상정되었다.
    피험자로는 다양한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한명의 개인이 선정되었고 이 개인의 '개인 공간(personal space)' 에 대한 다차원적 해석이 이루어졌다. 자극물로 사용된 웹 화면은 모두 열 두 개로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 및 사이버대학의 학습용 웹 화면으로부터 추출되었다. 피험자는 선정된 12개의 화면에 대하여 두개씩 쌍(pair)으로 짝지워진 68 문항의 화면쌍별로 자신이 인지한 유사성의 정도를 표시하였으며 두 자극간의 거리는 동간변인으로 취급되었다.
    다차원 척도 분석의 결과, 피험자의 인식공간은 3차원으로 나타났다(Stress=.20, RSQ=.72). 이들 각 차원에 대한 화면설계 요소별 분석 및 각 자극 화면들에 대한 비교, 그리고 피험자 및 전문가들의 의견 경청 등의 과정을 통해 이들 세 개의 차원은 1) 구조 관련 차원(1차원), 2) 텍스트 관련 차원(2차원), 3) 시각효과 관련 차원(3차원)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웹 화면 설계의 관점전환과 전략개발에 시사하는 바는 의미심장한 것이지만, 이것은 한 개인 피험자의 인식공간에 대한 분석의 결과로서, 본 연구의 탐색적 성격에 비추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결론적이고 결정적인 결과로 속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다만 이 연구의 결과가 학습용 웹 화면에 대한 학습자 인식 관련 연구의 시초에서 그 초보적 토대를 제공하는 정도의 공헌을 인정받을 수는 있을 것이며, 동일한 자극물에 대한 집단 공간(group space)에서의 다차원적 척도분석 등의 후속연구를 통하여 그 타당성의 외연을 넓혀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how learners recognize and classify various elements in WBI(Web-Based Instruction) screen interface. Ulitimately, the study aimed to clarify which elements instructional designer should consider intensively in the phase of "image sketching" and "rough design" in designing process, by specifying criteria for learner recognition on compoments of screen interface.
    Multidimensional scaling was utilized as a research method and each dimension of semantic space was decided as a criterion of disriminating components of screen interface. A single learner was selected as a subject and the multidimensional interpretation on "personal space" was performed. The research material was 12 screens chosen from WBI programs developed and used in major corporations and cyber universities in Korea. The subject marked the scale of similarity for 68 screen-pairs, which were combination of 12 web screens selected and as typical screen interface model of general WBI.
    To clarify the answers for research themes, researcher took the actual course in each target university as a student and examin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oroughly. After course work, daily work sheets which had records of overall learning activities were analyzed to extract the research results in an qualitative aspect and learning interaction data from electronic bulletin board messages.
    As a result of a research, the subject's semantic space was defined as three dimensional space(Stress=.20, RSQ=.72). Every element related to each demension was analyzed and interpretated, which wa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ree dimensions were 1) dimension of structure(dimension 1), 2) dimension of text(dimension 2), 3) dimension of visual(dimension 2).
    The result of research should not be considered nor determined as a fixed principle, as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attempt to recognize "personal view" from personal semantic space. To gain more stable principle and fundamentals, follow-up studies such as a research on "group semantic space" or a research on various factors on learners should be performed.

    Keywords: screen interface, web-based instruction, multidimensional scaling, learner's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