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치료적 음악활동이 좌측 편마비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6.01
24P 미리보기
치료적 음악활동이 좌측 편마비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치료학회지 / 8권 / 1호
    · 저자명 : 정가은

    목차

    방법
    결과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이 연구는 편측무시 환자들에게 치료적 음악활동(리듬악기 연주, 키보드 연주, 가사 보고 노래 부르기)을 실시하여 각각의 음악활동이 편측무시의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노인전문병원에서 뇌졸중의 진단을 받고 장기입원 하에 치료를 받고 있는 좌측 편마비 환자들로서, 심한 편측무시가 있는 남녀 2명이었다. 실험은 2005년 9월 12일부터 11월 8일까지 약 9주간에 걸쳐 총 30회(전, 후 평가 3회 포함, 매회 40분간) 중다중재설계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는 기초선 기간과 중재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A는 기초선, B는 리듬악기 연주, C는 키보드 연주, D는 가사 보고 노래 부르기였다. 순서에 의한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대상자 1은 A1-
    B-A2-C-A3-D의 순서로, 대상자 2는 A1-C-A2-D-A3-B의 순서로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의 편측무시 감소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MVPT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매 회기마다 편측무시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Albert Test와 선 나누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치료적 음악활동은 대상자들의 편측무시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후 대상자 1의 MVPT 원 점수는 21점에서 29점으로 시지각 능력에 향상을 보였으며, 좌측반응점수도 10점에서 16점으로 편측무시에 28.57%의 감소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2도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원 점수 20점에서 26점으로 시지각 능력에 향상을 보였으며, 좌측반응점수도 9점에서 14점으로 편측무시에 있어서 23.8% 감소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음악활동은 기초선 기간에 비해 편측무시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Albert Test와 선 나누기 검사를 통해 나타난 대상자들의 편측무시 감소율의 평균을 보면, 중재 B(리듬악기 연주)는 23.03±4.24%, 중재 C(키보드 연주)는 35.82±8.88%, 중재 D(가사 보고 노래 부르기)는 26.82±4.12%의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세 가지 중재 모두 편측무시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effect of therapeutic music activities(playing rhythmic instruments, playing keyboards, and singing with written lyrics) on the degree of unilateral neglect of patients with left hemiplegia, who are not able to recognize the left side due to the disability induced by structural brain le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 male and 1 female in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stroke at a hospital for the elderly receiving treatment for severe unilateral neglect due to left hemiplegia.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12 to November 8, 2005 for 9 weeks using the multi-treatment design with a total of 30 sessions which included 3 sessions of pre- and post-evaluations, 40 minutes per sess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baseline period and intervention. The baseline was designated as A, rhythmic instrument playing was designated as B, keyboard playing was designated as C, and singing with written lyrics was designated as D, and in order to control the effects of order of the study, subject 1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A1-B-A2-C-A3-D and subject 2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A1-C-A2-D-A3-B. The MVPT test was used at the first and last sessions of the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decrease in unilateral neglect of the study patients. In addition, Albert test and line bisection test were given to the patients at each session in order to assess the level of unilateral negl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showed an effect on decrease in the level of unilateral neglect of the patien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MVPT raw score of subject 1 increased from 21 points to 29 points, showing an enhancement in his visual perception and he also displayed a 28.57% reduction in unilateral neglect with an increase in the left reaction score from 10 points to 16 points. Subject 2 also displayed improvement in her visual perception following music therapy program with an increase in the MVPT raw score from 20 points to 26 points and a 23.8% reduction in unilateral neglect with an increase in the left reaction score from 9 points to 14 points. Second, each music activity showed an effect on decrease in unilateral neglect compared to the baseline period. In evaluating the average reduction rate of unilateral neglect of the subjects that were found through the line bisection test, intervention B(rhythmic instrument playing) showed a reduction
    of 23.03±4.24%, intervention C(keyboard playing) showed a reduction of 35.82±8.88%, and intervention D(singing with written lyrics) showed a reduction of 26.82±4.12%.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all three of therapeutic music activity interventions had an effect on decrease in unilateral neglec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치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