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실반영 ‘온라인 PBL 설계모형’ 개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01
34P 미리보기
현실반영 ‘온라인 PBL 설계모형’ 개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43권 / 2호
    · 저자명 : 장정아

    목차

    1.서론
    2.이론적 배경
    3.연구방법
    4.온라인 PBL 수업의 사례연구 결과 및 해석
    5.현실반영 온라인 PBL 설계모형
    6.논의 및 제언

    초록

    문제기반학습(PBL)은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 문제를 제시하고,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 상호간에 공동으로 문제해결방안을 강구하고,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을 통해 공통의 해결안을 마련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게 되는 학습방법이다. 이러한 PBL은 문제해결능력과 협동학습능력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교육분야에서 그 적용가능성에 대해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수-학습방법이다. 전통적으로 PBL은 면대면 환경에서 이루어졌지만, 교육현장에서 PBL을 보다 쉽게 실천하고자 하는 노력과 온라인 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자하는 시도로서 온라인에서의 PBL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PBL을 실천하려는 노력에 비하여, 온라인 PBL의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설계하여 실행하고 있는 사례는 매우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온라인 PBL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수자와 교수설계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PBL 설계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PBL의 설계 및 실행과 관련된 문헌검토를 통해 기존의 온라인 PBL 설계의 논리를 밝히고, 실제 이루어지고 있는 온라인 PBL 설계 및 실행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실제 현상을 드러내어, 현실을 반영한 ‘온라인 PBL 설계모형’을 제시하였다. 현실반영 ‘온라인 PBL 설계모형’은 온라인 PBL을 위해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단계 및 이들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온라인 PBL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수자 및 교수설계자에게 현실적인 안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odel of design process for online PBL(Problem Based Learning). In order to formulate the design model of online PBL,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1) What are the viewpoints on designing online PBL? 2) What are the authentic processes of designing online PBL? 3)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oretical model and real model of designing online PBL? 4)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oretical model and real model of designing online PBL? 5) What is the online PBL design model that presents the procedures of designing online PBL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process?
    A literature review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were performed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is study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1) Literature reviews of online PBL: offline PBL, online PBL, designing process of offline PBL, designing process of online PBL were examined. 2) The actual designing procedures for online PBL were observed.
    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4) The design model of online PBL was formulated. Especially, for describing the authentic process of designing online PBL,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instructor in the online PBL course was executed.
    The overall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Based on literature review, it was investigated that 1) Online PBL design process was focused on problem development, online learning spa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rategies. 2) Major online PBL design procedures were divided into ‘design’ and ‘implementation’.
    2. In the real online PBL design settings, it was observed that 2) The step of ‘implementation’ was important in online PBL design process. 2) During online PBL design process, all design process steps were iterated. 3) Instructor in online PBL performed tutor's roles with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activities.
    3. The design model of online PBL consisted of the five steps :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 and evaluation, just as the general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However, the design model of online PBL was differentiated in which it had separated and overlappe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parts. Through implementation, students' needs, authentic needs was identified and reflected in design again. In other words, the design
    should be a mirror of the reality on implementation. This study presented a ‘reality mirroring model of online PBL’. In order to validate the appropriateness and usefulness of this model, the expert evaluation were adopted. The expert evaluation confirmed the face validity of the model by showing affirmative responses.
    Discussions on design model for online PBL and further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