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극의 성립과 해체 과정에 나타난 공동체 문화의 위상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01
32P 미리보기
근대극의 성립과 해체 과정에 나타난 공동체 문화의 위상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21호
    · 저자명 : 사진실

    목차

    1. 머리말
    2. 연극 공연과 공동체 문화의 관계
    3. 근대극의 성립 과정과 판소리 개량의 의미
    4. 근대극의 해체 과정과 탈춤 재창조의 의미
    5. 맺음말 : 연극사의 추이와 공동체 문화의 위상

    초록

    판소리와 탈춤은 지역적이거나 계층적인 공동체 문화를 기반으로 향유된 구비문학이면서 근대 이행기의 문화를 대표한다는 측면에서 동질성을 지닌다. 그런데 판소리와 탈춤은 한국연극사의 전개 과정에서 근대극의 성립과 해체라는 상반된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 논의에서는 연극의 공연 행위와 공동체 문화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판소리와 탈춤의 변별적인 위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론은 연극 공연에서 발생하는 극중공간, 공연공간, 일상공간의 세 층위를 바탕으로, 제의와 연극 등의 연행에서 참여자들의 변화를 포착한 셰크너의 이론을 수정 보완하여 마련하였다. ‘지속적인 변환’을 하는 대표적인 연행 양식이 통과의례라면, ‘일시적인 변환’을 하는 대표적인 연행 양식이 근대극이다. 이 논의에서는 지속적인 변환을 추구하면서도 반복적인 연행을 통하여 끊임없이 공동체 문화를 다져나가는 변환 방식으로 ‘주기적인 변환’을 설정하였다.
    탈춤과 판소리는 지속적인 변환을 이루는 제의에서 출발하여 민속예술의 단계를 거쳐 흥행예술로 성장하였다. 그 과정에서 판소리는 고도의 음악성을 바탕으로 고급예술로 발전하였고 연행자와 관객이 모두 일시적인 변환을 경험하는 근대적인 공연 양식인 창극으로 개량되었다. 판소리의 창극화는 근대적인 극장문화에 편입되는 대신 공동체 문화의 기반을 잃는 결과를 가져왔다. 반면, 탈춤은 공연방식과 공연미학의 측면에서 공동체 문화의 속성을 유지하는 대신 근대적인 극장문화에 편입될 수 없었다.
    근대극의 해체 과정에서는 공동체 문화로서 연극의 위상을 회복시키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민속예술 또는 민중예술 단계의 이념과 형식을 회복하기 위한 연극 운동의 결과 탈춤이 지닌 공동체 문화의 장점을 돌아보게 하였던 것이다. 탈춤의 마당극화를 통하여, 극중공간과 공연공간, 일상공간의 층위가 서로 소통하고 연기자와 관객이 직접 소통하게 되었다. 연극 공연이 참여자의 삶에 지속적인 변환을 가져다줄 수 있는 공동체의 연극이 회복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대극의 해체 과정에서 돌아보게 된 공동체 문화는 중세나 근대 이행기 연극의 양상과는 다르다. 중세나 근대 이행기의 연극에서는 지역이나 신분, 생업 등의 동질성을 바탕으로 공동체 문화가 형성되었다면 마당극 운동에서는 이념적 동질성에 기초한 공동체 문화를 추구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Pansori and Talchum are similar in terms of their traditions as oral literature based on class or regional community culture, and also as representatives of cultural genre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ity. However, Pansori and Talchum played different roles in the history of Korean theatre, by being integrated into two contrasting movements, namely the establishment of modern drama, and its disintegration. This paper attempts to distinguish the differential statuses of Pansori and Talchum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tive practices of theatre and community culture.
    Methodologically, this paper formulated a theory, modifying the performance theory of Richard Schechner. The theory analyzes transformation of the participants in rituals and plays at three different levels-i.e., theatrical space, performance space, and ordinary space. In this theory, rites of passage are the most notable form of performance to accomplish “transformation,” whereas modern play is the genre in which “transportation” occurs. In this paper, a concept of “periodic transform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repetitive theatrical performances which continuously reaffirm existing community culture, while ultimately pursuing a “transformation” of the participants.
    Pansori and Talchum, originally had begun belonging to rituals whose objective was transformation, developed into folk arts, and eventually into performing arts for public entertainments. In the process, Pansori evolved into a form of “high art/culture” which required high level of musical sophistication. Pansori later developed into a modified genre, Changgeuk which was a modern form of performance in which the performers and spectators alike experienced “transportation.” The evolution of Pansori into Changgeuk led to the loss of its characteristics grounded on community culture. In contrast, Talchum maintained its roots in community culture in terms of both its performative forms and esthetical appreciation; in exchange, it was not involved in the movement for establishment of modern drama.
    During the period of disintegration of modern drama, a movement began to rest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atre arts and community culture. The strength of Talchum as an art form rooted in community culture came to be recognized, as a consequence of the vigorous mobilization within theatre art to reinstate the ideological basis and forms of folk art. Popularization of Talchum as Madanggeuk which integrated theatrical space, performance space, and ordinary space into one open field allowed performers and spectators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ommunity cultures that reappeared in during the disintegration of modern drama differ however from the elements of community culture in medieval and modern transitional periods. The community cultures were formed on the basis of shared experiences of regional communities, class, or occupations in the theatrical arts of medieval and modern transitional periods. On the other hand, Madanggeuk movement pursued the community cultures ideologically as a part of social mov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2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