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령기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간 가정내 안전사고 위험 요인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01
21P 미리보기
학령기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간 가정내 안전사고 위험 요인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 수록지 정보 : 방과후아동지도연구 / 2권 / 1호
    · 저자명 : 김혜금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연구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초록

    본 연구는 우선 초등학교 학생 중에서 방과후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을 자기보호 아동으로 그렇지 않고 귀가해서 어머니를 비롯한 성인의 보살핌을 받는 아동을 성인보호 아동으로 간주하고, 가정내 안전사고 위험요인과 관련하여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간에 가정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가정의 물리적 환경, 아동과 형제자매의 이전 사고 경험, 어머니(또는 주양육자)가 인식하는 자녀양육에의 도움 근원과 사회적 지지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방과후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의 어머니(또는 주양육자) 141명과 초등학교 저학년에 다니는 아동의 어머니(또는 주양육자) 151명 등 총 292명이며, 질문지는 Ramsay, Moreton, Gorman, Blake, Goh, Elton, 그리고 Beattle(2003)의 연구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자기보호 아동의 가정보다 성인보호 아동의 가정의 자가 주택 비율이 더 높고 아동 개인의 방을 소유하고 있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보호 아동의 가구내 성인의 수는 1명인 경우가 많은 반면 성인보호 아동의 경우에는 가구내 성인의 수가 2명인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 모두 주로 노는 장소는 놀이터와 가정이었지만 자기보호 아동이 성인보호 아동보다 도로에서 더 많이 노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두 집단간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놀이 장소의 위험 여부에 대해서는 자기보호 아동의 어머니 63.4%, 그리고 성인보호 아동의 어머니 37.4%가 위험하다고 응답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내 안전장비 이용 실태를 살펴보면,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의 가정 모두 비상약품함을 구비하는 비율(88.6% vs 87.3%)이 높게 나타났고, 소화기 비치율(23.4% vs 26.4%)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자기보호 아동의 가정이 성인보호 아동의 가정보다 안전장비 이용율이 낮게 보고 되었는데 이러한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사고경험에 있어서 자기보호 아동이 성인보호 아동보다 더 많이 치료를 받고 사고 경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집단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제자매의 사고경험을 살펴보면, 성인보호 아동의 형제자매가 자기보호 아동의 형제자매보다 이전 사고로 인한 치료 경험이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보고 되었지만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어머니가 인식하고 있는 자녀양육에의 도움 근원과 사회적 지지 정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 모두 확대가족과 이웃 등에서 자녀양육에의 도움을 받지만 성인보호 아동의 어머니와는 별도로 자기보호 아동의 어머니들은 방과후 보육시설에서 자녀양육에의 도움을 받는다고 보고했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부족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자기보호 아동의 어머니는 73.5%였고, 성인보호 아동의 어머니는 51.9%에 해당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self-care children and adult-care children in home safety injury factors including family social-demographic factors, physical home environment, child and sisters and brothers' previous injury experiences, and mothers' recognition of social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1 mothers of self-care children in school age child care centers and 151 mothers of adult-car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Ramsay, Moreton, Gorman, Blake, Goh, Elton, & Beattle(2003)'s research, questionnaire was develop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e and x□□.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ult-care children' families owned more their houses and had more private rooms than self-care children's families. The number of adults in self-care children's family was larger than that of adults in adult-care children's family. This difference of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both self-care children and adult-care children played in playground and home. Self-care children played more in the street than adult-care children. This difference of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63.4% of mothers of self-care children thought where children played were more dangerous than those of adult-care children.
    Third, on the use of home safety equipments, both self-care children's homes and adult-care children's homes had a firstaid kit most and a fire extinguisher least. Generally self-care children's home had less home safety equipments than adult-care children's home except for firstaid kit.
    Forth, self-care children had medical treatment and injuries more than adult-care children. Brothers and sisters of adult-care children had medical treatment more than those of self-care children.
    Finally, both of mothers of self-care children and those of adult-care children took assistance from extended family and neighbors. Only mothers of self-care children responsed social assistance from school age child care center. 73.5% of mothers of self-care children and 51.9% of those of adult-care children reported social support as deficient or very defici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과후아동지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