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술 문학과 공동체 : 새로운 문제 제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4.01
18P 미리보기
구술 문학과 공동체 : 새로운 문제 제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19호
    · 저자명 : 김열규

    목차

    1. 포스트 모더니즘 시대의 지역 공동체와 민속문화
    2. 글로벌리즘 시대의 향토성과 지역성
    3. 공동체성과 구전문학의 새 지평 열기

    초록

    이 글의 최종적인 목적은 구술문학과 공동체 또는 공동체성과 구전문학의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선 공동체, 공동체성의 개념과 아울러서 민속과 구전문학의 의미, 기능 등이 새로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적시될 새로운 지역성과 공동체성 그리고 민속 및 구전문학의 속성을 말할 때, 당연히 ‘포스트 콜로니얼리즘’의 추세가 고려되어야 한다.
    한편, 포스트모더니즘의 추세와 나란히 오늘날을 글로벌리즘의 시대라고 부르는 것과 관련시켜서 새로운 지역성과 공동체성 그리고 향토성을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명제는 아울러 구술문학에도 적용 가능하다. 광역화되고 원심적인 공동체 개념이 모색되는 동시에 민속과 구전문학 역시 광역화된 공동체 또는 공동체성과 맺어서 생각할 수 있다. 즉, 글로벌리즘과 로컬리즘의 성공적인 절충인 ‘글로컬리즘’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로컬리즘을 살려야 한다. 이 같은 당위성 앞에서 민속이나 구술문학의 새로운 입지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오늘날의 에콜로지 또는 에코 컬츄어도 고려의 대상에 넣어야 한다. 환경이나 자연도 중요한 향토 자료이자 지역문화임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오늘의 시대가 대량소비사회에 겹친 산업사회고 레저 문화 시대라는 것을 전제로 한 새로운 공동체 및 공동체성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인식의 눈에 다다라야 할 것이다. 구술전승을 비롯한 민속문화가 소비 시장과 위락 시장에서 새로운 상품이 되는 길 또한 모색되어야 한다. 그것이야 말로 열린 시대의 한국적인 공동체를 형성하는 이념적인 주축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구전문학은 글로벌리즘 시대다운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힐 것이며, 한국인의 범세계적인 공동체성이 부각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final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literature and global, or globalism and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The relationship is based on two premises. The first is the change of period and historicity in the present time, and the second is the change of direction of culture and social current.
    For attaining the goal of the thesis, the notion of ‘global(or globalism)’ and the meaning and function of ‘folklore’ and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must be newly examined in the first place. Of course, the tendency of post colonialism must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when discussing the property of regionalism, globalism, folklore and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Hereby, folklore culture, including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is forced to be a standard for a new colonial liberation.
    On the hand, the new regionalism, globalism and localism must b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tendency of postmodernism and so-called ‘globalism’, the term which names the disposition of these days. The proposition also can be applied to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The folklore and the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can be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xtended global’ and the ‘globalism’, side by side with groping for the notion of extended and central global. That is, for establishing ‘glocalism’, which is the compromise between globalism and localism, internal localism must be examined first of all. From the view of the essentiality like above, new location of folklore and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can be newly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ecology’(or ‘ecoculture’) of the present time also must be examined. It must be remembered that the environment and the nature are an important provincial material or a regional culture. Ecology snd ecoculture make the notion of the community of men, coexisting with ecological environment, and without them, the community of men may collapse or malfunction.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get a recognition that the new global and globalism must be grope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esent time is the era of industrial society which has mass consumption tendency, and the age of leisure culture. Also, it must be considered the way that folklore culture including oral tradition become new products.
    This is the very ideological main axis that forms korean global in the open period. Through it, the korean folklore can suggest the new horizon in the era of globalism and the world globalism of Korean can be outstanded over the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