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전이야기 현지조사연구의 문제와 시각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5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3.01
50P 미리보기
구전이야기 현지조사연구의 문제와 시각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17호
    · 저자명 : 김영희

    목차

    1. 들어가며 : 현지조사연구는 끝났는가
    2. 체계적인 현지조사연구의 시작과 정체(停滯) : 대계의 성과와 한계
    3. 새로운 현지조사연구 모색의 징후 : 연행 관련 문제의식의 축적과 대계의 ‘발견’
    4. 연구 시각의 성숙과 자료의 부재 : ‘연행 중심 이론’의 수용과 ‘화자론’의 성과와 한계
    5. 민족지적 현지조사연구의 필요성 : 무엇이 민족지적인 접근을 요구하는가
    6. ‘객관주의 신화’의 해체 : 연구자의 개입을 배제한 현지조사연구는 가능한가
    7. 나오며

    초록

    연행․전승 현장의 변화와 구전이야기 연구 성과의 축적에 따라 ‘현장’을 보는 새로운 시각과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현지조사연구론을 모색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성과들을 검토해 보면, 우선 󰡔한국구비문학대계󰡕(이하 󰡔대계󰡕)는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현지조사연구의 시발점을 보여주었으나 선험적인 틀에 따른 현지조사, 객관적인 조사 방식의 모순, 연행에 대한 미시적인 분석 시각 미비 등의 한계를 드러냈다. 그러나 이후 󰡔대계󰡕는 비판적으로 계승, 발전되지 못한 채 후대 연구자들에 의해 답습되었다.
    󰡔대계󰡕의 경험을 바탕으로 80년대 이후 연행론과 화자론이 활발하게 대두되면서 역동적이고 입체적인 연행의 여러 측면을 정치하게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 시각이 조금씩 무르익어 갔다. 그러나 연행론과 화자론은 축적된 연구 성과에 기반한 현지조사연구론의 추동을 받지 못함으로써 텍스트 분석에 치중하거나 텍스트 작가론의 방법을 답습하는 편향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최근 참여관찰에 기반한 민족지적 시각과 방법이 현지조사연구의 새로운 전망으로 부각되고 있다. 민족지적 연구는 연행 및 전승 현장의 복잡한 맥락(context)과 연행의 역동성을 분석할 수 있는 미시적인 관점과 질적인 분석 방법을 지향한다. 또한 연구 주체와 연행 주체, 현장 사이의 다양한 연관과 상호 작용에 주목하여 이를 전면화함으로써 연행에 내재한 이질적인 요소들을 함께 포착할 수 있다.
    무엇보다 민족지적 관점은 배후에 숨어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조사자의 시각을 전면에 폭로하여 객관주의 신화를 해체하였다. 이로써 현지조사는 일방적인 조사와 관찰이 아닌, ‘현장과의 만남’이 되었으며, 연행을 둘러싼 수많은 차이와 균열들을 무화(無化)하지 않음으로써 연행에 작용하는 다양한 헤게모니들을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critical review of the studies based on fieldwork of oral narratives and issues and perspectives of ethnographic reasearch. Finding new perspectives of the researches based on fieldnoting, this reviw examines the result and the limit of fieldwork studies accumulated up to the present.
    Examining the view and the method of the fieldwork for 󰡔Korean Oral Literature Collection󰡕(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vol.1-85, 1980-1992), which was the first organized and sciencetific field research based on network of professors and assistants majored in ‘oral literature’, it was not purposed to take a view of and research ‘oral literature' qualitatively but to pile up a lot of diverse versions of folktales, folk songs and oral epics(shamans' songs) quantitatively.
    So It passed over researcher's perspectiv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 and performers, storytellers' social position, people's interaction in performance community, communicative clues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and so on. And then It has not been succeeded to later fieldworks critically.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studies on storytellers have developed frames and methods of analyzing performance. They have been interested in the context and the condition of performance, the active situation of speech, telling skill, the way storytellers have formed folktales, diverse aspects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ng among members of community, performers' relating to social group etc. But there have not been meterials of fieldnoting which have reflected issues of Performance-centered theory and have contained topics of studies on storytellers. So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studies on storytellers have not born new perspectives of fieldwork research and have become to be text-oriented.
    It is expected that ethnographic research based on participation observation can deal successfully with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on fieldwork. Ethnographic research reveals relation between researcher and performers, which put up researcher at the surface. Thus it is able to deconstruct the myth of objectivism and present heterogeneity of performance, so it enables hegemony and ideology of discourse to be analyz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