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인호, 한류가 한국관광지 이미지, 관광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22(3), pp.359-380(2007).
· 김홍범,장호성, 관광지 방문후 이미지가 태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7).
· 김명선(2006), 한류 관광집단과 비한류 관광집단 간의 한국에 대한 지각차이: 중화권 관광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p.22.
· 김이향(2006),“방한 중국인의 한류태도,관광지 목적지 이미지,관광자 선택속성,만족 및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성섭, 김미주(2005), 태국 사회에서 한류 대중문화상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인식과 한국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23(4), pp.101-125.
· 김병국, 박석희(2001), “관광지의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No.-,pp.347-360.
· 김소리, 구매자-사용자 불일치 구매의도 모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8).
· 고정민(2007),“문하콘텐츠 경영전략”,커뮤니케이션스북스 pp.249-251.
· 곡건국(2005),“한류를 활용한 중국인 관광객 유치증대 방안”,관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류의 경제적 효과’, 2001. 9.
· 박창규(1997), 관광자만족 결정경로와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0.
· 박대한(2004), 한류를 통한 중국인 관광객 유치전략, 관광정보연구,Vol.18, pp.129-148.
· 박석희(1998), “관광지의 이미지 구축에 관한 연구 - 남한산성을 중심으로”,경기관광연구, Vol.-No.2,pp.27-48.
· 박미진,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청소년의 진로정보탐색행동 예측 모형.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7).
· 박동진, 손관영(2004), 관광동기, 이미지, 기대, 만족 및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안동지역 방문자를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pp.65-83.
· 서용건, 서용구(2004), 한류가 한국의 관광지이미지와 관광객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28(3), pp.47-64.
· 서용건․김희수(2002).「한류를 활용한 중국관광객 유치증진 방안」.한국관광연구원.기본연구.
· 심진범(2007), “지역관광개발정책에 대한 주민저항 영향요인”, 한양대학교대학원, 사학위논문
· 손대현 (1989),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마케팅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32.
· 유진호(1998),“中國國際觀光産業의 發展에 관한 硏究”,高麗大學校國際 學院석사학위논문.
· 이종희(2005), 한류 드라마촬영지를 방문한 관광객만족도에 관한연구: 일본관광객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5.
· 야은숙(1997), “民俗祝祭의 文化觀光資源化方案硏究”, 여행학연구, Vol.6No.-,pp.153-178.
· 이홍규, 이동희(2005), 방한 일본관광객의 관광동기에 따른 만족도분석,관광연구저널, 19(3), pp.327-337.
· 이희승, 김성섭(2006), 한류관광 선호유형결정에 미치는 영향 요인분석, 관광학연구 30(3), pp.203-224.
· 유지윤(2005),“중국관광 유치확대 지원방안”,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 안종윤(1986),“한국의 外來觀光客誘致政策模型定立에 관한 硏究”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홍규(2005), “일본 한류(韓流)관광객의 동기ㆍ만족도 분석 및 문화관광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태희(1997), “한국관광이미지 측정척도의 개발”, 관광학연구, 20(2),pp.80-95.
· 이상봉(2002), “관광지이미지가 관광지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엄서호(1998), “관광지 이미지 측정에 관한연구”, 관광학연구, 21(2),pp.53-65.
· 이문정, 라스베이거스 관광 이미지가 선호도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1).
· 임윤정,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외래관광객의 한류 문화콘텐츠 행동 예측모형: 한국드라마와 음반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문(2008).
· 오미영(2003),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광고학연구,pp.149-177.
· 윤동구, 관광객만족구조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0).
· 쟝페이페이(2009), “한류가 관광지이미지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방한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양례, 박정욱(2004), 한류가 한국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한인지적․정서적평가, 관광경영연구, 8(1),pp.319-336.
· 조영신(2006), 한국 문화상품이 방한잠재 홍콩관광객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4.
· 조미혜, 정우철, 김성조(2006), TV드라마 촬영지의 관광지속성과 일본인 관광자의 태도, 관광학연구, 30(4), pp.9-25.
· 정승훈(2003), 한류를 이용한 제주관광 활성화 방안, 관광경영연구,7(3), pp.313-336.
· 최규환, 관광교육 서비스 평가, 만족,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8(1), 135-152(2005).
· 최영정,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관광객의 책임관광 행동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0).
· 최은정, 한국 거주 서구인의 개고기 식용에 관한 식행동 분석: 확장된 계획 행동 이론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0).
· 하경회(2008),“중국인 관광객 유치 전략에 관한 연구”,Tourism Research 제26호,pp.109-128.
· 한수진,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저소득층 아동의 구강 보건증진 프로그램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9).
· 한국관광공사(2002).「신한류 관광마케팅」.
· 한국관광공사(2005),“해외한류 및 한류관광동향”,한류연구팀,pp.8-14.
· 熊元斌과 李晟(2008), 韓流後時代中國潛在遊客群體分析, 東北亞論壇.,第84回, p.8, p.32.
· Ajzen, I., & Fishbein, M.,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1980).
· Baloglu, S. & McCleary, K. W., A model of destination image form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26(4), 868-897(1999).
· Bigne, “Tourism Image, Evaluation variables after Purchase Behaviour: Inter-Relationship”, Tourism Management, 22(6),607-616(2001).
· Echtner & Ritchie(1993), “The Measurement of Destination Image: An Empirical Assessment”,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31, No.4.
· Fakeye&Crompton(1991),“Image difference between prospective frist-time,and repeated visitors the Lower Rio Grand Valley, Journal of TraveResearch."30,pp.10-16
· Fishbein, M., & Ajzen, I.,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ssachusetts:Addison- Wesley(1975).
· Fornell(1992),“Productivity,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as Strategic
· Success Indicators at Firm and National Levels", Advances in strategic management,Vol.11-No.-,pp.217-230.
· Fakeye&Crompton(1991),“Image difference between prospective frist-time,and repeated visitors the Lower Rio Grand Valley, Journal of TraveResearch."30,pp.10-16
· Gartner, W. C., Image Formation Process. Journal of Travel &Tourism Marketing, 2, 2-3(1993).
· Kotler, “A Framework for Marketing Image Management”, 32(2),94-104(1991).
· Lam, T., & Hsu, C. H. C., Theory of planned behavior: Potential travelers from China,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28(4), 463-482(2004).
· Martin & Eroglu(1993), "Measuring a Multi-DimensionalConstruct: Country Image",Journalofbusinessresearch,Vol.28No.3,pp.191.
· Pearce,P.L.(1982),“Perceived changes in holiday destinations”,Annals of Tourism Research,9(2),pp.145-164.
· Phelps,A.(1986),“Holiday destinations image- the problem ofassessment: An example develop in Menorca, Tourism Management”, 7(3),pp.168-180.
· Pierro, A., Manetti, L., & Livi, S., Self-identity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health behavior and leisure activity. Self and Identity, 2(1), 47-60(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