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인수 외, 「교육법론」. 하우기획. 1995.
							
											· 박동규(1998), 「청소년 폭력 대처방안」, [video recording], EBS-TV
							
											· 박진동․김수경(2013), 「캐나다 교육이야기」, 서울: 양철북
							
											· 서천석(2013), 「아이와 함께 자라는 부모」, 서울: 창비
							
											· 송형호․서울특별시교육청(2009), 「자율통제교실」, 우수선진자료집 시리즈 : Levin & Shanken-Kaye(1996), The Self-Control Classroom, Kendall/Hunt Publishing Co.의 번역본
							
											· 성열준 외(2011), 「청소년문화론」, 서울: 양서원
							
											· 조재훈 외(2013),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 서울: 박영사
							
											· 조석훈․김용(2007), 「학교와 교육법」, 서울: 교육과학사
							
											· 파커 J. 파머(2000),『가르칠 수 있는 용기』, 서울: 한문화
							
											· 한국청소년개발원(1997),「청소년폭력 : 국제비교연구를 통한 해결방안 모색」, 한국청소년개발원
							
											· 홍영미․송형호․유영석․김대헌․이영화․민미영(2013), 「교육을 바꾸는 힘, 감성교육」, 서울: 즐거운학교
							
											· Jane Nelson Ed.D(1987), Positive Discipline, New York: Ballantine Books
							
											· Linda Albert(1996), Cooperative Discipline, Lebanon(USA): Ags Pub.
							
											· 강인수 외(2010), 「학생의 실질적 권리 신장을 위한 법령 개편 방안」, 연구보고서: www.wee.go.kr에서 2014.3.25.검색 
							
											· 김정원외, 「교사의 학생이해 및 소통역량 강화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3-08: 서울
							
											· 김준호외(1997), 「학교주변 폭력의 실태와 대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96-12: 서울
							
											· 김진우(2013), 「상벌점제, 대안을 찾는다」, (사)좋은교사운동본부 정책토론회 발표자료
							
											· 류방란 외(2007), 「학교부적응학생의 교육실태 분석: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2007-11
							
											· 문용린 외(2010), 「학업중단 위기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09특별연구과제보고서
							
											· 박효정(2002),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RR-2002-3)
							
											· 박효정(2013),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학교문화 형성요인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현안보고 OR 2013-14
							
											· 송형호․이병일․박정일․정명옥 혁신교육연구팀(2011), 「부드러움과 강함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지도 모형연구」, 서교연 2011-55 「2011연구과제 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 신선호(2011), 「인권 친화적 생활교육」, 인권존중의 중등생활지도직무연수교재(제1기),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pp13~38
							
											· 이승현 외(2013), 「현장중심 학교폭력 개선을 위한 법․제도 구축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미래사회협동연구총서 13-16-01, 형사정책연구원
							
											· 이혜영 외(2012), 「학생의 학교부적응 진단과 대책(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2-05
							
											· 이혜영 외(2013), 「학생의 학교부적응 진단과 대책(Ⅱ)」,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3-04
							
											· 조영상․송요원외 학생행위규칙모델개발연구팀(2007), 「학생 권리(인권)와 책임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학생행위규칙 모델 개발」, 서교연 2007-119 「2007특별연구과제 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 현  주(2013), 「위기학생 지도와 인성교육의 중요성」, 교육정책네트워크 이슈페이퍼 2013 제2호,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강종국(2000), 學生懲戒實態 比較 硏究 : 安山市·始興市 中學校를 中心으로,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석사학위논문
							
											· 고보현(2011), 학생체벌 대체방안의 법적 지위와 한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귀술(2003), 중학교 학생 징계제도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교사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장영(2000), 學生非行에 대한 學校의 懲戒 現況 分析 : 濟州道 中等學校 中心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휘(1991), 敎師의 職務 스트레스와 精神. 身體的 症狀 또는 說盡과의 관계 : A형 性格과 社會的 支援의 緩衝 效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종만(1995), 高等學校 學生懲戒規定의 適法節次와 衡平性, 韓國敎員大學校 석사학위논문
							
											· 박찬주(2008), 청소년의 법의식 신장을 위한 학생 자치 법정 운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방풍자(2000), 高等學校의 學生徵戒 實態分析,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필순(1999), 高等學校 敎師의 職務스트레스 原因이 精神健康에 미치는 影響, 光云大學校 석사학위논문
							
											· 신창해(1999), 사회봉사명령이 비행청소년에게 미치는 효과 : 대전광역시 청소년자원봉사센터에 위탁된 비행학생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정기(2011), 학교폭력에 따른 갈등경험과 해결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에 입각한 피해자-가해자 대화모임(victim-offender mediation)을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명진(2008), 고등학교 학생포상 및 징계 규정 분석,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상돈(2001), 학생징계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실업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재순(2000), 학교폭력에 관한 의식 및 폭력 실태 : 예산군 초, 중, 고등 학생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장남(1981), 學生懲戒規程에 關한 硏究 : 서울 市內 高等學校를 中心으로,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 조석훈(1996), 學生懲戒의 特性 分析, 서울大學校 大學院 박사학위논문
							
											· 조진회(2011), 위기청소년의 특별교육이수 경험에 대한 연구, 평택대학교 신학대학원 상담학 박사학위논문
							
											· 최문호(2009), 상벌점제 운영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 연구 : - 강원도 중․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병수(2011), 학교부적응 해소를 위한 대안교육 운영 개선 방안 : 부산광역시교육청 대안교육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용(1082), 고등학교 생활지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내 남여고등학교 징계실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대유(2010),학생 징계절차 확립과 학생 참여방안, 「敎育法學硏究」, Vol.22 No.2.
							
											· 도종수(2003), 청소년 학교 중퇴 의도의 원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 10호, 제 3권, p. 207.
							
											· 박성혁․박선운(2009), 법교육 관점에서 본 학생징계 시행 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교육연구」, Vol.4 No.2,
							
											· 박제윤(1997), 학생 징계 제도와 운영 실태, 「敎育法學硏究」, Vol.9 No.1.
							
											· 손희권(2006), 현행 초․중․고등학생 징계제도의 헌법적합성 검토, 「韓國敎育」, Vol.33.No.4. pp.199~226) 
							
											· 신군자(2004), 청소년 위기와 학교의 구조적 혁신 과제, 「교육사회학연구」, 제 14권 3호. p.142
							
											· 연성진 외(2008), 한국사회 폭력문화의 구조화에 관한 연구, 「연구총서」, Vol.2008 No.12
							
											· 오명식, (1997),근절되어야 할 학교내․외 폭력, 「교육개발」, pp.16-17.
							
											· 이동명․김후년(2012), 학교폭력법에 의한 징계절차에 관한 연구 -가해학생에 대한 교육적 접근을 중심으로-, 「法과 政策」, Vol.18 No.2.
							
											· 이상균(2000), 청소년의 학교비행에 대한 생태체계적 영향요인, 「사회복지연구(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15 No.1, 한국사회복지연구회(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이승현(2012),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개정내용 및 개선방안, 「형사정책연구」, Vol.90 No.-
							
											· 이춘화(2001), 「학생징계 및 재입학제도의 개선방안 연구-의무교육과정에 있는 학생을 포함하여」, 한국청소년개발원
							
											· 이희정(2009), 전문계 및 인문계 청소년의 지위비행과 학생 징계경험을 설명하는 변인,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6 No.2.
							
											· 정순원(2010), 학생체벌을 둘러싼 학생의 인권과 교권과의 관계, 「법과인권교육연구」, Vol.3 No.3.
							
											· 조석훈(1997), 학생징계의 의미 : 교사·학생·학부모간 인식의 차이 분석, 「敎育法學硏究」, Vol.9 No.1.
							
											· 경기도교육청, 학교폭력 별도 장부에 기재 ‘절충’(2013.2.24.),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2242210125&code=940401>에서 검색
							
											· 공문폭탄에 멍드는 교단(2012.5.11.), 서울경제신문, <http://economy.hankooki.com/ lpage/society/201205/e2012050117135993820.htm>에서 2014.3.1.검색
							
											· 관련부처합동(2012), 학교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한 종합 대책
							
											· 교원들, 가장 효과적인 학교폭력 대책은 '학생부' 기재(2013.2.4.), 뉴시스<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0204_0011815544&cID=10201&pID=10200>애서 2014.3.21.검색
							
											· 교육부 홈페이지: www.mest.go.kr/
							
											· 교육학용어사전(1995.6.29.),<: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11128&cid=530&categoryId= 530>에서 2014.2.4.검색
							
											· 국가인권위원회(2006.6.7.), 인권위, “학생 징계 시 적정한 절차 준수하여야”, <http://www. newswire.co.kr/newsRead.php?no=157770&ected=>에서 2014.3.22. 검색
							
											· 기재 미룬 교사징계 부당(2014.2.27.),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arti/society/ society_general/626199.html>에서 검색
							
											· 마석우(2014.1.13.), 학교폭력 학생에 대한 징계처분에 있어서도 행정절차법상 처분의 근거와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 <http://wiselaw70. blogspot.kr/2014/01/blog-post.html>에서 2014.3.21.검색
							
											· 마석우(2013.3.26.), 학폭 징계처분에 대한 취소사건, <http://wiselaw70.blogspot.kr/2013/03/blog-post_9561.html>에서 2014.3.21.검색
							
											· "매점 하나 바꿨을 뿐인데... 학교 폭력 줄었어요"(2014.3.20.),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69105>에서 2014.3.23.검색
							
											· 미국, 수업 늦게 시작하는 고등학교 늘어나(2014.3.14.),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4/03/14/0601090100AKR20140314011800072.HTML> 에서 2014.3.23.검색
							
											· 반인권적 이중처벌, 학교폭력 생활기록부 기재 반대 학부모 기자회견(2012.08.31),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보도자료
							
											· 법원."학교폭력 자살한 학생 부모에 위자료 지급하라"(2014.3.14.), 서울경제신문, <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1403/e2014031410220293800.htm>에석 검색
							
											· 법원 “‘사이버 폭력’ 사후조치 미흡해 ‘왕따’ 당했다면 학교 책임(2014.2.25.), 파이낸셜뉴스,<http://www.fnnews.com/view?ra=Sent1201m_View&corp=fnnews&arcid= 201402250100272910014010&cDateYear=2014&cDateMonth=02&cDateDay=25>에서 검색
							
											· [복지이슈] 학교폭력, 저소득지역-공립교에 많다(2012.1.10.),대전광역시사회복지사협회, <http://www.djasw.or.kr/board/board_05.htm?ctype=bbs_view&board=board_26&no=1895&page= 31&total_num=1165&keyfiled=&key=&st_page=31&ed_page=40>에서 2014,3,20.검색
							
											· 생활지도부는 생활지옥부(2013.10.11.),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310/ h2013101121020321950.htm>에서 2014.3.22. 검색
							
											· 선사고등학교 2013년 교육계획서, <www.sunsa.hs.kr/>에서 검색
							
											· 서울여자고등학교 홈페이지: http://www.seoulgs.hs.kr/index/index.do
							
											· 아침마다 한명 한명 프리허그… 학교폭력 사라졌어요(2014.2.20.), 문화일보, <http://www. munhwa.com/news/view.html?no=2014022001072927158002>에서 2014.3.22.검색
							
											· 안양옥(2012.1.23.),‘학교 폭력 근절하려면 학생 징계부터 강화를’, 동아일보
							
											· 역할극·벽화 그리기·콘서트 열어 캠페인 앞장…한마음으로 '학교폭력 NO!' 외쳐요(2014.3.10.),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 2014/03/09/2014030901151.html> 2014.3.23.검색
							
											· 1인 1역 사례(초등): http://cafe.naver.com/ket21/1600  
							
											· 1인 1역 DB 150 가지: http://cafe.naver.com/ket21/1642 
							
											· 일반고 징계현황 200배 차이(2012.4.23.), 김명신 보도자료(2012.4.23.), 마포신문, <http://www.maposhinmoon.com/bbs/board.php?bo_table=board1&wr_id=2833&page=9>에서 2014.3.24.검색
							
											· 2013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및 정보공시 분석결과 발표(2013.11.29.), 교육부 보도자료
							
											· 전수민(2013), 「서울시교육청 생활지도부장 연수자료」
							
											· 지영환(2012.3.1.),‘칸트의 철학과 학교폭력 예방 시스템’, 머니투데이, <http://www.mt.co.kr /view/mtview.php?type=1&no=2012030116573394907&outlink=1>에서 2014,2,25,검색
							
											· 체벌 금지 및 학생인권 조례 정책에 대한 경기 및 서울 지역 교사 의견조사(2011.4.20.), 전교조 보도자료 
							
											· 최순영(2006), 교육시론 ‘아이들은 누구에게 폭력을 배웠나?’, 교육정책네트워크정보센터, <http://edpolicy. kedi.re.kr/EpnicForum/Epnic/EpnicForum01Viw.php?PageNum=13&S_Key=&S_Menu=&Ac_Code= D0010101&Ac_Num0=5843>에서 2014.2.20. 검색  
							
											· 최영인(2013.8.21.), “학교폭력, ‘무관용 원칙’ ‘회복과 치유’ 병행전략 필요”, 일요주간, <http://www.ilyoweek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46>에서 2014.3.25.검색
							
											· 카페 돌봄치유교실:http://cafe.naver.com/ket21
							
											· 폭력 내역 학생부 기재 효과,지속적 예방 교육 필요(2014.3.17.),조선일보,<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3/16/2014031601243.html> 2014.3.23.검색
							
											· 폭력학생 출석정지제 논란/감싸 안고 선도를, 다수위해 징계를(2004.1.8.), 서울신문 
							
											· 학교알리미: www.schoolinfo.go.kr
							
											· 학교폭력기재 거부한 교육감-교장 고발(2012.10.17.),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 Society/3/03/20121017/50161319/1>에서 검색
							
											· 학교폭력대책 예방에 중점…'현장없는 대책' 비판도(2013.7.23.),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3/07/23/0703000000AKR20130723091651004.HTML>에서 검색
							
											· 학교폭력예방종합포털사이트: http://stopbullying.or.kr
							
											· [학교 폭력 이젠 그만] "독일선 학교 폭력에 무관용 원칙… 1920년대 초부터 학생부에 기록"(2012.9.20.), 조선일보, <http://m.chosun.com/article.html?contid= 2012092000157&sname=news>에서 검색 
							
											· 학교폭력 해법(2013.3.28.), 안광복,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 213&contents_id= 21591>에서 2014.2.5.검색
							
											· 학교폭력 징계사항 학생부 기록, 재고해야(2012.2.6.), 경기도교육청 논평, <www.ken.go.kr/>에서 검색  
							
											· 학교폭력, 저소득지역 - 공립교에 많다(2012.1.10.),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 Society/New/3/03/20120110/43200560/1>에서 2014.3.20.검색
							
											· 학교폭력기재 거부한 교육감-교장 고발(2012.10.17.),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 Society/3/03/20121017/50161319/1>에서 검색
							
											· 학교폭력 예방 블루존 캠페인(2013.11.15.), 교육부 보도자료
							
											· 학교폭력 기록 학생부 기재를 거부한다(2012.8.20.), 전교조 보도자료 
							
											· 학생간 성폭력 3년새 6배 급증…중학생이 압도적(2013.11.26.), 서울경제신문, <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1311/e2013112615053193760.htm>에서 2014.3.20.검색 
							
											· 한국교육개발원 국내교육동향: https://www.kedi.re.kr/khome/main/research/listInternalForm.do
							
											· 한국교육개발원 국외교육동향: https://www.kedi.re.kr/khome/main/research/listExternalForm.do
							
											· 흡연/음주 징계 학생 2년새 급증.3년간 16만7,000명 적발(2013.10.22.), 베리타스 알파, <https://www. veritas-a.com>에서 2014.3.20.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