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高麗史』『高麗史節要』『璿源八高祖圖』『陽村集』『列聖王妃世譜』
· 『朝鮮王朝實錄』『安東權氏大同世譜』『安東權氏成化譜』『彦陽金氏族譜』『文化柳氏嘉靖譜』『原州元氏族譜』『坡平尹氏世譜』『固城李氏世譜』『淸州鄭氏大同譜』『全州崔氏諱均系郡守公諱孟溫派譜』
· 金龍善,『譯註 高麗墓誌銘集成』, 翰林大學校 아시아文化硏究所, 2001.
· 朴龍雲,『高麗社會와 門閥貴族家門』, 景仁文化社, 2003.
· 姜兌圭,「朝鮮前期 坡平尹氏 勳戚勢力 硏究」, 國民大學校 碩士學位 論文, 2007.
· 고혜령,「원 간섭기 성리학 수용의 일 단면 -崔文度를 중심으로-」,『한국중세사연구』제18호, pp.137~171, 2005.
· 김경수,「세조대 단종복위운동과 정치세력의 재편」,『史學硏究』제83호 pp.73~113, 2006.
· 김기덕,「고려 시대 왕실 선원록의 복원 시도 - ‘고려성원록’의 분석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제43권, pp.141~185, 2002.
· 金範,「燃藜室記述」인물조 주요인물의 혈연관계와 官歷 - 조선 태조~인조대 지배세력의 연속성과 그 의미」, 『大東文化硏究』第41輯, pp. 207~277, 2002.
· ___,「조선전기 院相 家門의 변천과 그 의미 - 勳舊勢力 파악의 한 사례연구 - 」『史叢』第49輯, pp.25~80, 1999.
· 김인호,「고려후기 가문보존의식과 방식 -안동권씨가를 중심으로-」,『한국중세사연구』제25호, pp.31~58, 2008.
· 金泰永,「朝鮮 초기 世祖 王權의 專制性에 대한 一考察」,『韓國史硏究』87, pp.117~146, 1994.
· 柳炅來,「高麗 後期 文化 柳氏 家門의 家系와 通婚圈」, 亞洲大學校 敎育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7.
· 朴永鎭,「安東權氏『成化譜』硏究」,『동양예학』12권, pp.193~228, 2004.
· 朴天植,「朝鮮 建國功臣의 硏究 : 政治勢力 규명의 일환으로」, 全南大學校 博士學位 論文, 1985.
· 李秉烋,「朝鮮初期 政局의 推移와 容軒 李原의 對應」,『역사교육논집』32, pp.207~304, 2004.
· 이정란,「족보의 자녀 수록방식을 통해서 본 여말선초 족보의 편찬 배경」-『안동권씨성화보』․『문화유씨가정보』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연구 제25호, pp.117~155, 2008.
· 이정완,「고려 후기~조선 초기 고성이씨 가문의 정치 활동에 대한 연구」,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李泰鎭,「15世紀 後半期의「鉅族」과 名族意識 -《東國與地勝覽》人物條의 分析을 통하여 - 」,『韓國史論』3권, pp.229~323, 1976.
· 鄭在勳,「조선초기 왕실혼과 왕실세력의 형성」,『韓國史硏究』95, pp.59~108, 1996.
· 鄭惠順,「여말선초 파평 윤씨 가문의 동향」,『考古歷史學志』17․18合輯, pp.117~160, 2002.
· 崔陽奎,「中國 宗譜와 朝鮮 族譜의 比較 硏究」, 弘益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007.
· 韓忠熙,「朝鮮初期 淸州韓氏 永矴(~1417 이전, 知郡事贈領議政)系 家系硏究 - 歷官傾向과 通婚圈을 중심으로 -」,『계명사학』6권, pp.1~47, 1995.
· 미야지마 히로시(宮島博史),「『안동권씨성화보』를 통해서 본 한국 족보의 구조적 특성」, 『大東文化硏究』第62輯, pp.201~241, 2008.
· Edward W. Wagner,「1476년 安東權氏族譜와 1565년 文化柳氏族譜 - 그 性格과 意味에 대한 考察 - 」,『石堂論叢』第15輯, pp.359~364,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