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AHP기법을 이용한 그린캠퍼스 의사결정 요소별 중요도 분석

그린캠퍼스에 관한 논문자료 입니다.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4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4.03.03 최종저작일 2012.12
48P 미리보기
AHP기법을 이용한 그린캠퍼스 의사결정 요소별 중요도 분석
  • 미리보기

    소개

    그린캠퍼스에 관한 논문자료 입니다.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목차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의 목적

    제2장. 이론적 배경
    2.1. 그린캠퍼스의 개념
    2.2. 그린캠퍼스 연구 동향
    2.3. AHP 기법
    2.3. 환경관련 AHP기법 연구동향

    제3장. 연구방법
    3.1. 그린캠퍼스 의사결정 요소 도출을 위한 브레인스토밍
    3.2. 그린캠퍼스 의사결정 주요요소
    3.3. 설문조사

    제4장. 연구결과
    4.1. 그린캠퍼스 의사결정요소 가중치 선정 평가표 분석결과 및 해석
    4.2. 그린캠퍼스 운영요소 중요도 도출을 위한 AHP 요소 분석결과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현재 전 세계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따른 기후변화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범지구적 현상으로 어느 누구도 피해갈 수 없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 정부는 2009년 녹색성장위원회를 창설하고 2010년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을 제정하는 등 기후변화에 대해 대처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고,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녹색성장과를 개설하는 등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의 캠퍼스도 예외일 수 없다. 대학교는 다수의 사람이 모여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공간으로서, 이에 따라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또한 오염물질을 배출하여 기후변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는 곳이기 때문이다. 2007년 한국에너지관리공단에서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국내 대학교의 매년 에너지소비량의 증가폭이 평균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학으로 하여금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기 위한 ‘그린캠퍼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현재 연세대 등 10개 대학이 그린캠퍼스로 선정되었다.

    <중 략>

    선례논문의 비교를 통해 의사결정요소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경 영적 측면이 가장 중요하며, 경영적 측면에서는 그린캠퍼스에 대한 마스터플랜 (계획)과 경영자의 의지가 중요하며, 경영자의 의지를 잘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조직의 결속력이나 구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교과과정과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연구 인프라를 갖추고 연구 활성화를 이끌어 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식적 측면에서는 구성원의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지속 적인 홍보와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시설적 측면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다른 측면보다는 덜 중요하지만, 빠질 수 없는 요소로 볼 수 있다. 기후변화란 키워드가 화두가 되고 있는 만큼 그와 관련하여 에너지, 물 등의 요소가 중요하다고 평가된 것을 볼 수 있으며, 기타 자원 등의 요소도 중요하다 하겠다.

    참고자료

    · 신의순, 정성철, 라화은, 김승주(2011). 대학의 기후변화 대응정책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김기호, 성종상, 최경호, 김경민, 정혜진, 김찬국, 박대건, 김우주, 황바람, 김세원, 박해옥, 이상우(2010). 그린캠퍼스 인증 도입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 김영, 안성진, 박진호, 최진도(2009). AHP기법을 이용한 건강결정요소 및 건강도시사업 가중치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2집, 제3호.
    ·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2012). 그린캠퍼스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녹색성장위원회, 2012년 녹색성장위원회 정책연구과제 중간 보고서.
    · 김영숙(2012). AHP를 이용한 한식당 종사자 의식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산업경제연구, 제25권, 제2호.
    · 정승준, 한범수(2006). 계층화 분석(AHP)을 이용한 2005 경기방문의 해 사업평가. 관광학 연구, 제30권, 제3호.
    · 이종열, 이영철(2007). 자연재해의 관리전략에 대한 AHP 분석. 한ㆍ독 사회과학논총, 제 17권, 제2호.
    · 오용선, 윤기돈, 엄홍석, 손형진, 고재경(2010). 그린캠퍼스 실천 매뉴얼 및 온실가스 인벤 토리 모델 개발. 위탁연구, 2010-03.
    · 김한솔, 윤호영, 노광현(2010). 그린캠퍼스 조성을 위한 전사적 관점에서의 대학 운영 전 략에 관한 연구. 2010년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유성준, 이정희, 양정훈, 권종욱(2011). 학생 주도 그린캠퍼스운동의 성과 및 과제.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1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모수원, 김창범(2012). AHP와 퍼지 AHP를 이용한 국가별 FTA에 따른 산업부문의 상대적중요도. 산업경제연구, 제25권, 제2호.
    · 홍정만(2011). AHP 기법을 적용한 민간 기업의 신재생에너지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 에너지경제연구, 제10권, 제1호.
    · 설상철 , 송만석 , 박종환(2008). AHP 기법을 이용한 패스트푸드점의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0권, 제3호.
    · 송권식 , 박문서, 이현수, 김수영(2011). AHP를 이용한 탄소 저감형 자재 공급업체 선정 프로세스 설계. 대한건축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구조계, 제31권.
    · 채병곤, 조용찬, 송영석, 서용석(2011).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 취약성 평가표 개발. 지질공학, 제19권, 제1호, 2009.3, 99-108.
    · 김용삼, 박진일, 이대종, 전명근(2007). AHP를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요인 및 개량 우선순위 결정 기법. 한국퍼지 및 지능시스템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7권, 제1호.
    · 임병훈(2008). AHP기법을 활용한 공공청사 신축 부지의 합리적인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제8권, 제6호. 이휘석, 이동기(2004). 지방정부 지역축제 성공요인의 우선순위 결정. 한국거버넌스학회 보, 제11권, 제2호.
    · 정우수, 박응희, 조병선(2008). AHP 기법을 이용한 u-City 사업타당성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통권, 제56권.
    · 김찬국, 정혜진(2012). 그린캠퍼스의 개념 정립과 그린캠퍼스 평가틀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2012년 상반기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6-139.
    · 이호상, 김철영, 황유석, 김기원(2004). 국민대학교 그린 캠퍼스 설계안 : 과거 천년과 미래 천년이 공존하는 캠퍼스. 한국식물ㆍ인간ㆍ환경, 제7권, 제2호, 2004.6, 1-10.
    · 구자건, 조용일, 이승용, 김주향, 정종철, 김용범(2012). 한국과 일본 대학교 구성원의 그린캠퍼스 인식 비교 연구. 環境敎育, 第25卷, 第2號, 2012.6, 180-194.
    · 도상호(2006).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검토. 회계정보리뷰, 제11호, 2006.3,129-149.
    · SeongKon Lee, Gento Mogib, SangKon Leec, JongWook Kim(2011). Prioritizing the weightsof hydrogen energy technologies in the sector of the hydrogen economy by using a fuzzy AHP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6(2).
    · Habib M. Alshuwaikhat, Author Vitae, Ismaila Abubakarb(2008). An integrated approach toachieving campus sustainability : assessment of the current campus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ume 16, Issue 16.
    · S. Deng, Y.J. Dai, R.Z. Wang(2011). Case study of green energy system design for a multi-function building in campus.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Volume 1, Issue 3. M.Z. Abd-Razak, N.K.F Mustafa, A.I. Che-Ania, N.A.G. Abdullaha, M.F.I Mohd-Nora(2011).
    · Campus Sustainability: Student's Perception on Campus Physical Development Planning in Malaysia. Procedia Engineering, Volume 20.
    · Yucheng Dong, Guiqing Zhang, Wei-Chiang Hong, Yinfeng Xu(2010). Consensus models for AHP group decision making under row geometric mean prioritization method. Decision Support Systems,Volume 49, Issue 3.
    · Seong Kon Lee, Gento Mogi, Sang Kon Lee, K.S. Hui, Jong Wook Kim(2010). Econometric analysis of the R&D performance in the national hydrogen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for measuring relative efficiency: The fuzzy AHP/DEA integrated model approach.
    ·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ume 35, Issue 6.
    · Finlay, J (Finlay, Jessica); Massey, J (Massey, Jennifer)(2012). Eco-campus: applying the ecocity model to develop green university and college campu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Volume13, Issue2, Page150-165.
    · James, M (James, Matthew); Card, K (Card, Karen)(2012). Factors contributing to institutions achiev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Volume13, Issue2, Page166-176.
    · Stafford, SL (Stafford, Sarah L.)(2011). HOW GREEN IS YOUR CAMPUS? A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DRIVE UNIVERSITIES TO EMBRACE SUSTAINABILITY. Contemporary Economic Policy, Volume29, Issue3, Pages337-356.
    · Letete, Letete, Thapelo C. M., Mungwe, Nothando Wandile, Guma, Mondli, Marquard, Andrew(2011). Carbon footprint of the University of Cape Town. Journal of Energy in Southern Africa, Volume22, Issue2, Page2-12.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