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은주 (2007). 중등 물리교육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 활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 김경완 (2008). 탐구 중심 실험 수업을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설계 및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김금숙 (2002).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사회과 수업이 경제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김민주 (2004). 온라인 시뮬레이션 활용 과학탐구 수업이 성취도 탐구 능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김영신 (2006). 초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 분석. 초등과학교육, 25(3), 281~295.
· 김찬종 정미라, 이기영, (2004).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선다형 문항 풀이 과정에서의 오류 분석. 초등과학교육, 23(4), 332~343.
· 김창헌 (2000). 웹 기반에서의 과학 가상 실험 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박인우 (1996). 학교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 교수원리의 실현 매체로서 인터넷 고찰. 교육공학연구, 12월호, 81~103.
· 박인희 (2006). 작문 교육에서 컴퓨터의 위상. 새국어교육, 통권72호 4월호, 59~79.
· 박종욱, 김선자 (1996). 초등학교 교사들이 자연과 실험수업에서 겪는 문제 조사, 초등과학교육, 15(2), 263~282.
· 배승환 (2007). 가상실험과 실제실험이 중학생에게 미치는 과학(물리) 학습효과 비교.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백현하 (2010). 정보통신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 손미 (1996). 원리학습용 컴퓨터 시뮬레이션 설계이론에 관한 형성적 연구. 교육공학연구, 12월호, 171~188.
· 송진웅 (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검사 도구를 활용한 연구의 개관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92~306.
· 안금지 (2007). 중학교 과학 '전류의 작용' 단원의 실험실 실험과 가상 실험의 장단점 비교.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 양일호 (2006). 초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 분석. 초등과학교육, 25(3), 281~295.
· 유상완 (2007). 가상실험실과 동영상을 이용한 화학 탐구수업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윤덕근 (2004). 고등학생들의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을 높이기 위한 식물 색소 관련 실험 모듈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2), 181.
· 윤영미 (2009).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실험과 전통적 실험의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 박원혁 (2000). 생물실험용 시뮬레이션형 CAI 프로그램 개발 및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3), 244.
· 이근준, 전진우 (2004). 중등학교 과학실험수업의 탐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07~518.
· 이병심 (2000). 인터넷 활용이 과학교과 탐구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 이선경, 이규호, 신명경 (2011). 학교 과학 실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론적 이해의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8(2), 21~49.
· 이수정 (2005). VisucalC.NET을 이용한 과학 실험 교육용 시뮬레이션 개발.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 이윤종 (1996). 현행 중학교 과학 실험·실습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견해와 개선방안. 과학교육연구, 20, 69~86.
· 이준희 (2005). 학습자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1(3), 57~65.
· 이택주 (1997). 현행 중학교 실험·관찰 안내서 편집에 관한 연구: 중학교 1학년 과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 이현용 (2008). 중학교 과학 과정: 일의 개념에 대한 웹 가상 실험 설계 및 구현.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이현욱 (1998). 중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4), 368.
· 이회란 (2009). 초등과학에서 ‘자유탐구’의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안 모색.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 정채식 (2006).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교육용 Gas Chromatography 모형 구현: Flash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GC가상 실험의 교육 학습법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조일현, 허희옥, 최정임, 임규연, 김혜영, 노정민 (2010). 중학교 영어 디지털교과서 사용성 연구: 회상자극기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배포 자료.
· 조희형, 최경희 (2002).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수학습이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에 미친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2), 106.
· 최은희 (2000).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중학교 과학탐구 실험 수업 모형 탐색과 적용 : 일과 에너지 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최자은 (2001). 웹을 이용한 가상실험의 효과 연구 : 중학교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하경미 (2003).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웹기반 가상 실험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 중학교 과학 '지구와 우주' 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디지털교과서 제작 가이드라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배포 자료.
· 한미경 (2009).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의 동영상 자료 활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한미경 (2009). 초등학생의 컴퓨터게임의 이용과 생활변화.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 한정화 (2003). 실제실험학습과 가상실험학습이 과학과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BIR RESEARCH GROUP (2012). 이러닝 스마트러닝 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비아이알 출판사.
· KERIS, (2013). 디지털 교과서 제작 가이드 라인.
· Barton, K. C. (1996). Narrative simplifications in elementary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In J. Brophy (Ed.), Advances in Research on Teaching, 6, 51~84.
· Bloomer, J. (1974). Prospects for simulation and gaming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novations in Education & Training International, 11(4), 174~182.
· Blosser, P. E. (1988). Labs-Are they really as valuable as teachers think they are? Science Teacher, 55(5), 57~59.
· Dean, P. G. (1973). Simulation in science education. Innovations in Education & Training International, 10(6), 377~380.
· Eugene, L. C. & Tomas, R. K. (2002).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PrenticeHall.
· Feurzeig, W. (1994). Special issue of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on modeling and simulation in science educatio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4(3), 193~194.
· Friedler, Y., & Tamir, P. (1990). Sex differences in science education in Issrael: An analysis of 15 years of research.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8, 21~34.
· Harsch, G. (1987). The efficiency of simulation games in science education: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9(1), 23~36.
· Hodson, D. (1990). Computer‐based education in New Zealand: a time of transition and uncertainty.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2(1), 63~67.
· Hodson, D. (1996).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exploring some directions for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7), 755~760.
· Hurd, S. (1964). Does school‐based initial teacher training affect secondary school performance?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4(1), 19~36.
· Magoon, A. J. (1977). Constructivist approaches in educational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7(4), 651~693.
· Marx, G. (1984). Simulation games in science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6(1), 31~45.
· Mechling, K. R., & Oliver, E. L. (1983). Activities, not textbooks: What research says about science programs. Principal, 62(4), 41~43.
·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 Pike, L., Shannon, T., Lawrimore, k., McGee, A., Taylor, M. & Lamoreaux, G. (2003). Science education and sustainability initiatives: A campus recycling case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opport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4(3), 218~229.
· Tobin, K. & Tippins, D. (1993). Constructivism as a refere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K. Tobin (Ed.), The practice of constructivism in science education, 3~21.
· Trowbridge, L. W., Bybee, R. W. & Powell, J. (2004).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s: Strategy for developing scientific literacy. New York: Pearson Education Inc.
· Weller, H. G. (1995). Diagnosing and altering three aristotelian alternative conceptions in dynamics: Microcomputer simulations of scientific mode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3), 271~290.
· Wellington, J. (1998). Eliciting, Interpreting and developing 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7(6), 579~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