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계순 외, 「아동복지론[제3판], 학지사, 2009.
· 곽영숙 홍강의, “아동학대의 개념과 원인”,「아동학대」,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2009
· 김동춘 홍강의, “유아학대 및 반영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13회 한국 아동학대 예방 협회 세미나, 2005
· 문영희, 「아동학대와 레질리언스」, 이론의정원, 2008.
· 박송규, 「신판 사회복지법제론」, 법문사, 2003,
· 배종대, 「형법각론」(제7전정판), 홍문사, 2010.
· 안경환, 「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기본용어」, 국가인권위원회, 2004.
· 연진영,「아동학대의 실태 및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 오정수 이혜원 정익중, 「세계의 아동복지서비스-미국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나눔의 집, 2006.
· 이배근, 「아동학대의 이론과 실제」, 신흥메드싸이언스, 2004.
· 이순형 외, 「아동복지:이론과 실천」, 학지사, 2007.
· 이재상, 「형법각론」(제6판), 박영사, 2009.
· 장인협 오정수, 「아동 청소년 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전대양, 「현대사회와 범죄」, 형설출판사, 2002.
· 강동욱, “일본에서의 아동학대의 예방과 대응체제”, 「법과 정책연구」, 제10집 3호, 한국법정책학회, 2010.
· 고경은, “방임아동에 대한 통합적 개입 사례연구”, 「청소년복지연구」제10권 2호, 2008.
· 곽병선, “아동학대 현상과 법적 고찰”, 「법학연구」제20집, 한국법학회, 2005.
· 구정화,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고려한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 「사회과교육」48권 1호, 2009.
· 권영복, “아동의 권리에 대한 법적 고찰”, 「아 태공법연구」제11집, 2003.
· 김경희ㆍ김지수“고등학생의 가출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아동간호학회지」제13권 제3호, 2007.
· 김광혁,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제24집 제2호, 2009.
· 김유경, “아동학대 실태와 정책방안”, 보건복지포럼, 2008. 9.
· 김재엽 외, “가정폭력 노출 아동 문제의 심각성 및 이에 대한 복지적 대책”, 「가족법연구」제20권 1호, 한국가족법학회, 2006.
· 김종세, “아동인권과 아동학대”, 「법학연구」제31집, 한국법학회, 2008.
· 김태임, “아동학대”, 「간호학탐구」제16권 제1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2007.
· 김학자, “아동폭력에 대한 형사법적 분석과 입법 제도적 대책”, 「법조」통권 616호, 2008.
· 회, 제43회 정기학술세미나 자료집, 2010.
· 류경희, “아동보호서비스 개입과 도전에 관한 토론”, 아동보호서비스 개입과 도전, 제41회 정기학술세미나, 유니세프한국위원회·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2009.
· 서영학, “아동성폭력 근절을 위한 한국정부의 정책”, 동 청소년 성폭력 관련 2008한 미 국제심포지움, 여성부, 2008.
· 이국성, “아동보호서비스의 법적 개입의 한계와 과제”, 아동보호서비스 개입과 도전, 제41회 정기학술세미나, 유니세프한국위원회·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2009.
· 이상희·하승수·이혜원, “한 일 아동학대 관련 법률에 대한 비교 연구”, 「아동과 권리」제12권 3호, 한국아동권리학회, 2008.
· 이용교, “아동복지법”, 「월간복지동향」Vol. 122, 참여연대, 2008.
· 이정식, “아동복지법제상 아동의 권리에 관한 고찰”, 「명지법학」No. 6,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 이태수, “아동청소년 행복한 권리 찾기 토론회 자료집”, 2009.
· 이혜원, “한 일아동복지법의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Vol. 58, No. 2,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 이호중, “아동학대에 대한 대응시스템의 문제점과 전문법원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피해자학연구」제15권 제2호, 2007.
· 주소영·이양희, “아동학대와 탄력성의 관계에서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의
· 매개효과”, 「아동학회지」제29권 3호, 2008.
· 최영진, “아동복지법상 아동학대에 관한 법적과제”, 「원광법학」제24권 제3호,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