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단기 영어캠프가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6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02.18 최종저작일 2011.08
61P 미리보기
단기 영어캠프가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정의적 영역의 개념 및 중요성
    2. 영어캠프의 특징
    3.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실태 분석
    3. 영어캠프 교육과정
    4. 설문지 구성 및 구성방법
    5. 자료 분석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1. 흥미도
    2. 자신감
    3. 태도 및 동기
    4. 교사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부록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세계의 거리가 좁아지고 있는 오늘날, 우리에게 영어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국제화 시대의 공용어로서, 그리고 의사소통을 위한 하나의 도구로서 영어는 그 위상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영어의 중요성이 강조될수록 영어 사교육 시장의 규모는 커져만 가고 또 일부에서는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더라도 어학연수나 해외유학을 선택하고 있다. 2008년 우리나라 가계가 지출한 교육비 규모는 사상 최대인 40조원에 이르렀으며, 특히 사교육비 명목으로 쓰인 돈은 약 19조원으로 전체 교육비 지출액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지난 2000년 6조 1620억원이었던 사교육비 지출액은 8년 만에 3배로 불어나, 같은 기간 2배 늘어난 교육비 지출 증가 속도를 훨씬 앞질렀으며 전체 교육비 지출액에서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00년 35.1%에서 2008년에는 47%로 커졌다(최우성, 2009).
    이에 정부는 영어 교육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해외 연수 프로그램 실시 및 각 학교마다 원어민 교사와 영어 회화 전문 강사를 배치하여 영어 공교육의 질을 높이고 있다. 또한 방학마다 급증하는 해외 어학연수에 대한 대안으로 영어캠프, 영어마을이 등장하였다. 2004년 경기도 안산 영어마을의 태동으로 시작된 이래 2005년에 850억을 투자한 파주 영어마을이 개원함으로써 절정에 이르고 있다(정아영, 2006). 이후, 영어캠프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현재 각 초등학교에서는 방학마다 영어캠프를 열고 있으며 대학교에서도 초ㆍ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어캠프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영어캠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막대한 자본과 인적자원이 투입되는 만큼의 성과를 얻을 수 있느냐는 의문의 목소리도 계속되고 있고, 학부모들이 영어캠프보다는 아직도 영어사교육을 더 많이 선호한다는 인식의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영어캠프에 대한 연구가 충분치 않았던 데서도 이유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영어캠프에 관련된 선행 연구도 많지 않을뿐더러 발전 방향에 대한 진지한 고민의 시간도 짧았다.

    참고자료

    · 강미혜. (2007).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이 중학교 정의적 영역과 듣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교육부. (1997).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 과정 해설(IV). 서울: 대한교과서.
    · 김영신. (2003). 원어민 영어교사가 학생들의 정의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연구-한국인 영어교사와 비교.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 대학원, 서울.
    · 김종훈. (2004). 제주도 중ㆍ고등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영어캠프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연구, 20(1), 5-26.
    · 김현정. (2008). 단기 영어캠프의 정의적 효과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
    · 박아청. (2002).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 박연미. (2001). 홍익대학교 영어캠프 운영 사례 연구. 영어어문교육, 7(1), 67-88.
    · 박연미, 최경미. (2001). 몰입영어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언어연구, 17(1), 101-121.
    · 박지혜. (2005). 초등학생과 중학생 대상의 영어캠프를 통한 몰입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서울.
    · 신정안. (2007). 단기간 영어캠프체험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청주.
    · 양심미. (2006). 조기영어교육이 초등학교 정규영어학습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학생들의 인식여부와 정의적 특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
    · 유범. (1999). 영어교육 전공 학생들을 위한 방학이용 집중 영어연수과정개발 사례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6, 325-350.
    · 이현주. (2002). 영어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연구-연령별 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
    · 이효웅. (2000). 영어학습동기. 어문연구, 11, 171-201.
    · 이효웅. (2002). 영어 학습 태도, 동기, 책략의 상관관계. 영어교육연구, 14(1), 189-212.
    · 정아영. (2006. 5. 7). Debate heats over English immersion camps, 코리아타임즈.
    · 정원식. (1960). 정의의 교육. 서울: 배영사.
    · 정지은. (2008). 중학생 영어캠프 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최우성. (2009. 3. 29). 교육비 가계부담 지난해만 40조원, 한겨레신문.
    · Bailey, K. M. (1983). Competitiveness and anxiety in adult second language learning looking at and through the diary studies in H. W. Seliger & M. H Long (Eds.), Classroom oriented researc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67-103). Rowley, MA: Newbury House Publishers..
    · Bloom, B. S. (1976). Human characteristic & school learning. New York: Holt, Rinhart & Winstion.
    · Brown, H. D. (1994). Teaching by principl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Brown, H. D. (200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4thed.). White Plains, NY: Longman.
    · Cullinan, B. (1989). Literature and the child. San Diego: Harcourt Brace Jovanovich Publishers.
    · Gardner, R. C., & Lambert, W. E. (1972). Attitudes and motivation in secong language learning. Rowley, MA: Newbury House Publishers.
    · Littlewood, William T. (1981).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et, M., & Rhodes, N. (1990). Elementary school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Priorities for the 1990s. Foreign Language Annals, 23(5), 433-443.
    · Scovel, T. (1978). The effect of affect on foreign language learning: A review of the anxiety research. Language Learning, 28, 129-142.
    ·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