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DC, DB, IRP)의 개념과 상세 내용 쉬운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2.12.05
- 최종 저작일
- 2022.1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안녕하세요.
본 글에서는 퇴직연금 종류에 대해 세부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실제로 회사에서 인사업무를 맡으며 직원들을 교육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따라서 DB, DC, IRP 가입을 두고 고민하시는 분들께서 쉽게 이해하기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금융학습, 퇴직, 노후에 대해 관심을 두신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DB(Defined Benefit) 개념
2) DC(Defined Contribution) 개념
3)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개념
3. 결 론
본문내용
II. 본 론
1. DB(Defined Benefit) 개념
먼저, DB형은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입니다. DB형의 경우 아마도 대부분의 일반 직장인들이라면 보편적으로 가입된 형태라고 볼 수 있는데, 회사가 분홍박스 부분처럼 일정부분을 적립하여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특징으로는 회사가 자산 운용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기 때문에 퇴직금이 변동될 여지가 없습니다. 계산되는 쉬운 예로 여러분들께서 1년을 근무했고, 퇴직 직전 급여가 월 100만원이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들께서 퇴직 전 3개월간의 임금 총액은 300만원이 되겠지요? 그리고 퇴직 전 3개월의 일수를 따져보니 31, 30, 31일 총 92일이었습니다. 그러면 300만원을 92일로 나눠주면 약 3만 3천원이라는 계산이 나오고, 여기에 30을 곱해주고, 계속근로연수 1을 곱해주면 약 97만 8천원이 받게 되는 퇴직금이 되는 것입니다.
DB형의 경우는 추가로 금액을 불입할 수 없고, 중도 인출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