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노키즈존은 금지되어야 한다

아동 발달 특성을 외면하는 "노키즈존은 금지되어야 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10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4.06.28 최종저작일 2023.10
10P 미리보기
노키즈존은 금지되어야 한다
  • 미리보기

    소개

    아동 발달 특성을 외면하는 "노키즈존은 금지되어야 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노키즈존 정의와 원인
    1. 노키즈존의 정의
    2. 노키즈존 확산 원인

    Ⅲ. 노키즈존 현황과 문제점
    1. 다른 국가 상황
    2. 아동 발달 특성

    Ⅳ. 노키즈존 관련 쟁점
    1. 아동차별
    2. 노키즈존 부정적 영향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집으로 돌아오는 길, 지하철 노약자석에서 4~5세로 추측되는 아이의 소리가 들렸다. 그 열차 칸의 유일한 아이. 아이는 웃다가, 호기심에 조잘조잘 거리다, 짜증도 한두 번 내고, 무엇이 마음에 안 드는지 칭얼거리기 시작했다. 아이 엄마는 아이의 상황에 따라 맞장구를 쳐주다 ‘쉬~’하며 아이를 진정시키기도 혼내기도 했다. 이 자연스런 상황에 나는 왜 바짝 긴장하여 모든 촉각을 곤두세우고 아이와 엄마를 의식하고 있는 것인가? 지하철은 당연히 ‘노키즈존(No Kids Zone)’이 아니다. 그러나 모두가 조용히 앉아 있는 열차에서 아이와 엄마의 행동과 대화는 확연하게 드러날 수 밖에 없었고, ‘노키즈존’ 이슈가 생긴 이후 아이 엄마는 스스로 위축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나도 모르게 그것을 의식하고 그들을 걱정하고 있었던 것이다.
    어린이의 출입을 제한하는 ‘노키즈존’은 보건복지부가 정부 차원의 실태 조사를 최초로 실시할 만큼 – 이번 조사는 ‘노키즈존’이 저출생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한다기준으로 전국 500여 곳에 달하고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노키즈존’을 지정하여 특정 연령 아동 출입을 금지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카페, 음식점 등에서 소리를 지르거나 뛰어 다니는 아이들. 그리고 이를 그대로 방치하는 부모, 이때 생기는 물건 손상, 매장 분위기 저하와 다른 손님들의 불만과 항의, 매장 내에서 기저귀를 갈고 버려 두거나 컵으로 아이의 소변을 받아 놓고 가는 등 비상식적인 부모들로 인한 불편, 특히 영업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책임이 대체적으로 영업주에게 있다는 법원의 판결들은 아동의 입장을 제한하는 ‘노키즈존’의 주된 이유이다.
    ‘노키즈존’ 대상인 영아는 울음으로 자신의 의사와 욕구를 전달하며, 자기중심적인 유아는 인지구조가 미성숙하여 연령이 증가하면서 타인의 관점과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하고 친사회적 행동이 가능해진다. 뛰어다니는 등 놀이 활동은 아동들에게 가장 본능적인 행동이다.

    참고자료

    · 김수아 외 5인,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 : 왜 문화다양성인가』, 컬처룩, 2022
    · 김소영, 『어린이라는 세계』, 사계절, 2020
    · 김지혜, 『선량한 차별주의자』, 창비, 2019,
    · 김원영, 「낭만적 예찬을 넘어서 : 이미지시대의 아동을 생각하다」, 『창비어린이』 제17권 제1호(통권 제64호), 창비어린이. 2019, 27-36쪽.
    · 오찬호, 『세상이 좋아지지 않았다고 말한 적 없다 : 하지만 여전히 불편한 것들에 관하여』, 위즈덤하우스, 2020, 78~81쪽.
    · 지영주 외, 『인간성장 발달』, 한올, 2021.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어린왕자』, 황현산 옮김, 열린책들, 2015, 5쪽.
    · 김경미,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의 교육적 적용」,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김도균•유보배, 「노키즈존 확산, 어떻게 볼 것인가?」, 『이슈&진단』 Vol.-No.220, 경기연구원, 2016.
    · 김도균, 「’노키즈존(No Kids Zone)’ 과연 필요할까」, 『소비자시대』11_48, 한국소비자원.
    · 김정수, 「아동의 기본권 보장에 대한 헌법적 과제-‘노 키즈 존(no kids zone)관련 정당성 논의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Vol.37 No.4,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 이연수•천혜정,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노키즈존’ 관련 트위터 메시지 분석」, 『소비자문제연구』 제54권 제2호, 한국소비자원, 2023.
    · 이진희, 「어린이를 위한 건강도시 가이드라인」, 『Working Paper』 23-02, 국토연구원, 2023.
    · 김진경, 「해외에도 ‘노키즈존’논란, 그 안에 도사리는 ‘성인주의’ [평범한 이웃, 유럽]」, 『시사IN』 820호(2023.6.11),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392 (2023.11.11).
    · 김혜영•송은미, 「어쩌다 엄마와 아이는 대한민국 ‘동네북’이 됐나」, 『한국일보』(2018.9.8),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Print/*************84215 (2023.11.13).
    · 난다, 「’NO 노키즈존’의 세상을」, 『프레시안』(2019.11.4),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63891 (2023.11.14).
    · 박선희, 「노키즈존 논란과 어린이가 불행한 나라」, 『동아일보』(2023.5.7),
    ·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0507/119178168/1 (2023.11.13).
    · 서보미, 「개는 되지만 아이는 안됩니다」, 『한겨레21』 1176호(2017.8.21),
    · https://h21.hani.co.kr/arti/cover/cover/44056.html (2023.11.12).
    · 오성윤, 「네 새끼, 혹은 우리의 아이들」, 『동아일보』 (2019.4.2),
    ·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190402/94843737/1 (2023.11.12).
    · 이동한, 「노키즈존에 대한 여론은?」,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與론論』 (2021.12.1),
    · https://hrcopinion.co.kr/archives/20056 (2023.11.14).
    · 이동한, 「노키즈존에 대한 여론, 어떻게 변했을까?」,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與론論』 (2023.2.22),
    · https://hrcopinion.co.kr/archives/25853# (2023.11.11).
    · 이미지, 「’노키즈존’ 왜 우리는 아이들에게만 유독 엄격한가[이미지의 포에버 육아]」, 『동아일보』(2023.5.13),
    ·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30513/119274976/1 (2023.11.12).
    · 이벌찬, 「오바마가 말한 ‘짐 크로法’이 뭘까」, 『조선일보 ChosunBiz』(2015.6.25),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6/25/*************.html (2023.11.13).
    · 이윤진, 「초저출산국가, 노키즈존, 그리고 맘충」, 『프레시안』(2019.4.29),
    ·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38759?no=238759#0DKU (2023.11.11).
    · 이현미, 「”개는 OK, 아이는 NO” 해외서도 ‘노 키즈 존’ 논쟁」, 『세계일보』(2016.6.18),
    · https://m.segye.com/view/*************2 (2023.11.14).
    · 이현진, 「아이들을 위한 나라는 없다?!」, 『굿네이버스 인성스쿨 GN칼럼』(2023.6.20),
    · https://gnschool.gni.kr/board/columnView.gn?boardSq=185 (2023.11.13).
    · 임경선, 「’존재’가 아닌 ‘행동’의 문제」, 『경향신문』 (2023.5.11),
    · https://m.khan.co.kr/opinion/column/article/*************45 (2023.11.12).
    · 정세희, 「’노키즈존’ 논란은 현재진행형」, 『아주경제』(2022.8.22),
    · https://www.ajunews.com/view/*************0304 (2023.11.13).
    · 최서인, 「복지부, 전국 ‘노키즈존’매장 실태조사 나선다」, 『중앙일보』(2023.7.25),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0055#home (2023.11.30).
    · 최호원, 「한국의 ‘맘충’과 일본의 ‘노키즈존’」, 『SBS NEWS』(2017.10.19),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404011 (2023.11.14).
    · 편승민, 「노키즈존이 던진 ‘사회란 무엇?’」, 『더 리더 the Leader』2018_1월호
    · https://theleader.mt.co.kr/articleView.html?no=*************872843&sec=L0601&page=1 (2023.11.14).
    · 허미담, 「비행기 노키즈존 나왔다…”6만원 더 내면 조용하게」, 『아시아경제』(2023.8.30),
    · https://cm.asiae.co.kr/ranking-view/20230830/*************373727 (2023.11.13).
    · 「노키즈존, 규칙일까 차별일까」, 『The JoongAng 뉴스레터』(2022.5.6),
    · https://www.joongang.co.kr/newsletter/helloparents/4552 (2023.11.12).
  • AI와 토픽 톺아보기

  • 자료후기

      Ai 리뷰
      아동 발달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아동을 배제하는 '노키즈존'의 문제점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