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DIAMOND
DIAMON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1. Sampling, Spreading, Cell Counting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1) '1. Sampling, Spreading, Cell Counting' 자료입니다. ✔ 나노바이오실험(1) 과목은 23년 1학기에 A0를 받았습니다. 해당 레포트는 20점 만점에 18점을 받았고, 감점 요인에 맞추어 수정하거나 표기하였습니다. ✔ 표절률에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자료를 그대로 제출하지 마시고, 참고 용도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실험은 학기마다 약간씩 다르게 진행하기 때문에, 실험 수업에서 알려준 작성 필수 요소에 맞추어 작성하시고, 부가적으로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 답안 또한 오류가 있을 수 있고, 수업마다 채점 기준 또한 다르니 순수 정답 보다 과정을 위주로 확인하시면 충분히 도움 될 것 같습니다.
5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4.02.14 최종저작일 2023.03
5P 미리보기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1. Sampling, Spreading, Cell Counting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명확성
    • 실용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나노바이오 실험의 실제 프로토콜과 상세한 방법론 제공
    • 📊 CFU 계산 및 미생물 샘플링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
    • 🧐 실험 과정의 오류와 한계점을 상세히 분석하고 개선점 제시

    미리보기

    소개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1) '1. Sampling, Spreading, Cell Counting' 자료입니다.
    ✔ 나노바이오실험(1) 과목은 23년 1학기에 A0를 받았습니다. 해당 레포트는 20점 만점에 18점을 받았고, 감점 요인에 맞추어 수정하거나 표기하였습니다.
    ✔ 표절률에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자료를 그대로 제출하지 마시고, 참고 용도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실험은 학기마다 약간씩 다르게 진행하기 때문에, 실험 수업에서 알려준 작성 필수 요소에 맞추어 작성하시고, 부가적으로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 답안 또한 오류가 있을 수 있고, 수업마다 채점 기준 또한 다르니 순수 정답 보다 과정을 위주로 확인하시면 충분히 도움 될 것 같습니다.

    목차

    1. 실험 일시 및 장소
    2. 실험 도구
    3. 이론
    4. 실험 목표
    5. 실험 방법
    6. 결과
    7. 고찰
    8. 출처

    본문내용

    2. 실험 도구
    - Sample : 화장실 변기에서 취함, 흙
    - 실험 기자재 : 마이크로 피펫 & 마이크로 피펫 팁 (1000 μL, 200 μL), tube (10 mL, 50 mL), tube rack, vortex mixer, clean bench, 페트리 접시, 도말봉, 알코올램프, 라텍스 장갑
    - 시약 : PBS, LB 배지, 알코올

    3. 이론
    ① Sampling
    검사, 측정, 분석 등을 위해 대상이 되는 물질에서 그 일부를 채취하여 조사하는 것으로, 실험의 필요성에 맞는 적절한 sample을 구하여야 한다.
    ② Serial dilution
    미리 결정한 비율에 따라 순차적으로 희석하는 방법이다. 미생물의 수를 측정할 때 시료를 10배 씩 단계적으로 희석하는 것이며, 희석한 시료를 적절한 배지에 배양하여 colony를 형성하는 미생물의 수를 측정한다. 이후 희석 배수를 곱하여 시료에 있는 미생물의 수를 구하는 것이다. 희석한 시료 속 균의 농도를 낮추어 배양한 후 colony가 30~300개가 되면 수를 세어 CFU를 통해 희석 전 시료의 세균 수를 계산할 수 있다.
    ③ CFU(Colony-Forming Unit)
    CFU = 평균 집락수 × 희석배율 × 1/(사용한 시료량(mL)) (CFU/mL or CFU/g)
    미생물학에서, 눈에 보이는 박테리아나 균류의 숫자를 측정하는 것이다. 액체에서는 CFU/mL, 고체에서는 CFU/g의 단위를 사용한다. 집락의 수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을 때는 TNTC(Too Numerous To Count)로 표시하며 집락의 수가 측정 가능 할 때는 TFTC(Too Few To Count)로 표시한다.

    참고자료

    · 실험 미생물학, 라이프사이언스, 2013 : 2장 미생물 배양
    · 최신 미생물학 실험, 고려의학, 2017 : 4장 미생물의 배양 (배지, 평판배지 분리배양)
    · 미생물학 실험, Aifred Brown, 동화기술, 2015 : part5 배양 방법
  •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Sampling
      Sampling is a fundamental concept in various fields, including scientific research, quality control, and data analysis. It involves selecting a subset of a population or a larger set of data to make inferences or draw conclusions about the entire population or dataset. Proper sampling techniques are crucial for ensur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search findings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The key aspects of sampling include the selection of a representative sample, the determination of an appropriate sample size, and the implementation of unbiased sampling methods. Depending on the research objectiv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different sampling techniques, such as random sampling, stratified sampling, or cluster sampling, may be employed. Effective sampling strategies can help researchers or analysts overcome the practical limitations of studying an entire population, while still providing accurate and meaningful insights. By carefully designing and executing sampling procedures, researchers can make informed decisions, test hypotheses, and draw reliable conclusions from the available data. Furthermore, the concept of sampling is not limited to scientific research; it is also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such as quality control, market research, and public health monitoring, to ensure the efficient and cost-effective assessment of product quality, consumer preferences, or disease prevalence. Overall,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ampling techniques are essential for generating reliable and actionable insights from data,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scientific knowledge, the improvement of products and services, and the informed decision-making process.
    • 2. Serial dilution
      Serial dilution is a widely used technique in various scientific disciplines, particularly in microbiology, biochemistry, and analytical chemistry. It involves the systematic dilution of a sample or solution to obtain a series of samples with decreasing concentrations of the target analyte or microorganism. The primary purpose of serial dilution is to enable the quantification or enumeration of a specific component within a complex mixture. By creating a series of dilutions, researchers can accurate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r number of the target substance, which is often essential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1. Microbial enumeration: In microbiology, serial dilu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viable microorganisms (e.g., bacteria, fungi) in a sample by counting the number of colony-forming units (CFUs) on agar plates. 2. Enzyme activity assays: In biochemistry, serial dilution is employed to measure the activity of enzymes by testing their ability to catalyze a specific reaction at different substrate concentrations. 3. Analytical quantification: In analytical chemistry, serial dilution is used to prepare calibration standards for the quantification of target analytes, such as drugs, toxins, or environmental pollutants, using techniques like spectrophotometry or chromatography.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serial dilution are crucial, as the results can directly impact the reliability of subsequent analyses and the validity of research findings. Careful attention to factors such as pipetting technique, volume measurements, and the use of appropriate diluents is essential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dilution series. Overall, serial dilution is a powerful and versatile technique that enables researchers to obtain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or abundance of specific components within complex systems,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applications in diverse fields.
    • 3. CFU (Colony-Forming Unit)
      CFU, or Colony-Forming Unit, is a fundamental concept in microbiology that is used to quantify the number of viable microorganisms in a sample. It is a widely used method for enumerating the population of bacteria, fungi, or other microorganisms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food safety,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linical diagnostics. The CFU is determ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colonies that develop on a solid growth medium, such as agar plates, after inoculating the sample and allowing the microorganisms to grow and form visible colonies. Each colony is assumed to have originated from a single viable cell or a clump of cells, and the number of colonies is used to calculate the concentration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original sample. The CFU method is advantageous because it provides a direct measure of the number of viable microorganisms, which is often more relevant than the total cell count, as it reflects the population of cells that are capable of growth and reproduction. This information is crucial in various contexts, such as: 1. Food microbiology: Determining the microbial load in food samples to assess quality, safety, and shelf-life. 2. Environmental monitoring: Quantifying the presence of indicator organisms (e.g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실험 보고서는 실험 목적, 방법, 결과, 고찰 등을 상세히 기술하여 실험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데터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