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발원조위원회 (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외교부』, 2001.07.05., http://www.mofa.go.kr/www/brd/m_3889/view.do?seq=275344&srchFr=&srchTo=&srchWord=DAC&srchTp=0&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1 , (검색일: 2019.10.18.).
· “국제개발협력의 개념과 목적”, 『공적개발원조』, http://www.odakorea.go.kr/ODAPage_2018/cate01/L01_S01_01.jsp , (검색일: 2019.10.18.).
· 김경일, “공적개발원조(ODA)와 실시체계에 관한 연구,” 『영남정치학회보』, 2001., pp. 22.
· 권율, “OECD/DAC의 공적개발원조 논의와 동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 pp, 74, 79.
· 김학수, “중소규모국의 ODA 지원현황과 한국의 대응전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4., pp. 23.
· 김은미,김지현, “한국 원조체계의 분절(fragmentation)이 원조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방안,” 『한국국제협력단』, 2009.11., pp. 167.
· 김학실,최영출,이현주,김숙연,Nemoto, Masatsugu, 『효과적인 ODA 사업 추진체계 : 현재와 미래』,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 김지유,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추진체계 변화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02., pp. 63-67
· 김정해,손혁상,권율,이원희,이창길, “한국형 공적개발원조(ODA)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통합체게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미래사회 협동연구 총서』, 2013.02., pp. 95-154.
· 김종섭,박명호 외 “유럽의 ODA 정책과 한․유럽 개발협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pp. 228-229.
· 김은미,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ODA) 추진방향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012.07., pp. 174-176.
· 김태균, “‘무풍지대’ 해외원조에도 개혁의 바람을 불어 넣자,” 『한겨레신문』, 2017.08.29.,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08702.html, (검색일: 2019.12.09).
· “Development Co-operation Directorate,” 『OECD.org』, http://www.oecd.org/dac/ , (검색일: 2019.10.18.).
· “다자간 원조,” 『doopedia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52001&cid=40942&categoryId=31866 , (검색일: 2019.10.18.).
· DFID,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prosperity, poverty and meeting global challenges," 『London: DFID』, 2017.
· Donor Tracker, "영국, 한국 ODA 각종 통계자료,“ https://donortracker.org/country/united-kingdom, (검색일: 2019.12.05.).
· Robert Gillanders, "The Effects of Foreign Aid in Sub-Saharan Africa," 『The Economic and Social Review, Economic and Social Studies』, 2011., pp. 339-360.
· 문경연, “영국 대외원조 정책 및 추진체계 변화에 대한 연구,” 『국제개발협력학회』, (제5권 제1호 (통권8호) ), 2013.06., pp. 75-112
· 박광동, “주요국가의 ODA법제 연구 -종합보고서-,” 『한국법제연구원』, (법제교류연구 10-15-1-1), 2010.10.29., pp. 28.
·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Aid,” https://www.cgdev.org/page/aid-6, (검색일: 2019. 11. 27).
·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Quality of ODA (QuODA)," https://www.cgdev.org/sites/all/cms_iframes/quoda_2014/bar.php?g=mi&agency_group=none, (검색일: 2019.12.02.).
· 서용석, “선진국 ODA정책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1., pp. 67.
· 신상협, “영국의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연구 영국 사례가 한국에 주는 교훈,”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11.08. pp. 2-3
· CDI, “Aid component 2018,”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MaKVy81h1TDD5N9M5RVZDSlrEA6o_lw5oJ35z3ZgCOw/edit#gid=224519960, (검색일: 2019.12.01.)
· Stephen Kosack, "Effective Aid: How Democracy allows Development Ai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orld Development』, vol.31, no.1, 2003., pp. 1-22
· 설경훈, “DAC 가입의 의의와 도전 과제,” 『국제개발협력단』, 2009.11., pp.2-3
· “Evans School Policy Analysis & Research Group,” https://evans.uw.edu/policy-impact/epar/research/evaluating-donor-level-results-measurement-systems, (검색일: 2019.11.28.).
· EPAR, “Evaluating Donor-Level Results Measurement Systems,” https://evans.uw.edu/policy-impact/epar/research/evaluating-donor-level-results-measurement-systems, (검색일: 2019.11.27.).
· OECD.Stat, “DAC Members' Ne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2017 통계,” http://www.oecd.org/dac/stats/statisticsonresourceflowstodevelopingcountries.htm, (검색일: 2019. 10. 10).
· 이명근,홍문숙,강선주, "인도적 지원정책 및 사업 연구 : 긴급구호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협력단』, 2012.07., pp. 148,149.
· Independent Commission for Aid Impact, "DFID's Private Sector Development Work," 『London: DFID』, 2014.
· Audit, Accountability and Government White & Hollingsworth,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National Audit Office (United Kingdom),”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Audit_Office_(United_Kingdom), (검색일: 2019.12.01.).
· OECD.Stat, “GNI/ODA 통계,” 『OECD.org』, https://data.oecd.org/oda/net-oda.htm, (검색일: 2019.10.15.)
· 이명진,김기국,최영식,송치웅,김은주, “대개도국 과학기술협력방안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08-14] 대개도국 과학기술협력방안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2008.12., pp.63-64.
· 은성수, “한국의 개발협력,” 『대외경제협력기금』, 한국수출입은행, 2017.09., pp. 48.
· Arthur A. Goldsmith, “Foreign Aid and Statehood in Africa,” 『International Organization』, 2001., pp. 123-148
· 임소진,정상희, “국제개발협력의 지방분권화에 대한 소고: 영국과 독일의 원조정책 비교연구,” 『한국유럽학회』, (유럽연구 35권4호), 2017.11., pp.16
· 이학교, “ODA 사업의 분절성 극복을 위한 추진체계의 재정립 방안,”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12.
· 주유선, “OECD DAC의 ODA 현대화 현황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09.30., pp. 2.
· 조현주, 김은미, 정헌주,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다자성 양자원조(multi-bilateral assistance)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5.12., pp. 6
· 정성호, “ODA 효과성 제고를 위한 OECD/DAC 회원국들의 노력,” 『국제개발협력』, 2007.11., pp. 12.
· 정혁, “ODA 규모 결정요인 실증분석과 한국에의 적용,”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vol.25, no.1), pp. 7.
· 최영출, 김학실, “ODA 사업추진의 효과성 강화를 위한 정책 시뮬레이션: 시스템다이내믹스 방법론의 적용,” 『한국자치행정학보』, 2017., pp. 2
· HM Treasury & DFID, "UK aid: Tackling Global Challenges in the National Interest," 『HM Treasury and DFID』, 2015.
· "한국수출입은행 - (EDCF)," 『공적개발원조』, http://www.odakorea.go.kr/mz.contents.ContsView.do?conts_key=28, (검색일: 2019.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