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세포배양, DNA, RNA 추출

"세포배양, DNA, RNA 추출"에 대한 내용입니다.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3.10.15 최종저작일 2022.05
15P 미리보기
세포배양, DNA, RNA 추출
  • 미리보기

    소개

    "세포배양, DNA, RNA 추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2.1. Cell culture
    2.2. Genomic DNA isolation
    2.3. Total RNA extraction

    3. Results
    3.1. Cell culture
    3.2. genomic DNA isolation
    3.3. 세포 total RNA extraction

    4. 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포 배양(Cell culture)은 일반적으로 자연환경 외부의 통제된 조건에서 세포가 성장하는 과정의 총칭이다. 세포는 살아 있는 조직에서 분리된 후 제어된 조건에서 후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은 각 세포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필수 영양소(아미노산, 탄수화물, 비타민, 무기질), 성장인자, 호르몬, 이산화탄소, 산소를 공급하는 기질 또는 배지가 있는 적합한 용기로 구성된다. 이는 물리화학적 환경(완충용액, 삼투압, 온도)을 조절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대부분의 세포는 단층으로 형성하기 위해 표면 또는 인공 기질이 필요하지만, 어떤 세포는 현탁액 배양으로 배지에 자유롭게 떠서 성장할 수 있다. 대부분의 세포 수명은 유전적으로 결정되지만, 일부 배양 세포는 최적의 조건이 제공되면 무한정 재생되도록 변환되기도 한다[1]. 동물세포 배양은 초대배양과 계대배양(subculture)이 있다. 이 중 실험에서는 계대 배양을 하였다. 동물로부터 분리한 세포를 반복하여 배양하면 세포의 수명이 다하여 사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일부 세포는 계속하여 증식하며 그 세포 본래의 특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세포는 세포주(cell line)를 형성하며 이 세포주는 무한대로 증식이 가능하고 균일한 세포 성질을 가지므로 고유 번호를 부여받아 세포 은행에 동결 보존되어 그 세포주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계대배양은 세포증식 방법의 하나로, 5∼7일마다 주기적으로 새로운 배지에 이식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해서 균주를 보존하고 세포의 대를 이어가는 식으로 배양한다. 동물세포에서 계대배양을 하는 이유는 동물세포의 경우 밀도의존성에 의해 배지 내에서 일정 밀도 이상을 차지하게 되는 경우 자라지 않기에, 계대배양을 통해 밀도를 유지시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넘치는 세포를 다른 배지로 이동시킴으로써 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2].
    이번 실험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연구에서 불멸화 된 세포를 사용하고 있다.

    참고자료

    · Harris 외 6인,「Characterizing the mechanics of cultured cell monolayers」,『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2012, pp, 85-97.
    · 서한극 외 2인. 2007. 배양세포실험 핸드북. 월드사이언스. pp, 21-23, 82-86.
    · Lin YC et al. 2014. “Genome dynamics of the human embryonic kidney 293 lineage in response to cell biology manipulations. Nat Commun”. doi: 10.1038/ncomms5767.
    · Noel V, Berry MD. 2022. “Culture of Adherent Cancer Cell Lines. Methods Mol Biol”. doi: 10.1007/978-1-0716-2376-3_3.
    · 김영희. 2018. 분자생물학 실험서 3판. 월드사이언스. pp, 201-217.
    · Amanda Capes-Davis, R. Ian Freshney. 2010. Freshney's Culture of Animal Cells. Wiley-Blackwell. pp, 23-25.
    · 권순일 외 7인. 2016. 임상 분자생물학. 정문각. pp, 115-138.
    · Unterlander N, Doucette AA. 2018. “Accelerated SDS depletion from proteins by transmembrane electrophoresis: Impacts of Joule heating. Electrophoresis”. (11):1349-1356.
    · Cheng, YJ., Guo, WW., Yi, HL. et al. 2003. “An efficient protocol for genomic DNA extraction fromCitrus species”. Plant Mol Biol Rep 21, pp, 177–178.
    · Rio DC, Ares M Jr, Hannon GJ, Nilsen TW. 2010. “Purification of RNA using TRIzol (TRI reagent)”. Cold Spring Harb. (6):pdb.prot5439.
    · J.B. Yang et al. 2013.“A high-throughput, high-quality plant genomic DNA extraction protocol”. Genetics and Molecular Research 12 (4): 4526-4539.
    · Chomczynski P, Sacchi N. 1987.“Single-step method of RNA isolation by acid guanidinium thiocyanate-phenol-chloroform extraction”. Anal Biochem.;162(1):156-9.
    · Lee S et al. 2018.“Optimization of phenol-chloroform RNA extraction”. MethodsX, Volume 5. Pages 599-608.
    · Chirgwin, John M; et al. 1979. "Isolation of biologically active ribonucleic acid from sourcesenriched in ribonuclease". Biochemistry. 18 (24): 5294–5299.
    · 질병관리본부. 2005.“감염병실험실진단 : 질환별시험법-중합효소 연쇄반응”. pp, 159-172.
    · 한국임상병리학과 분자생물학교수회, 2005. 최신 진단분자생물학 실습. 청구문화사. pp, 25-31.
    · Robert F. Weaver. 2021. 분자생물학 5판. 교문사. pp, 96-97.
    · Marth R. et al, Campbell Biology, 9th Edition, pp. 225 – 251.
    · Ren G, Roberts AI, Shi Y. 2011. “Adhesion molecules: key players in Mesenchymal stem cell-mediated immunosuppression”. Cell Adh Migr.(1):20-2.
    · Yao T., Asayama Y. 2017. “Animal-cell culture media: History, characteristics and current issues”. Reproductive Medicine and Biology 16. pp, 99-117.
    · Mohan J. 1975. “The synthesis of 5S RNA and its relationship to 18S and 28S ribosomal RNA in the bobbed mutants of Drosophila melanogaster”. Genetics. ;81(4):723-38.
    · 백형환. 2009. 리핀코트의 그림으로 보는 생화학. 도서출판 신일북스. pp, 417-418.
    · 이강욱. (2000). RNA를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대한신장학회지 부록, 19(1), pp, 6-14.
    · 김태전 외 2인. 2004. 세포배양학 개론, 도서출판 고려의학. pp, 209-212, 233-236.
    · 김기태 외 6인, 2009, 실험생물학, 녹문당, pp, 179-189.
  •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세포배양 (Cell Culture)
      세포배양은 현대 생명과학 연구의 기초가 되는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적절한 배양 조건 유지를 통해 세포의 생리적 특성을 보존하면서 대량의 세포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다양한 세포주의 특성을 이해하고 각각에 맞는 배양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성공적인 연구의 핵심입니다. 특히 무균 상태 유지와 적절한 영양 공급, 온도 및 pH 관리는 재현성 있는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앞으로 3D 배양 기술과 오르가노이드 개발 등 고도화된 배양 기술의 발전이 더욱 정교한 생물학적 모델 구축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Genomic DNA 추출 (gDNA Isolation)
      게놈 DNA 추출은 유전체 분석, 유전자 클로닝, PCR 등 다양한 분자생물학 실험의 출발점입니다. 고품질의 DNA 추출은 후속 실험의 성공률을 크게 좌우하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세포 용해, 단백질 제거, DNA 침전 등 각 단계에서 최적화된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대에는 상용 키트를 통해 빠르고 효율적인 추출이 가능해졌으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 DNA의 순도와 농도 측정을 통한 품질 관리는 신뢰할 수 있는 실험 결과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3. Total RNA 추출 (Total RNA Extraction)
      전체 RNA 추출은 유전자 발현 분석, RT-PCR, RNA-seq 등 현대 생명과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RNA는 DNA보다 불안정하기 때문에 RNase 오염 방지와 저온 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조직이나 세포 유형에 따라 최적화된 추출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것이 고품질 RNA 확보의 핵심입니다. 추출된 RNA의 무결성 확인은 후속 분석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마이크로RNA와 같은 작은 RNA 분자의 효율적인 추출을 위한 기술 개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됩니다.
    • 4. 전기영동 (Electrophoresis)
      전기영동은 DNA, RNA, 단백질 등 생체 고분자를 크기와 전하에 따라 분리하는 기본적이면서도 강력한 분석 기술입니다. 겔 전기영동의 단순성과 효율성으로 인해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도 많은 실험실에서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적절한 버퍼 선택, 전압 조절, 겔 농도 설정 등을 통해 원하는 분리 해상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모세관 전기영동과 같은 고급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정밀한 분석이 가능해졌습니다. 비용 효율성과 접근성 측면에서 전기영동은 앞으로도 생명과학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