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연구계획서(의학 연구계획서 예시)

2022년 7월에 교수님 지도 하에 작성했던 연구계획서 입니다. 교수님께 4차례 가량 직접 피드백 및 수정 받았습니다.
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3.08.23 최종저작일 2022.07
9P 미리보기
연구계획서(의학 연구계획서 예시)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2022년 7월에 교수님 지도 하에 작성했던 연구계획서 입니다.
    교수님께 4차례 가량 직접 피드백 및 수정 받았습니다.

    목차

    1. 연구 배경
    2. 연구 필요성
    3. 연구 목적
    4. 연구 내용
    5. 연구 방법과 추진 계획
    6. 결과분석 방법(통계분석)
    7. 연구 진행 일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 배경
    만성 B형간염은 B형간염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며 간경변증, 간세포암종 (이하 간암)과 같은 진행된 간질환을 일으켜 생명에 위협을 주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건강 문제임.[1]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에 의하면 매해 약 150만명의 새로운 만성 B형간염 환자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2019년에는 약 820,000명의 사람이 간경변증 또는 간암으로 사망함.[1] 특히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B형간염 바이러스로 인한 간염이 흔하게 발생해오고 있으며,[2] 한국인의 간경변증 및 간암의 원인 중 70%는 B형간염 바이러스에 의함.[3].

    국내에서는 1995년 B형간염 국가 예방접종 사업을 시행한 이후 30세 미만의 유병률은 감소하고 있지만 30세 이상에서는 4%가 넘는 유병률을 보임.[4]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20년 50대 B형간염 환자 수가 30.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50대 이상의 B형간염 환자 수가 전체 환자의 50% 이상을 차지함.(Figur 1)[5] 국내 연구에서 대조군과 비교해 만성 B형간염 환자들에게서 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뇌혈관질환, CKD,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과 관련된 골절 등의 동반 질환이 증가함을 확인함.(Figure 2)[6]

    더불어 국내의 한 연구에 따르면 1999년부터 2013년까지 간질환에 의한 사망 연령이 약 8.8년 증가하였고, 같은 기간에 간암에 의한 사망 연령은 평균 6.3년 증가하였음. 이를 통해 B형간염에 대한 항바이러스제의 사용으로 간질환자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음.[7] 즉, 만성 B형간염을 보유하고 있는 환자의 고령화 및 질병의 유병 기간이 늘어나고 동시에 동반 질환의 유병률 또한 높아짐을 알 수 있음.

    만성 B형간염의 치료는 항바이러스 복용을 통해서 이루어짐. 이때 항바이러스 치료 시작은 간질환의 진행 정도, B형간염의 바이러스 증식 정도, 그리고 간손상의 동반 여부에 따라 치료 시작 여부가 결정됨. 만성 B형간염 환자 중에서 혈청 HBV DNA가 20,000IU/mL인 HBeAg 양성 또는 혈청 HBV DNA가 2,000IU/mL이며 HBeAg 음성인 경우, ALT가 정상의 2배 이상이면 항바이러스 치료를 권고하고 있음.[8]

    참고자료

    · Hepatitis B[Internet]. World Health Oraganization; 27 July 2021.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hepatitis-b
    · Hyo-Suk. Viral Hepatitis in Korea: Past, Present, and Future. Euroasian J Hepatogastroenterol. 2016 Jan-Jun; 6(1): 62–64.
    · Chae HB, Kim JH, Kim JK, Yim HJ. Current status of liver diseases in Korea: hepatitis B. Korean J Hepatol 2009;15(Suppl 6):S13-S24
    · Lim YS, et al. Lim YS, Ahn SH, Shim JJ et al. Impact of Expanding Antiviral Treatment Criteria at a Population Level in the
    · Republic of Korea: A Modeling Analysis. The Liver Week 2021. The Korean Association Study of the Liver.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통계, 2022 [Access on 2022.05.17]
    · Oh H, Jun DW, Lee IH, Ahn HJ, Kim BO, Jung S, et al. Increasing comorbidities in a South Korea insured population-based cohort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liment Pharmacol Ther. 2020;52:371-381.
    · Choi JG, Han SB, Kim N, Lim Y-S. Increasing burden of liver cancer despite extensive use of antiviral agents in a hepatitis B virus-endemic population Hepatology 2017;66(5):1454-1463.
    · 대한간학회.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K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Clin Mol Hepatol 2021;25:98-103
    · Hepatology, Volume: 66, Issue: 5, Pages: 1454-1463, First published: 19 June 2017
    · Lim SY, Kim JH. The epidemiology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n Korea. Korean J Intern Med. 2019;34(5):945-953.
    · Chun-Ying Wu 1, Jaw-Town Lin 2, Hsiu J Ho 3, Chien-Wei Su 4, Teng-Yu Lee 5, Shen-Yung Wang 6, Chuhui Wu 6, Jaw-Ching Wu 7. Association of nucleos(t)ide analogue therapy with reduce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 nationwide cohort study. Gastroenterology. 2014 Jul;147(1):143-151.e5.
    · Lydia S Y Tang 1, Emily Covert 1, Eleanor Wilson 1, Shyam Kottilil 1.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A Review. JAMA. 2018 May 1;319(17):1802-1813. doi: 10.1001/jama.2018.3795.
    · 대한간학회. 한국인 간질환 백서 (개정판) 2021;71-117
    · Park et al. BMC Gastroenterol 2017;17:39.
    · Roger Bedimo 1, Naim M Maalouf, Song Zhang, Henning Drechsler, Pablo Tebas. Osteoporotic fracture risk associated with cumulative exposure to tenofovir and other antiretroviral agents. AIDS. 2012 Apr 24;26(7):825-31.
    · Grace A McComsey 1, Douglas Kitch, Eric S Daar, Camlin Tierney, Nasreen C Jahed, Pablo Tebas, Laurie Myers, Kathleen Melbourne, Belinda Ha, Paul E Sax. Bone mineral density and fractures in antiretroviral-naive persons randomized to receive abacavir-lamivudine or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emtricitabine along with efavirenz or atazanavir-ritonavir: Aids Clinical Trials Group A5224s, a substudy of ACTG A5202. J Infect Dis. 2011 Jun 15;203(12):1791-801.
    · Gulay Karaguzel 1, Michael F Holick.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enia. Rev Endocr Metab Disord. 2010 Dec;11(4):237-51.
    · Erik Fink Eriksen 1. Treatment of osteopenia. Rev Endocr Metab Disord. 2012 Sep;13(3):209-23.
  •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만성 B형간염
      만성 B형간염은 심각한 건강 문제로, 간경화와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항바이러스제 치료는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고 간 손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인 검진과 생활습관 관리도 중요합니다. 만성 B형간염 환자들이 질병을 잘 관리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의료진과 사회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 2.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은 노화와 함께 발생하는 흔한 질병입니다. 이 질병은 뼈 강도가 약해져 골절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칼슘과 비타민D 섭취, 금연 등의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골다공증 환자들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의료진과 사회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 3. 항바이러스제 사용
      만성 B형간염 치료에 있어 항바이러스제 사용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약물은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고 간 손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내성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투약 순응도 유지가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 개인의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항바이러스제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항바이러스제 사용이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만성 B형간염 치료 시 골 건강 관리의 필요성과 최적의 치료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향후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5. 연구 방법
      이 연구는 만성 B형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항바이러스제 사용 여부에 따른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발생률을 비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위해 환자의 임상 정보, 검사 결과, 치료 내역 등을 수집하고 분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관련 요인들을 고려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 방법이 체계적이고 과학적이라면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6. 기대성과
      이 연구의 기대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항바이러스제 사용이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수 있습니다. 둘째, 만성 B형간염 치료 시 골 건강 관리의 필요성과 최적의 치료 방법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셋째,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자료후기

      Ai 리뷰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발생률과 위험인자를 규명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국내 현황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