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개
-
상공회의소 한자 뜻별 정리(1,2급)2025.11.141. 동물 관련 한자 동물을 나타내는 한자들을 정리한 항목으로, 鯨(고래), 經(기린), 牟(소), 駒(망아지), 猫(고양이), 鳩(비둘기), 鷗(갈매기), 駁(얼룩말), 驥(천리마), 鼠(쥐), 麒(기린), 蟬(매미), 螺(소라), 蟾(두꺼비), 鸞(난새), 鵝(거위), 駱(낙타), 蛾(나방), 狼(이리), 鴨(오리), 驢(나귀), 鶯(꾀꼬리), 驪(가라말), 鷺(해오라기), 鯉(잉어), 鳶(솔개), 鰲(자라), 蛙(개구리), 猿(원숭이), 蟻(개미), 鵲(까치), 雀(참새), 蠶(누에), 獐(노루), 猪(돼지), 翟(꿩), 蝦(...2025.11.14
-
상허 이태준 수필 '무서록' 단어 정리2025.01.291. 무서록 단어 정리 광안리서점에서 이태준 작가의 '무서록'을 읽는 독서 모임에서 시대가 한자어에서 한글로 넘어가는 시기라 한자어가 많고 지금은 잘 쓰지 않는 옛말도 있어 정리했다. 작가로 회자되는 이태준의 수필 작품을 선택했으나 낯선 단어들에 어려움을 겪어 간단히 정리했다. 1. 무서록 단어 정리 무서록은 한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 단어들은 한국인의 정서와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으며, 한국 사회의 규범과 전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단어들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한국 문화의 이해와 전승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무...2025.01.29
-
천자문(千字文)-해석, 쓰기2025.05.091. 천자문의 저자와 내용 천자문의 저자는 중국 삼국시대 종요 또는 남북조시대의 주흥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천자문은 고대중국~남북조시대의 역사를 비롯해 자연의 정취와 운치, 인륜(도덕)에 이르는 문구들을 중복되는 글자 없이 250구절 1,000자로 표현한 한자서입니다. 2. 천자문의 주요 내용 천자문은 하늘과 땅, 날짜와 별자리, 계절의 변화, 자연현상, 역사적 인물과 사건, 인간의 도덕과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중국 고대 문화와 사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3. 천자문의 구조와 특징 천자문은 250구절 ...2025.05.09
-
조선전기의 편찬 서적: 언해본과 병서2025.11.121. 훈민정음과 언해본 훈민정음은 세종이 창제한 한글로,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의미입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문으로 된 원전을 한글로 번역한 언해본이 많이 나왔으며, 특히 불교관련 서적들이 많았습니다. 세종은 하층 민중을 위해 훈민정음을 창제했으며,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 만에 배울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양반층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1446년 언문청이라는 한글 전담 기구를 설치하여 다양한 언해사업을 벌였습니다. 2. 동국정운과 한자 표기 동국정운은 세종이 펴낸 한자사전으로, 한자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혁신적인 시...2025.11.12
-
한문 세특 기재 예문2025.05.151. 한자 만들기 한자 만들기 창작 시간에는 회의의 원리를 활용하여 배울 학자의 머리와 책 책을 결합하여 '교과서 책' 자를 만들어 발표하면서 기본적인 한자만 알고 있어도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활용하여 익히기가 비교적 쉽고 오래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후 한자를 익힐 때마다 한자를 분석해가며 익힘. 또한 회의의 원리를 활용하여 프러포즈할 때의 간절함을 표현한 '간절한 간'자, 빛 광과 일만 만자를 결합하여 '피카추 추' 자, 큰 입구, 쇠 금, 빛 광자를 결합하여 '스마트폰 폰' 자, 손 수 변과 코 비자를 결합하...2025.05.15
-
일본어 히라가나 획순 학습 자료2025.11.141. 히라가나 일본어의 기본 문자 체계인 히라가나는 46개의 기본 문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히라가나는 일본어 학습의 첫 단계로, 각 문자의 정확한 획순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자료는 あいうえおかきくけこ부터 わをん까지 모든 히라가나 문자를 체계적으로 정렬하여 학습자가 획순을 따라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2. 획순 학습 획순은 문자를 정확하게 쓰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각 히라가나 문자의 획순을 올바르게 학습하면 깔끔하고 읽기 쉬운 글씨를 쓸 수 있습니다. 본 자료는 표 형식으로 정렬된 히라가나를 보면서 획...2025.11.14
-
한국어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 및 조사하여 기술하시오2025.01.191. 한국어 문법의 특성 한국어의 문법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는 어미와 조사가 발달했다. 둘째, 한국어에서 어절 말에 나타나는 어미 및 조사는 대부분 문법적인 기능을 갖는다. 셋째, 한국어에서 어미는 문장을 안거나 또는 연결하여 주어 확대의 기능을 수행한다. 넷째, 한국어에서 어미와 조사는 미묘한 의미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다섯째, 한국어는 일반적으로 S+O+V(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갖는다. 여섯째, 한국어는 높임법이 발달한 언어이다. 일곱째, 한국어의 명사는 격변화 없이 조사와 결합해 그의...2025.01.19
-
사이시옷의 규정은 발음을 잘 나타내 준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크다2025.05.111. 사이시옷의 규정 사이시옷의 규정은 발음을 잘 나타내 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를 '냇가'로 적음으로써 [낻까/내까]의 된소리 발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의미의 차이를 나타내 주는 장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무집(나무로 만든 집)'과 '나뭇집(나무를 파는 집)'을 사이시옷 표기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2. 사이시옷 삽입 조건 사이시옷은 한글 맞춤법 제30항에 따라 삽입됩니다.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나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에 사이시...2025.05.11
-
신문으로 세상을 읽고 어휘력도 익히자. NIE 수업 방법2025.05.021. 신문을 활용한 교육 신문은 다양한 시각과 주장을 담고 있어 창의력과 배경지식 향상에 도움이 된다. 신문에 사용된 한자어와 한자 성어를 익히면서 어휘력을 기를 수 있다. 신문 기사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다. 2. NIE(Newspaper In Education) 수업 방법 신문을 활용한 수업은 흥미 유발, 소집단 토의와 발표, 전체 토론 및 평가의 단계로 진행된다. 교사가 처음에는 자료를 준비하다가 점차 학생들이 직접 준비하고 작문하기, 관심 분야 신문 만들기 등의 심화 활동으로 이어...2025.05.02
-
한글 창제 이후 한문에서 한글 문학으로의 전환2025.11.121. 한글 창제 이전의 표기 체계 한자가 받아들여진 후 한글을 표현하기 위해 이두, 향가, 향찰, 구결, 속자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두는 삼국시대에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하여 한글을 표기하는 표기법으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하급 관리들이 공문서에 많이 사용했습니다. 신라 초기부터 사용된 이두로는 서동요, 제망매가 등 다양한 문학작품이 표현되었고, 통일신라 신문왕 때 설총이 이두 사용법을 정리하면서 크게 발전했습니다. 2. 한글 창제 후 한문 사용이 지속된 이유 1443년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했으나 공문...202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