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상공회의소 한자 뜻별 정리(1,2급)
본 내용은
"
상공회의소 한자 뜻별로 정리(1,2급)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07
문서 내 토픽
  • 1. 동물 관련 한자
    동물을 나타내는 한자들을 정리한 항목으로, 鯨(고래), 經(기린), 牟(소), 駒(망아지), 猫(고양이), 鳩(비둘기), 鷗(갈매기), 駁(얼룩말), 驥(천리마), 鼠(쥐), 麒(기린), 蟬(매미), 螺(소라), 蟾(두꺼비), 鸞(난새), 鵝(거위), 駱(낙타), 蛾(나방), 狼(이리), 鴨(오리), 驢(나귀), 鶯(꾀꼬리), 驪(가라말), 鷺(해오라기), 鯉(잉어), 鳶(솔개), 鰲(자라), 蛙(개구리), 猿(원숭이), 蟻(개미), 鵲(까치), 雀(참새), 蠶(누에), 獐(노루), 猪(돼지), 翟(꿩), 蝦(새우), 蛤(조개), 狐(여우), 凰(봉황새) 등이 포함되어 있다.
  • 2. 식물 관련 한자
    식물을 나타내는 한자들로, 檜(노송나무), 琥(호박), 瑚(산호), 蛛(거미), 櫻(앵두나무), 瓜(오이), 翠(물총새), 菓(과일), 雉(꿩), 藿(콩잎), 駝(낙타), 兎(토끼), 豹(표범), 葵(해바라기), 筠(대나무), 棘(가시나무), 橘(귤), 槿(무궁화), 杞(구기자나무), 薯(감자), 柿(감나무), 艾(쑥), 葦(갈대), 荏(들깨), 萄(포도나무), 芍(함박꽃), 桐(오동나무), 薔(장미), 藤(등나무), 梓(가래나무), 蘿(소나무겨우살이), 萊(명아주), 蘆(갈대), 榴(석류나무), 柏(측백), 茯(복령), 蓬(쑥), 芙(연꽃), 楮(닥나무), 藷(사탕수수), 楨(광나무), 棗(대추나무), 菁(부추꽃), 樵(땔나무), 椒(산초나무), 蕉(파초), 楸(개오동나무), 椿(참죽나무), 苔(이끼), 葡(포도), 杏(살구나무), 荊(광대싸리) 등이 있다.
  • 3. 밝음 관련 한자
    밝음을 나타내는 한자들로, 暻(밝을 경), 曠(밝을 광), 旽(밝을 돈), 喆(밝을 철), 朗(밝을 랑), 炫(빛날 현), 亮(밝을 량), 晃(밝을 황), 煌(빛날 황), 炳(밝을 병), 煥(불꽃 환), 毘(밝을 비), 璟(옥빛 경), 晶(밝을 정), 彰(밝을 창), 昶(밝을 창), 爛(빛날 란), 璘(옥빛 린), 緋(붉은빛 비), 斌(빛날 빈), 閃(빛날 섬), 燮(불꽃 섭), 燁(빛날 엽), 曜(빛날 요), 耀(빛날 요), 昱(빛날 욱), 燦(빛날 찬), 爀(붉을 혁), 赫(붉을 혁), 焃(빛날 혁), 炯(빛날 형), 暉(빛 휘), 熙(빛날 희), 熹(성할 희) 등이 포함된다.
  • 4. 물 관련 한자
    물과 관련된 한자들로, 澗(산골물), 漑(물댈), 灌(물댈), 汲(물 길을), 泮(학교), 潘(뜨물), 潑(뿌릴), 泌(샘물), 濱(물가), 汽(김), 沂(내 이름), 濤(물결), 潼(강 이름), 洛(물), 瀾(물결), 漣(연할), 濂(내 이름), 溜(방울져), 淋(물 뿌릴), 澈(물 맑을), 灣(물굽이), 沫(물방울), 滉(물 깊고 넓을), 沔(내 이름), 汶(내 이름), 皐(못), 泗(내 이름), 洙(강 이름), 湜(물 맑을), 沃(물댈), 湧(샘솟을), 溶(물 질펀히), 渭(강 이름), 渚(물가), 汀(물가), 淮(강 이름), 潭(못), 塘(못), 沼(늪), 淵(못), 瀨(여울) 등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동물 관련 한자
    동물 관련 한자는 중국 문명의 오랜 역사 속에서 자연 관찰을 통해 발전한 문자 체계의 좋은 예시입니다. 馬(말 마), 牛(소 우), 虎(호랑이 호) 등의 한자들은 동물의 특징을 상형적으로 표현하여 시각적 이해를 돕습니다. 이러한 한자들은 단순한 문자를 넘어 동물의 생태적 특성과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동아시아 문명권에서 공유되는 공통의 언어 자산입니다. 현대에도 이들 한자를 학습함으로써 전통 문화를 이해하고 언어의 깊이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 2. 식물 관련 한자
    식물 관련 한자는 농업 문명을 기반으로 한 동아시아 문화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木(나무 목), 草(풀 초), 花(꽃 화), 果(열매 과) 등의 한자는 인류의 생존과 밀접한 식물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표현합니다. 특히 木 부수에서 파생된 수많은 한자들은 식물의 다양성과 인간의 식물 활용 방식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한자들을 통해 우리는 선조들의 자연에 대한 관찰력과 분류 체계의 논리성을 엿볼 수 있으며, 언어와 문화의 상호 연관성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3. 밝음 관련 한자
    밝음 관련 한자는 인간의 기본적인 감각 경험을 언어로 추상화한 예입니다. 明(밝을 명), 光(빛 광), 亮(밝을 량) 등의 한자는 물리적 밝기뿐만 아니라 지혜, 희망, 긍정성 같은 추상적 개념까지 표현합니다. 이는 한자 문화권에서 '밝음'이 단순한 물리 현상을 넘어 철학적, 도덕적 가치를 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한자들의 다층적 의미는 동양 사상과 미학의 깊이를 반영하며, 언어가 어떻게 구체적 경험을 보편적 개념으로 승화시키는지 잘 보여줍니다.
  • 4. 물 관련 한자
    물 관련 한자는 인류 문명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요한 한자 체계입니다. 水(물 수), 河(강 하), 海(바다 해), 流(흐를 류) 등의 한자는 물의 다양한 형태와 특성을 표현하며, 수 부수에서 파생된 수백 개의 한자들은 물과 관련된 인간의 활동과 경험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강과 바다를 중심으로 발전한 동아시아 문명에서 물 관련 한자는 생존, 교역, 문화 교류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한자들을 통해 우리는 물이 단순한 자연 요소를 넘어 문명 발전의 핵심 요소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