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12개
-
로젠한 실험(1972)과 정신의학의 진단체계 개선2025.11.151. 로젠한 실험 1972년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과 교수 데이비드 로젠한이 주도한 실험으로, 평범한 일상을 살던 사람들이 정신질환자인 척 하며 정신병원에 입원을 시도했다. 입원 후 정상인처럼 행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병원도 이들이 정상인임을 알아채지 못했다. 이 실험은 정신과 의사들이 일반인과 정신질환자를 실제로 구분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정신의학에 대한 도전이었다. 2. 정신의학 진단체계의 문제점 로젠한은 정신과 의사들의 진단체계가 객관적인 기준이나 검증체계 없이 비과학적으로 운영되며, 환자의 말만 믿고 ...2025.11.15
-
체질의학에 대한 고찰2025.04.251. 체질의학 체질이란 신체의 구조, 정신, 심리를 포괄하는 것으로 쉽게 변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유형을 말한다. 체질의학의 치료는 약한 장기와 강한 장기가 균형을 회복하여 궁극적으로 질병이 치료되는 것이다. 체질론에 대한 반론으로는 이 세상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데 어떻게 단지 8체질 혹은 4체질 안에 다 들어가느냐는 것이다. 이에 대한 체질론자들의 답변은 중요한 것은 개수가 아니라 기준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2. 병리적 진단 병리적 진단은 경과가 별로라도 체질이나 병증 진단처럼 다시 새롭게 진단할 필요가 ...2025.04.25
-
수족 냉증의 진단과 치료2025.01.241. 수족냉증의 정의와 원인 수족냉증은 추위를 느끼지 않을 온도에서도 손발이 차갑게 느껴지는 증상으로, 자율신경계 실조에 의한 혈관운동 변조, 혈액순환 장애, 열 발생 장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수족냉증은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나며, 사춘기, 가임기, 갱년기, 산후 등 호르몬 변화가 있는 시기에 많이 발생한다. 2. 수족냉증의 진단 수족냉증의 진단은 의학적, 한의학적, 사상의학적으로 이루어진다. 의학적으로는 혈액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신경전도 검사 등을 통해 원인 질환을 감별하고, 한의학적으로는 자율신경계 기능 검사와 적외...2025.01.24
-
체질의학 원리에 대한 고찰2025.01.281. 사상체질의학 사상의학은 19세기말 동무 이제마가 기존의 음양, 오행론적 관점과는 다른 시각에서 인체를 바라보고 질병을 치료한 의학으로 개개의 질환을 넘어 개인의 타고난 성정과 장부 등의 내부 요인을 강조함과 동시에 진단과 치료에 대한 이론까지 정립하였다. 사람을 4가지 체질로 구분하고 체질에 따라 장부대소가 다르며, 완실무병(完實無病)의 건강한 상태를 위해 각 체질별로 중요한 보명지주(保命之主)와 체질별 생리, 병리, 병증을 제시하였다. 2. 체질 진단 사상체질의학의 특성상 체질이 결정되고 나면 그 이후 체질에 따라 치료, 예...2025.01.28
-
변증진단학주제: 1.팔강변증, 2.장부변증, 3.기혈진액 변증2025.01.201. 팔강변증 팔강변증은 표리, 한열, 허실, 음양의 4가지 변증으로 구성된다. 표리변증은 표증과 리증, 반표반리증으로 나뉘며, 한열변증은 한증과 열증으로, 허실변증은 허증과 실증으로, 음양변증은 음증과 양증으로 구분된다. 이를 통해 질병의 발생 부위, 성질, 정기의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2. 장부변증 장부변증은 심, 폐, 비, 간, 신 등 각 장부의 병증을 구분하여 진단한다. 예를 들어 심병에는 심기허증, 심양허증, 심혈허증, 심음허증, 심화항성증 등이 있고, 폐병에는 폐기허증, 폐음허증, 풍한속폐증, 풍열범폐증, 조삽범폐...2025.01.20
-
張景岳 傳忠錄 十問篇 - 한의학 문진의 기초2025.11.151. 문진(問診)의 순서와 중요성 문진은 한열, 땀, 머리와 몸, 대소변, 음식, 가슴, 귀, 목마름을 순차적으로 묻는 과정이다. 팔강변증과 위기영혈변증의 기본 요소이며, 변증을 잘못하면 치료 방향을 잃어 환자의 병세를 악화시킬 수 있다. 문진을 통해 환자의 자각증상, 경과, 건강상태, 생활습관 등을 파악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기초를 마련한다. 2. 한열(寒熱)의 변별 한열은 단순히 한증과 열증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내외의 한열을 파악하여 병의 표리를 변별하는 것이다. 외감은 갑자기 나타나는 표증이고, 내상은 오래된 열로 표증...2025.11.15
-
데이비드 로젠한의 정신 진단 타당성 실험2025.11.151. 로젠한의 정신 진단 실험 1970년대 초반 데이비드 로젠한은 정신과 의사들이 정신병 환자와 정상인을 구별하는 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을 고안했다. 8명의 정상인을 모집하여 정신병 환자처럼 가장하게 한 후 여러 정신병원에 입원시켰다. 입원 후에는 정상적으로 행동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이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았다. 이 실험은 의료 진단이 초기 전제 조건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 진단의 맥락성과 주관성 로젠한은 정신 진단이 개인의 내면에서 내려지는 것이 아니라 맥락 속에서 내려지며, 이러한 진단이 엄청난 실수를 ...2025.11.15
-
본초 노트 정리(3) - 한의학 증상 및 질환 용어2025.11.151. 痰飮(담음) 넓은 의미에서 여러 가지 수음병을 일컫는 용어로, 몸 안에 진액이 여러 원인으로 제대로 순환하지 못하고 일정한 부위에 몰려서 생긴 병증을 말한다. 원인은 주로 비(脾), 폐(肺), 신(腎), 삼초(三焦)의 기능 장애와 관련되며, 이는 한의학에서 중요한 병리 개념이다. 2. 奔豚(분돈) 신기(腎氣)가 허약하여 비(脾)의 습사(濕邪)가 들거나 발한 후 침구멍에 한사(寒邪)가 들어가 기가 상충하는 증상이다. 아랫배에서 가슴으로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이 마치 돼지가 달리는 것 같으며, 흉복통, 한열, 배꼽 밑 동계 등이 ...2025.11.15
-
우심음수론(右心陰水論)의 음양오행(陰陽五行)적 해석2025.05.131. 음양학설(陰陽學說) 음양의 개념은 처음에는 햇빛의 향배를 의미했으나, 점차 자연계의 대립적 양면, 상대적 특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발전했다. 음양은 전일(全一), 대대(待對), 통일(統一), 분화(分化), 소장(消長)의 5가지 속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 자연계와 인체의 생리병리현상을 해석할 수 있다. 2. 오행학설(五行學說) 오행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5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이들은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의 관계를 가진다. 오행은 자연계와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며, 음양과...2025.05.13
-
폐진과 잡합사의 치료법 및 임신부 태아 감별법2025.11.141. 폐진(肺?)의 증상과 치료 폐진은 기침하고 피를 뱉으며 거동 시 숨이 차고 상역하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발열, 삭맥으로 먹지 못하는 것은 화가 금을 형벌하고 폐와 비가 모두 허함을 의미한다. 폐와 비가 모두 허하면서 화가 이를 틈타면 역증이 되므로 보중익기탕으로 먼저 원기를 부촉하고 조금 병치료약을 더한다. 폐병은 봄과 여름의 화기를 싫어하므로 가을 겨울에 회복 가능하며, 사계절에 따라 약을 조정하여 복용한다. 2. 잡합사(雜合邪)의 진단과 치료 잡합사는 외부 사기, 음식 손상, 간사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병이...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