張景岳 傳忠錄 十問篇 - 한의학 문진의 기초
본 내용은
"
10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9
문서 내 토픽
-
1. 문진(問診)의 순서와 중요성문진은 한열, 땀, 머리와 몸, 대소변, 음식, 가슴, 귀, 목마름을 순차적으로 묻는 과정이다. 팔강변증과 위기영혈변증의 기본 요소이며, 변증을 잘못하면 치료 방향을 잃어 환자의 병세를 악화시킬 수 있다. 문진을 통해 환자의 자각증상, 경과, 건강상태, 생활습관 등을 파악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기초를 마련한다.
-
2. 한열(寒熱)의 변별한열은 단순히 한증과 열증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내외의 한열을 파악하여 병의 표리를 변별하는 것이다. 외감은 갑자기 나타나는 표증이고, 내상은 오래된 열로 표증 없이 열이 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음허로 인한 허열과 작열로 인한 실열을 구분하며, 한은 외한과 내한으로 나뉜다.
-
3. 대소변을 통한 한열허실 판별대소변은 일신의 문호로서 내상 외감을 막론하고 한열, 허실을 변별할 수 있다. 소변은 방광과 통하며 순조로움과 불리함으로 기화의 강약을 살피고, 대변은 대장을 여는 문으로 양명의 허실을 판별한다. 소변 황색은 화만이 아니라 노권, 조바심 등으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진정한 실증이 아니면 공법을 써서는 안 된다.
-
4. 맥색(脈色)을 통한 음양허실 변별맥색은 혈과 기의 그림자로서 내부 병이 외부에 드러난다. 홍활하면 실양, 미약하면 허음이고, 부대하면 기실혈허이다. 색으로는 홍황색이 실열, 청흑색이 음한이며, 면적대양은 음부족을 나타낸다. 맥을 구하는 도는 유력 무력으로 음양을 변별하고 유신 무신으로 허실을 살펴야 한다.
-
5. 기미(氣味)를 통한 처방의 원리기미에는 음양, 승강, 동정, 강유, 용겁이 있다. 음은 강하고 정하며 양은 승하고 동한다. 기미가 승하면 부하면서 산하고, 강하면 침하면서 리한다. 주기는 정의 모가 되고 주정은 기의 근이 되며, 선약과 희악의 묘한 느낌을 살펴 처방을 구성해야 한다.
-
1. 주제1 문진(問診)의 순서와 중요성문진은 한의학 진단의 기초이며, 체계적인 순서에 따른 문진은 환자의 증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주소, 현병력, 과거력, 가족력 등을 순차적으로 청취함으로써 질병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열, 허실, 음양의 변별에 있어 문진을 통한 정보 수집이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환자의 주관적 증상 표현을 정확히 해석하고 추가 질문을 통해 정보를 보완하는 임상적 경험이 중요합니다. 문진의 순서를 지키지 않으면 중요한 정보를 놓칠 수 있으므로, 체계적이고 일관된 문진 방식의 습득이 한의사의 기본 역량입니다.
-
2. 주제2 한열(寒熱)의 변별한열의 변별은 질병의 성질을 파악하는 가장 기본적인 변증 방법입니다. 한증은 추위를 좋아하고 따뜻함을 싫어하며, 열증은 그 반대의 특징을 보입니다. 문진, 망진, 촉진 등 다양한 진찰 방법을 종합하여 한열을 판별해야 합니다. 실제 임상에서는 순수한 한증이나 열증보다는 한열이 혼재된 복잡한 증상이 많으므로, 주증상과 부증상을 구분하여 분석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한열의 정확한 변별은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이므로 신중한 판단이 요구됩니다.
-
3. 주제3 대소변을 통한 한열허실 판별대소변은 신체의 소화기능과 배설 기능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변비, 설사, 소변의 색깔과 양 등은 한열허실을 판별하는 데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건조한 변과 황색 소변은 열증을, 묽은 변과 맑은 소변은 한증을 시사합니다. 또한 대소변의 상태는 비위의 기능 상태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므로 변증의 신뢰도를 높입니다. 다만 개인의 체질, 식이, 생활습관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므로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합니다.
-
4. 주제4 맥색(脈色)을 통한 음양허실 변별맥진과 설진은 한의학의 전통적인 진단 방법으로, 맥상과 설색을 통해 음양허실을 판별합니다. 맥의 부침, 수삭, 긴완 등의 특성과 설의 색깔, 태의 두께 등이 체질 상태를 반영합니다. 음허증은 세삭한 맥과 홍설을, 양허증은 세약한 맥과 담백설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맥색 진단은 경험과 감각이 중요하므로 장기간의 임상 수련이 필수적입니다. 현대에는 객관적 진단 기준의 개발이 필요하지만, 여전히 한의사의 중요한 진단 도구로 기능합니다.
-
5. 주제5 기미(氣味)를 통한 처방의 원리한약의 기미는 약물의 성질과 효능을 나타내는 기본 개념으로, 처방 구성의 핵심 원리입니다. 사기오미의 이론에 따라 약물의 성질을 파악하고, 환자의 증상에 맞는 약물을 선택합니다. 군신좌사의 원칙에 따라 주약, 보조약, 인경약을 조합하여 처방을 구성합니다. 기미의 정확한 이해는 약물 간의 상호작용을 예측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현대 약리학적 연구를 통해 기미 이론의 과학적 근거를 찾으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며, 이는 한약의 임상적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