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97개
-
핵심기본간호술 사례 환자 보고서_수혈요법_유치도뇨_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2025.01.211. 수혈요법 대상자는 66세 남성으로 가슴통증과 어지러움, 호흡곤란을 느끼고 쓰러져 응급센터에 내원하였다. 혈액 검사 결과 Hemoglobin 수치가 8.6으로 낮아 농축 적혈구 수혈을 진행하였다. 수혈 전후 활력징후를 확인하고 수혈 부작용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였다. 2. 유치도뇨 대상자는 퇴근 후 도로에서 가슴통증과 어지러움, 호흡곤란으로 쓰러졌다. 내원 후 혼란스러워하고 있어 배설량 측정을 위해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였다. 무균술을 적용하여 도뇨관을 삽입하고 소변 배출 상태를 확인하였다. 3.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2025.01.21
-
경막하출혈 case study - 천공배액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천공배액술, 유치도뇨관, 말초정맥관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침상생활, 기저귀의 습기와 관련된 욕창의 위험2025.05.101. 천공배액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두통에 대한 NRS 점수가 1점 이하로 측정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줄었다고 말할 것이다.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사정하고, NRS 척도로 4시간마다 통증을 사정한다. 진통제로 트리돌을 투여하고, 대상자가 심호흡법을 하도록 한다. 극심한 통증 발생 시 의료진에게 즉시 알릴 것을 교육한다. 2. 천공배액술, 유치도뇨관, 말초정맥관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체온이 36.0~37.5℃ 이내에 속할 것이다.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CRP 정량이 0~0.3...2025.05.10
-
단순도뇨 술기 및 실습 가이드2025.11.171. 단순도뇨(Straight Catheterization)의 목적 및 적응증 단순도뇨는 환자가 소변을 보지 못할 때 방광을 비우기 위해 시행되며, 수술 전 방광 배출, 무균적 소변 채취, 외음부 감염 예방, 잔뇨량 측정 등의 목적이 있다. 적응증으로는 수술 후 8~12시간 배뇨 불가 환자, 진정제 사용으로 배뇨 불가능한 환자, 불완전한 방광 기능 환자, 척추손상 환자가 포함되며, 요로감염, 요로염, 요도 손상 환자는 금기사항이다. 2. 무균술(Asepsis)의 원칙 감염 위험 최소화를 위해 의료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을 적용한다....2025.11.17
-
유치도뇨관 삽입, 유지, 제거 및 검사 절차2025.11.161. 유치도뇨관 삽입 시 무균술 유치도뇨관 삽입 전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하고 무균적으로 도뇨세트를 편다. 멸균장갑을 착용한 후 대음순, 소음순, 요도 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소독솜으로 닦는다. 윤활제는 처음 나오는 부분을 버리고 거즈 위에 짜 넣는다. 도뇨관을 5-8cm 삽입 후 소변 배출을 확인하고, 추가로 2-4cm 삽입하여 주사용수로 Ballooning을 실시한다. 삽입 후 소변주머니를 방광 아래에 고정하고 폐쇄적배뇨시스템을 유지한다. 2. 유치도뇨관 유지 관리 폐쇄적배뇨시스템을 유지하며 소변주머니는 항상 방광 아래에 위치...2025.11.16
-
유치도뇨 관련 요로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2025.01.281. 유치도뇨 관련 요로감염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가장 흔한 병원감염으로, 유치도뇨관 삽입 및 관리 시 무균술 준수와 유치기간 최소화가 중요한 예방 전략이다. 본 연구는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 예방관리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며, 유치도뇨관 삽입 및 관리 시 간호사의 핵심술기 향상과 무균술 준수를 통해 요로감염 발생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2. 유치도뇨관 삽입 및 관리 유치도뇨관 삽입 및 관리 시 무균술 준수, 적절한 크기의 도뇨관 사용, 도뇨관 고정, 폐쇄배뇨시스템 유지, 소변백 관리 등이 중요하다. 또한 유치도뇨관 삽입 대상자의 ...2025.01.28
-
유치도뇨, 배출관장 간호실습2025.01.161. 유치도뇨 유치도뇨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유치도뇨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할 수 있다. 유치도뇨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유치도뇨 수행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무균술, 요도와 방광의 해부생리와 기능, 유치도뇨의 목적과 적응증 등 관련 선행지식을 설명하고 있다. 유치도뇨 수행 프로토콜을 단계별로 자세히 제시하고 있다. 2. 배출관장 배출관장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배출관장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할 수 있다. 배출관장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배출관장 수행한 것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내과적 무균...2025.01.16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단순도뇨2025.05.091. 단순도뇨(Nelaton catheterization) 단순도뇨는 환자가 소변을 보지 못할 때 방광을 비우기 위해, 검사를 위해 무균적으로 소변을 채취하기 위해, 잔뇨량을 측정하기 위해, 무뇨인지 핍뇨인지 확인하기 위해, 실금으로 인한 수술부위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한다. 준비물품으로는 드레싱 세트, 도뇨관, 검체물 용기, 소변 받을 용기 등이 필요하다. 무균술을 지키며 도뇨관을 삽입하고 소변을 배출하며, 필요 시 검사물을 채취한다. 소변 배출 후에는 도뇨관을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1. 단순도뇨(Nelaton cathete...2025.05.09
-
신경인성 방광: 정의, 원인, 증상 및 치료법2025.11.171. 신경인성 방광의 정의 및 원인 신경인성 방광은 뇌졸중, 파킨슨병, 척수손상, 척수염 등 신경계 질환으로 인해 방광과 요도 기능이 이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방광과 요도는 뇌, 척수, 말초신경으로 조절되는데, 이러한 신경계에 이상이 발생하면 배뇨 기능에 문제가 생긴다. 주요 증상으로는 요절박, 절박성 요실금, 빈뇨, 야간뇨, 배뇨곤란 등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신우신염으로 고열이 발생할 수 있다. 2. 신경인성 방광의 진단 검사 진단을 위해 병력 및 신체검사, 배뇨기록, 소변검사, 혈액검사 등 검사실 검사, 신장초음파 및 CT 등...2025.11.17
-
vSim-Kim Johnson 5, 6단계 간호 시뮬레이션2025.11.171. 도뇨관 삽입술 및 멸균 기술 도뇨관 삽입술은 무균 기술을 엄격히 준수해야 하는 중요한 간호 절차입니다. 카테터나 간호사의 장갑이 환자의 피부에 접촉하면 오염되어 폐기하고 처음부터 다시 준비해야 합니다. 멸균 장비 준비, 멸균 방수포 사용, 멸균 장갑 착용 등 모든 단계에서 무균 원칙을 지켜야 하며, 이를 위반하면 요도 감염, 방광결석, 수신증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방광 관리 프로그램 및 환자 교육 방광 관리 프로그램은 환자가 보유할 수 있는 총 체액의 양과 배뇨 간격을 포함합니다. 방광 훈련은 고정된 ...2025.11.17
-
단순도뇨(N-Cath) 보고서(간호활동보고서)2025.05.121. 단순 도뇨(N-Cath) 단순 도뇨(N-Cath)는 환자의 요도를 통해 방광에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 배출을 돕는 술기입니다. 주요 목적은 배뇨 곤란 환자의 불편감 해소, 소변 검체 채취, 방광 팽만 완화, 만성 배뇨 장애 관리 등입니다. 적응증은 무균적 소변 채취, 방광 팽만, 배뇨 장애 관리 등이며, 금기증은 전립선 염증, 요도 손상 등입니다. 절차는 철저한 무균술 준수, 환자 자세 유지, 도뇨관 삽입, 소변 배출 확인 등으로 구성됩니다. 간호사는 환자 교육, 사생활 보호, 감염 예방 등에 주력해야 합니다. 1. 단순 도뇨...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