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66개
-
모성간호학/여성간호학 A+ 산욕기 간호진단, 간호과정-비효과적 모유수유2025.05.111. 모유수유 산모는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비효과적인 모유수유를 하고 있다. 간호사는 산모의 모유수유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과 실습을 제공하고, 유방 관리와 아기의 수유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남편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지를 통해 산모가 성공적인 모유수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2. 유방울혈 산모는 유방울혈로 인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간호사는 유방 사정을 통해 유방울혈을 확인하고, 온찜질, 유방 마사지, 유축 등의 중재를 제공하여 유방울혈을 해결하고 통증을 관리해야...2025.05.11
-
여성간호학실습 의학용어(임신, 분만, 산욕, 생식기 질환 관련 용어)2025.01.091. 임신 관련 용어 계류유산은 태아가 사망한 상태로 자궁 내에 남아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절박유산은 혈성 질 분비물 또는 점상출혈이 있으나 절대안정 시 유산 중 유일하게 태아를 살릴 수 있는 유산입니다. 불가피유산은 경관은 개대와 소실되었으며 출혈이 많고 통증이 심하며, 난 막은 파열되어 있을 수도 있는 유산입니다. 불완전유산은 유산은 됐으나 태반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자궁 내에 남아있는 경우입니다. 완전유산은 수태산물이 모두 배출된 유산입니다. 습관성 유산은 연속해서 3회 또는 그 이상 계속되는 자연 유산입니다. 태반조기박리는 임...2025.01.09
-
산욕기 간호 - 회음부 관리, 유방 관리, 산후 운동 및 일상생활 유의사항2025.01.031. 회음부 간호 회음부 간호는 산모에게 안위를 제공하고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냉요법, 습열요법, 건열요법 등의 방법으로 회음부 통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회음부 통증이 심할 경우 처방된 진통제나 마취 스프레이, 연고 등을 사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2. 유방 간호 유방 간호는 산모의 유방을 청결히 유지시키고 안위를 제공하며, 유방의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깨끗한 물로 유두를 청결히 하고, 유즙 분비 촉진을 위해 아기가 원할 때마다 젖을 물리며, 유방 마사지와 모유수유 자세 등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2025.01.03
-
산후 산모 관리 레포트2025.01.131. 자궁저 높이 및 위치 변화 분만 3기가 끝나면 자궁 바닥은 제와부 아래 2cm 위치에 있으며 천골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분만 12시간 내에 자궁 바닥의 위치는 제와부 1cm 상방에 위치하며 매 24시간 마다 자궁 바닥이 1~2cm정도 하강된다. 자궁 바닥은 분만 6일째에 치골결합과 제와부 중간에 위치하며, 1주일째 되면 진골반 내에 놓이게 되고, 9일째 이후에는 복벽을 통해 자궁을 촉지할 수 없다. 2. 산후통 관리 산후통은 자궁의 주기적인 이완 및 수축이 흔해 이로 인해 불쾌한 수축이 유발되어 산욕기 초기까지 지속된다. ...2025.01.13
-
여성간호학실습_여성병동 관련 용어 정리 지침서 (내용정리)2025.05.061. Involution check(HOF) 자궁저부 높이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출산 후 8주부터 40주까지 자궁의 크기와 위치 변화를 단계별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2. Hot sitz bath & Heat lamp(온수욕&전외선등) 산모의 회음부 관리를 위한 온수욕과 전외선등 적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3. Lochia observation(오로 관찰) 산후 오로의 변화 양상과 관찰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습니다. 4. Breast engorgement(유방 울혈) 유방 울혈의 치료법과 예방법에 대해 설명하고...2025.05.06
-
[여성건강간호학] 간호과정 - 자궁이완과 관련된 산후출혈, 간호진단 1개2025.05.051. 분만 4기 / 산욕기 간호 분만 4기는 회복기로서 태반 만출 후 1~4시간까지를 말하며, 출혈이 중지되고 회복되는 기간을 말한다. 이 기간에 자궁은 수축과 견축을 반복하여 태반 부착부위로 부터의 출혈을 조절한다. 또한 분만 4기는 모아관계와 새로운 가족구성에 대한 중요한 시기이다. 초기의 접촉으로 모아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시기가 되어야 한다. 산욕기란 분만 후 생식기가 정상적인 비임신 상태로 복구되는 기간을 말한다. 이 시기를 산후기간(산욕기) 혹은 임신 4기라 하며 산욕기는 전통적으로 산후 6주까지로 보았다. 2. 자...2025.05.05
-
여성간호실습 산부인과 checklist 체크리스트2025.01.101. 산욕부 신체사정 자궁저부 체크 목적을 설명하고 소변을 보게 한 후 산모를 앙와위로 눕히고 복부를 노출시킨 후 왼손은 치골결합 위에 두고 오른손은 자궁저 위치를 확인한다. 배꼽을 중심으로 손가락 폭으로 자궁저부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자궁수축 정도를 확인한다. 2. 유방 변화 임신 2-3주는 임신을 깨닫기도 전에 변화가 일어나고 임신과 동시에 젖샘이 급격하게 늘어나 유방이 붓는 듯한 느낌이 들고 유두도 민감해진다. 임신중기엔 유방이 풍만해지고 단단해지며 젖꼭지의 색깔이 짙어지면서 주변의 유륜선이 돌기 시작한다. 임신후기엔 유방이 ...2025.01.10
-
산부인과 병동 산후(분만 4기)간호2025.01.131. 분만 4기 간호 분만 4기는 태아만출(분만 2기)와 태반만출(분만 3기)가 종료된 이후 태반이 떨어진 부분의 출혈을 조절하고 신생아와 모성애착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태반이 만출되고 통상 1시간~4시간 정도 지속되는데 잠재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산모의 상태를 사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분만 4기 간호의 목표는 자궁수축을 통하여 태반부착 부위의 출혈 조절, 요정체, 저혈압, 마취 등의 합병증 관찰, 모아관계와 새로운 가족 상호작용 촉진이다. 2. 산욕부의 생리변화와 간호 산욕부의 생리변화에는 자...2025.01.13
-
산과간호사들의 활동 해석 및 요약2025.01.081. 간호전문직 산부인과 환자들은 출산과 관련해 다소 예민한 상태라 이들에게는 세심한 간호가 필요하다.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친절한 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고 있다. 산부인과 간호사는 환자를 내 가족처럼 여기며 최선을 다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2. 산부인과 간호사의 역할 산부인과 간호사는 신생아실 사건 등 위기 상황에서 침착하게 대응하여 큰 피해를 막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산모와 신생아를 대피시키는 등 응급상황 대처 능력이 필요하다. 산부인과 간호사는 연구 간호사, 전문 초음파 자격증 취득 등...2025.01.08
-
산욕부 교육 및 간호2025.05.161. 산모교육 산모교육 주제에는 자궁퇴축, 회음부관리, 모유수유, 목욕 및 개인위생, 복부탄력회복을 위한 운동, 영양 등이 포함됩니다. 자궁퇴축은 분만 후 12시간 후에 배꼽 부위로 상승되었다가 하강하게 되며, 분만 후 6주가 되면 자궁이 거의 완전 회복됩니다. 회음부 관리는 제왕절개 수술의 경우 좌욕이 필요 없으며, 자연분만의 경우 좌욕 방법을 교육합니다. 모유수유 시 유방 관리, 유방 울혈 시 관리 방법을 교육합니다. 목욕 및 개인위생은 샤워가 가능하며, 통목욕은 오로가 없어졌을 때 적당합니다. 복부탄력회복을 위한 운동은 출산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