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6개
-
전기회로설계실습 9장 예비보고서2025.01.201. LPF 설계 RC 필터를 사용하여 cutoff frequency가 15.92 kHz인 LPF를 설계하였다. 커패시터 값은 10 nF이며, 저항 값은 1 kΩ으로 계산되었다. 이 LPF의 전달함수 크기와 위상을 0~100 kHz 범위에서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또한 10 kHz, 1 V 정현파를 입력으로 했을 때의 입력 및 출력 파형, 출력 크기, 위상 차이를 계산하였다. 2. HPF 설계 인덕터 10 mH와 저항을 직렬 연결하여 cutoff frequency가 15.92 kHz인 HPF를 설계하였다. 저항 값은 1 kΩ으로 계산...2025.01.20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2025.01.171. 건전지의 내부저항 측정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매우 작을 것으로 예상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증가할 것이다. 건전지(6V)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회로와 절차를 설계하였다. 10Ω 저항과 Pushbutton을 사용하여 측정에 의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였으며, 내부저항을 0.05Ω으로 가정하여 10Ω 저항에서의 소비전력을 계산하였다. 2. DC Power Supply 출력 특성 DC Power Supply의 Output 1의 출력전압을 1V, 최대출력전류를 10mA로 조정한 상태에서 10Ω 저항을 연결하면 최대전류인 10mA를 넘어...2025.01.17
-
다이오드 브리지 정류 회로 실험 결과보고서2025.01.041. 다이오드 브리지 정류 회로 이번 실험의 목표는 다이오드의 역할과 브릿지 정류회로에서 출력값은 어떻게 나타나며, 커패시터를 추가했을 경우 출력전압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습니다. 실험 결과, 이론값과 측정값이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첫 번째 실험에서 다이오드의 전위장벽으로 인한 전압강하를 알아보는 실험이었는데, 이론값보다 높은 값이 측정되었습니다. 두 번째 실험은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를 실험하는 것이었는데, 이론값보다 높은 첨두값이 측정되었습니다. 세 번째 실험은 커패시터를 연결하여 전압값을 측정하는 것으로, 그...2025.01.04
-
Voltage Regulator 설계2025.05.161. 전파정류회로 전파정류회로를 사용하여 교류전원으로부터 직류전압을 얻는 기본적인 직류전압공급기(DC Power supply)를 설계, 구현, 측정, 평가하는 것이 이 실습의 목적입니다. 전파정류회로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회로로,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직류전압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전압 조절기 설계 이 실습에서는 부하 저항 5kΩ에 걸리는 직류전압의 최대치(Vp)가 4.4V이고, 리플(Vr)이 0.9V 이하가 되도록 교류 입력전원의 크기를 결정하고 평활 커패시터 C의 크기를 설계합니다. 이를 ...2025.05.16
-
정전압 회로와 리미터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021.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PN 접합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는 출력 전압이 높을 때 다이오드의 여러 단을 직렬로 연결해야 하므로, 소자의 개수가 많아지는 문제가 생깁니다. 반면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경우 제너다이오드가 켜졌을 때 양단 사이의 전압 강하가 상대적으로 PN접합에 비해 크기 때문에 소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전압 레귤레이터의 특성 전압 레귤레이터의 라인 레귤레이션 특성을 개선하려면 저항값을 높이거나 다이오드의 개수를 줄여야 합니다. 부하 레귤레이션 특성을 개선하려면 내부 저항...2025.01.02
-
실험 02_정류회로 예비 보고서2025.04.271. 정류회로 정류회로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중요한 회로입니다. 반파 정류회로, 전파 정류회로, 브리지 정류회로 등 다양한 정류회로 구조가 있으며, 각각의 동작 원리와 입출력 특성이 다릅니다. 반파 정류회로는 한 주기 중 반 주기 동안만 정류 동작을 하지만, 전파 정류회로와 브리지 정류회로는 전 주기에 걸쳐 정류 동작을 합니다. 또한 필터 커패시터를 추가하면 리플이 감소하는 피크 정류회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정류회로의 입출력 파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정류회로 정류회로는 ...2025.04.27
-
정전압 회로와 리미터2025.01.021. 전압 레귤레이터 전압 레귤레이터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했던 정류회로의 리플이 매우 크며 입력 전압이나 부하 저항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이 크게 요동친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입니다. 또한 다양한 전압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 내에서, 정해진 전압을 일정하게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이기도 합니다. 전압 레귤레이터는 라인 레귤레이션 특성과 부하 레귤레이션 특성을 만족해야 합니다. PN 접합 다이오드와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 원리와 입력 전압 및 부하 전류 변화에 따른 출력...2025.01.02
-
[A+] 다이오드2 실험 레포트2025.05.151. 다이오드의 기초적인 적용 실험을 통해 다이오드의 기초적인 적용을 이해하였다. 다이오드는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에 활용된다. 반파 정류 회로와 전파 정류 회로를 구현하여 다이오드의 작동 원리를 확인하였다. 2. 교류 전류와 직류 전류의 차이 실험을 통해 교류 전류와 직류 전류의 차이를 이해하였다. 교류 전류는 시간에 따라 주기와 방향이 끊임없이 바뀌는 전류이고, 직류 전류는 높은 전위에서 낮은 전위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흐르는 전류이다.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교...2025.05.15
-
정류회로 A+ 결과보고서2025.01.061. 정류회로 이 실험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는 회로를 제작하고 특성을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습니다. 실험 1에서는 변압기의 권선비에 따른 출력전압 변화를 확인하였고, 실험 2와 3에서는 반파정류회로와 전파정류회로를 구성하여 다이오드의 정류 작용을 관찰하였습니다. 실험 4에서는 RC 필터회로를 구성하여 주파수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를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정류회로의 동작 원리와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1. 정류회로 정류회로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중요한 전자 회로입니다...2025.01.06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3. Voltage Regulatior 설계 A+2025.01.271. Voltage Regulator 설계 이 프레젠테이션은 전자회로설계실습의 예비 3번째 실습인 Voltage Regulator 설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설계 과정에서 사용된 수식과 계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PSPICE를 활용한 회로 분석 결과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브리지 방식 정류회로의 동작 원리, 부하 전압 및 리플 전압 계산, 교류 입력 전원 크기 및 주파수 결정 등이 있습니다. 1. Voltage Regulator 설계 전압 레귤레이터 설계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