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66개
-
한국어교육용 외래어 어휘 목록 선정2025.05.011. 외래어의 개념 외래어는 외국에서 들어왔지만 국어처럼 쓰이고 있는 단어를 의미한다. 표준국어대사전과 응용언어학 사전에서 외래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였으며, 외래어와 외국어의 차이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외래어의 판정기준으로 역사성, 보편성, 실용성, 적응성, 단어성, 유일성, 이상성 등 7가지를 제시하였다. 2. 초급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어휘 목록 초급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어휘 목록을 사용집단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인터넷 사용자, 직장인, 청소년 및 청년층에서 사용되는 외래어 어휘를 선정하였으며, 각 어휘의 사용 배경과 외...2025.05.01
-
한국어 듣기에서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2025.01.121. 경어의 발달 한국어는 다른 언어와 달리 높임말과 같은 경어가 매우 발달한 언어이다. 특히 유교사상이 바탕인 한국문화에서 높임말은 기본적인 예절과도 관련이 있으며 상대방 또는 어른에게 존경을 표현하며 배려하는 수단으로 한국어에서 경어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어 학습자는 이러한 높임말의 다양한 형태와 사용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 2. 발음상 구별이 어려운 동음이의어 한국어에는 같은 발음을 가진 단어가 여러 뜻을 가질 수 있는 동음이의어가 존재한다. 만약 대화에서 이렇게 발음상 구별이 어려운 동음이의어를 사용한다면 문장 전체의 ...2025.01.12
-
SQL 정의어와 그 기능2025.01.221. SQL 정의어 SQL은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화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과 수정, 데이터베이스 객체 접근 조정 관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2. 데이터 정의어(DDL) 데이터 정의어(DDL)는 테이블의 구조를 만드는 CREATE TABLE 문, 구조를 변경하는 ALTER TABLE 문, 구조를 삭제하는 DROP TABLE 문으로 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테이블의 속...2025.01.22
-
고등학교 중세국어 완벽 정리 필기본2025.05.111. 국어의 어제와 오늘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했고, 훈민정음 해례본이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한글은 조선시대에 '언문'이라 불리다가 1910년 이후 '한글'이라는 명칭이 널리 퍼졌다. 한글의 우수성은 하멜과 헐버트에 의해 해외에 알려졌다. 2.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 중세 국어에는 아래아, 여린 히읗, 순경음 비읍 등의 음운 현상이 있었다. 모음 조화, 각자병서, 합용병서, 성조 등의 특징이 있었다. 표기법에서는 모아쓰기, 세로쓰기,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등이 사용되었다. 3. 훈민정음의 과학성과 철학성 훈민정음의 초성 체...2025.05.11
-
어문 규정에 제시된 10개의 단모음을 모음의 분류 기준에 따라 IPA를 밝혀 제시하십시오2025.01.201. 단모음의 정의와 분류 기준 단모음은 조음하는 동안 입술과 혀 등 조음 동작의 변화가 없는 모음이다. 모음의 음가 변화에 관여하는 요인으로는 혀의 전후 위치, 혀의 고저 위치, 원순성 여부가 있다. 이를 기준으로 모음을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 모음, 평순 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한국어 단모음 체계 한국어의 단모음 체계는 학자마다 다르게 제시되는데, 7모음 체계, 8모음 체계, 9모음 체계, 10모음 체계로 나뉜다. 이는 전설 모음의 원순 대립 인정 여부와 전설 평순 모음의 ...2025.01.20
-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의 자모 제시 순서2025.05.101. 한국어 발음 교육 외국인 및 다문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발음 교육은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 교육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합니다. 한글의 자모 교육에서 문자 교육과 발음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기존 이론과 교재에서의 자모 제시 순서를 정리하고 외국어 학습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새로운 자모 제시 순서를 제안하였습니다. 2.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모의 수와 순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 교재들의 자모 제시 순서가 통일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2025.05.10
-
한국어 ㄴㄹ비음화 유음화 교육방안2025.01.111. 한국어 /ㄴㄹ/연쇄 복합어에서 비음화와 유음화 현상 비음화는 비음이 아닌 소리가 비음을 만나 비음 [ㄴ,ㅁ,ㅇ]으로 발음되는 현상이고, 유음화는 유음이 아닌 소리가 /ㄹ/을 만나 유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비음화와 유음화의 유형에는 장애음의 비음화, 유음의 비음화, 순행적 유음화, 역행적 유음화가 있다. 역행적 유음화 /ㄴㄹ/상황에서 한자어로서 의미의 분화가 있는 경우 유음화가 일어나지 않고 비음화가 일어난다. 한국어에는 /ㄴㄹ/연쇄를 가진 복합어 어휘의 순행적 비음화[ㄴㄴ]와 역행적 유음화[ㄹㄹ]의 표준 발음이 인위적...2025.01.11
-
한국어교원 레포트 _ 언어학개론2025.01.111. 사전의 종류 사전의 종류는 유형별로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다. 첫째로 한국어 사전은 언어사전과 백과사전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 두 사전은 표제어와 항목이 제시하는 정보가 다르다. 언어사전은 한 언어에 속하는 단어에 대해 언어적 정보를 제공하며 백과사전은 표제어가 가리키는 외부 세계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둘째로 1권으로 된 사전인 소사전, 적어도 2권 이상으로 구성된 확장형 사전인 대사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셋째로는 한 시기의 언어 어휘에 대한 언어지식을 기술한 사전인 공시사전과 어...2025.01.11
-
한국어 어문 규범 - 한국어교육에서 어문 규범의 중요성과 쟁점2025.01.041. 한국어의 어문 규범 한국어 어문 규범은 일종의 한글에 대한 법령과 같은 존재입니다. 해당 조항을 준수한 한국어가 표준어로 인정되고 그 구체적 사례와 여러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한국어 교육은 문법과 어휘의 표준화, 존댓말과 공손함 수준, 발음과 억양, 쓰기 시스템, 언어 사용의 문화적 맥락, 다양한 레지스터의 언어 사용, 미디어와 기술의 영향, 언어 능숙도 표준 등을 어문 규범을 통해 다룹니다. 2. 한국어교육에서 어문 규범 지식의 중요성 어문 규범은 의사소통의 명확성과 정확성, 일관성, 공식 및 학업 설정에서의 중요성, 문화...2025.01.04
-
한국어 발음 지도 원리와 과정, 유의점2025.01.231. 한국어 발음 지도 원리 한국어 발음 지도의 원리에는 하향식 처리, 상향식 처리, 양방향식 처리, 인지=>산출 등의 원리가 있습니다. 하향식 처리는 큰 단위에서 시작하고, 상향식 처리는 작은 단위에서 시작하며, 양방향식 처리는 두 가지 방식을 모두 활용합니다. 인지=>산출은 음성 습득 단계를 고려하여 변별적 인지와 변별적 산출 단계로 지도합니다. 국어 발음 지도의 원리는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2. 한국어 발음 지도 과정 한국어 발음 지도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도입 단계...2025.01.23